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기화합물)] [include(틀:유기화합물/알코올)] [[파일:glycerol.png|bgcolor=#fff]] Glycerol / Glycerin(e) [[알코올]]의 한 종류. '''글리세린'''이라고도 한다. 분자식은 C,,3,,H,,5,,(OH),,3,,. [[단맛]]을 내기 때문에 [[당알코올]]로도 분류한다.[* 일단 미국 FDA에서는 단백질과 지방이 아닌데 칼로리를 내는 다량영양소 정도로 분류해놓고 있으며, 미국영양학회에서는 탄수화물로 분류한다.] [[물엿]]과 비슷하게 생긴 끈끈한 액체이다. [[중국어]]로는 甘油 (gānyóu, 감유) 나 丙三醇 (bǐngsānchún, 병삼순)[* [[천간|십간]]은 유기화학에서 탄소 원자의 개수를 가리킨다. 따라서 프로판트라이올을 그대로 풀어 탄소 원자가 3개(丙) 있고 OH기가 3개(三)인 알코올(醇) 이라고 옮긴 것이다.]이라고 한다. '''[[지방(화학)|지방]]의 연결부 역할'''을 하는데, 글리세린에 [[지방산]]을 연결시킨 것이 지방이며, 알코올기 3개 자리가 지방산으로 대체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를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라고 한다. '중성지방'이라는 이명은 남아 있는 알코올기가 없기 때문에 붙은 것.] 물론 한두 개의 알코올기가 남아 있는 것도 존재하나 그리 안정하지는 않다. 일반적인 지방은 E자 형태의 '''탄화수소 사슬''' 자체인데 [[지방맛]]이라는 고유한 맛을 낸다. [[파일:saponification.png|bgcolor=#fff]]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이 염기 촉매하에서 중성 지방의 가수분해를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비누화 반응이라고 한다. 쓰임새 중 대표적인 건 '''보습효과'''이며, 최고의 보습제라서 [[화장품]]에 핵심적으로 쓰인다. 세상 모든 [[로션]] 및 점도가 있는 화장품을 성분 분석해보면 물을 뺀 나머지 성분 중 글리세린이 80 ~ 90% 이상 정도를 차지한다. 화장품의 대부분의 성분이 이것이므로 물일을 하는 주부들이 잘 때 손에 바르고 자면 당연히 손이 늙지 않고 아기 피부처럼 보들보들해진다. 또한 상처 회복의 원리 역시 보습이므로 갑자기 생겨난 상처에 바르면 엄청난 속도로 아물게 된다. 또한 집에서 [[비눗방울]]을 만들 때 세제에 조금 넣어서 잘 터지지 않는 비눗방울을 만드는 데 사용해 볼 수 있다. [[피지(신체)|피지]]에도 당연히 글리세롤이 들어 있으며 피부가 마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세균]]의 [[베어 그릴스|훌륭한 영양 공급원]]이기도 해서 [[여드름]]이 생겼다 하면 골치아파진