[[분류: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3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히우그란지두노르치주 출신 인물]] ||<-2>
[[파일:063_Jamie_Varner_vs_Gleison_Tibau.1378004351.0.jpg|width=100%]]|| || '''{{{#white 이름}}}''' || '''글레이슨 티바우[br](Gleison Tibau)''' || || '''{{{#white 본명}}}''' || '''자니글레이송 에르쿨라누 아우베스[br](Janigleison Herculano Alves)''' || || '''{{{#white 국적}}}''' ||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 || '''{{{#white 출생지}}}''' || '''티바우, [[히우그란지두노르치]]''' || || '''{{{#white 거주지}}}''' || '''코코넛 크릭, [[플로리다]]''' || || '''{{{#white 생년월일}}}''' || '''[[1983년]] [[7월 10일]] ([age(1983-07-10)]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www.sherdog.com/fighter/Gleison-Tibau-5993| 54전 37승 17패]]''' || || '''{{{#white 승}}}''' || '''4KO, 15SUB, 18판정''' || || '''{{{#white 패}}}''' || '''4KO, 2SUB, 10판정, 1실격''' || || '''{{{#white 체격}}}''' || '''178cm / 77kg[* 수액주사 허용시절에도 괴랄한 평체로 유명했다고 한다. 평체가 95kg이었다는 소문도 있다.] / 178cm''' || || '''{{{#white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leisonTibauMMA?s=09, 크기=24)] [[https://www.facebook.com/gleisontiba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gleisontibauofficial?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UFC 라이트급 현 PFL 웰터급 종합격투기선수. == 전적 == * 주요 승: [[티아고 알베스]], 페르난도 테레레, [[아드리아누 마르틴스]], [[파브리시오 카모에스]], [[제이슨 덴트]], 안토니오 모레노, 제프 콕스, [[테리 에팀]], [[리치 클레멘티]], [[제레미 스티븐스]], [[조쉬 니어]], [[우노 카오루]], [[커트 펠레그리노]], [[하파엘로 올리베이라]], [[하파엘 도스 안요스]], [[프란시스코 트리날도]], [[존 촐리시]], [[제이미 바너]], [[팻 힐리]], [[피오트르 홀만]], [[노먼 파크]], [[에프레인 에스쿠데로]], [[윌 브룩스]], [[로리 맥도날드]], 마이카 테릴 * 주요 패: [[미츠오카 에이지]], [[닉 디아즈]], [[타이슨 그리핀]], [[조 스티븐슨]], [[멜빈 길라드]], [[짐 밀러]],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에반 던햄]], [[마이클 존슨(종합격투기)|마이클 존슨]], [[토니 퍼거슨]], [[에이블 트루히요]][* [[EPO]]적발로 인한 반칙패], [[이슬람 마카체프]], [[데스몬드 그린]], 주앙 제페리노, 자라 알 실라위, [[마고메드 마고메드케리모프]] == 커리어 == 1999년에 데뷔했고 브라질의 중소단체를 돌면서 16승 2패의 전적을 거뒀다. 2006년 UFC에 입성해 UFC 65에서 [[닉 디아즈]]와 맞붙었다. 디아즈를 초반부터 테이크다운시키고 백을 잡았으나 디아즈가 가드리커버리에 성공했고 암바까지 허용했다. 1라운드 후반부터 디아즈가 파운딩을 활용했다. 2라운드 시작이후 테이크다운을 걸었으나 디아즈가 잘 수비했고 이후 그라운드에서 파운딩으로 TKO패했다. 이후 라이트급으로 체급을 하향하여 UFC 68에서 [[제이슨 덴트]]와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중소단체에서 1승을 거둔뒤 UFC Fight Night 10에서 제프 콕스와 맞붙어 1라운드 암 트라이앵글 초크로 승리했다. UFC 75에서 장신의 그래플러인 [[테리 에팀]]과의 대결에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다. UFC 81에서 [[타이슨 그리핀]]과 맞붙었다. 만장일치 판정패당했다. UFC 86에서 [[조 스티븐슨]]과 맞붙어 길로틴 초크로 탭을 치며 패배했다. 이 경기 이후 UFC에서 방출되었다. 그 후 다시 UFC에 복귀하며 UFC Fight Night 17에서 [[리치 클레멘티]]를 길로틴 초크로 탭을 받아냈다. UFC Fight Night 18에서 [[제레미 스티븐스]]와 맞붙었다. 계체량 당일 두 선수 모두 계체에 실패하며 158파운드 계약체중으로 치러졌다. 그라운드에서 압도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TUF 9 Finale에서 광폭한 타격가인 [[멜빈 길라드]]와 대결했고 스플릿 판정패했다. UFC 104에서 [[조쉬 니어]]와 맞붙었다. 계체량중 두 선수 모두 계체에 실패했고 157파운드 계약체중으로 치러졌다. 그라운드에서 압도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UFC Fight Night 21에서 [[우노 카오루]]와 맞붙어 1라운드 넉아웃 승을 거뒀다. UFC Fight Night 22에서 [[짐 밀러]]와 맞붙어 밀러의 그라운드에 압도당해 만장일치 판정패당했다. UFC 128에서 [[커트 펠레그리노]]와 맞붙어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UFC 130에서 [[하파엘로 올리베이라]]와 맞붙어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서브미션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UFC 139에서 [[하파엘 도스 안요스]]와 맞붙었다.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UFC 148에서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와 맞붙었다. 티바우는 하빕의 싱글렉, 더블렉, 안다리, 바깥다리, 바디락 테이크다운 모두 무위로 돌렸으며 하빕의 레슬링 기술을 모두 특유의 힘으로 무력화시켰다. 이때 티바우는 하빕과 달리 큰 공격은 못하더라도 잽과 니킥, 테이크다운도 성공시키며 소소하게 점수를 쌓아갔는데 정타수에서는 앞섰지만 크게 어필될 정도는 아니었다. 결국 그나마 공격적으로 레슬링 압박을 시도한 하빕이 만장일치로 판정승을 거두었다. UFC 153에서 [[프란시스코 트리날도]]와 맞붙었다. 그라운드에서 트리날도를 압도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UFC 156에서 [[에반 던햄]]을 상대로 스플릿 판정패했다. UFC on FX 8에서 [[존 촐리시]]를 상대로 2라운드 길로틴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UFC 164에서 [[제이미 바너]]와 맞붙어 스플릿 판정패했다. UFC 168에서 [[마이클 존슨(종합격투기)|마이클 존슨]]과 맞붙어 2라운드 존슨의 왼손에 넉아웃당했다. 그래도 UFC와 4경기 재계약을 채결했다. UFC Fight Night 45에서 [[팻 힐리]]와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UFC Fight Night 51에서 [[피오트르 홀만]]과 맞붙어 치열한 접전끝에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고 파이트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홀만은 경기 후 약물검사에서 약물이 검출되었다. UFC Fight Night 59에서 [[호르헤 마스비달]]을 대신해 [[노먼 파크]]와 맞붙었다. 접전끝에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UFC 184에서 부상입은 [[얀시 메데이로스]]를 대신해 [[토니 퍼거슨]]과 맞붙었다. 퍼거슨이 오히려 그라운드에서 압도하며 1라운드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패배하고 말았다. 조 스티븐슨전 이후 오랫만에 서브미션패당했다. UFC Fight Night 77에서 [[아벨 트루히요]]와 맞붙었다. 더블잽 투이후 더블렉으로 테이크다운시켰고 트루히요의 백을 잡고 바디트라이앵글을 감은 후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를 거뒀으나 트루히요측이 실신하지도 않았고 탭을 치지도 않았는데 심판이 억지로 스탑시켰다며 항의했고 무효처리되었다. 그러다가 티바우가 USADA에서 약물이 검출되었고 무효가 아닌 트루히요의 반칙승으로 인정되었다. 징계가 풀린 이후 UFC 220에서 [[이슬람 마카체프]]와 맞붙었다. 1라운드 마카체프의 왼손에 넉아웃되고 말았다. UFC Fight Night 131에서 [[데스몬드 그린]]과 맞붙었다. 그린의 포인트파이팅으로 인해 만장일치 판정패당했다. 그린전이후 UFC에서 방출되었다. 방출된 이후 [[오스카 델 라 호야]]가 주최하는 Golden Boy Promotions 첫번째 종합격투기 대회[* 이 경기의 메인이벤트가 [[척 리델]] VS [[티토 오티즈]]였다.]에서 역시 전 UFC선수였던 [[에프레인 에스쿠데로]]와 160파운드 계약체중으로 맞붙었다. 만장일치 판정으로 승리를 거뒀다. 한국의 신생단체 Battlefield FC에서 [[아벨 트루히요]] 대신 [[윌 브룩스]]와 맞붙었다. 1라운드 길로틴 초크로 패배했다. Taura MMA에서 크리스 시스네로스와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코로나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그 후 2021년 PFL과 정식계약했으며 PFL 2에서 [[알렉세이 쿤첸코]]를 대신해 주엉 제페리노와 맞붙었으나 만장일치 판정패당했다. PFL 5에서 [[로리 맥도널드]]와 맞붙었다.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으나 판정에 논란이 있었다. PFL 7에서 [[커티스 밀렌더]]와 맞붙을 예정이었으나 밀렌더가 이탈하며 마이카 테럴과 붙게되었다. 2라운드 테럴을 테이크다운시키고 마운트를 점령했고 암 트라이앵글 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이후 자라 알 실라위, [[마고메드 마고메드케리모프]]에게 2연속 판정패를 당하였다. == 파이팅 스타일 == 브라질리언 주짓수와 레슬링 주 챔피언을 지낸 경력이 있는 그래플러이다. 강점은 웰터급을 연상[* 원래 웰터급에서 시작했고 PFL에선 웰터급에서 활동한다.]시키는 피지컬인데 이 피지컬을 활용한 그래플링을 활용한다. 주로 파워풀한 더블렉으로 어거지로 들어간 뒤에 테이크다운 시키고 피지컬을 활용한 상위압박을 한다. 제일 큰 장점은 테이크다운 디펜스. 피지컬, 케이지에 기대며 테이크다운을 막는데 라이트급은 물론 웰터급에서도 제대로 넘어가본적이 거의 없을정도로 극강의 테이크다운 디펜스를 자랑한다. 타격에서는 사우스포 스탠스에서 갑자기 레프트를 휘두르며 들어가는데 그 레프트 한 방이 워낙 괴랄한 평체 때문인지 생각보다 꽤 강하다. 니 픽[* Knee Pick. 혹은 니 탭(Knee Tap)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손을 위로 상대팔을 오버-언더훅 그립으로 반대 팔을 상대 오금쪽에 대면서 돌진하며 테이크다운시키는 레슬링기술. [[도미닉 크루즈]]의 히든카드이다.]을 페이크로 하고 오른손 훅을 던지는 패턴도 갖고있다. 맷집도 상당한 편. 단점은 우선 타격이 매우 단순하고 투박하다. 기본적으로 느린데다가 주로 훅 위주의 타격을 하다보니 직선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그러다보니 원거리에서 아웃파이팅을 해주는 상대에게 굉장히 취약했다. 강점인 피지컬 또한 약물로 만들어진 것이며 결국 약물검사에서 무려 EPO가 적발되면서 UFC에서 방출되었다. == 여담 == UFC에서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상대로 가장 잘 싸웠던 선수. 하빕이 승리했을 때 편파논란이 있었을 정도로 잘 싸웠으며, 하빕도 이후 인터뷰에서 절대로 언급하지 않는다. 다만 하빕전 이후 상습적으로 약물 검사 통과를 못 했고, 하빕 상대로 잘 싸웠던 이유도 힘으로 테이크다운을 방어했던 것이 결정적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냥 엄청난 평체 + 수액주사 리게인 & 약빨이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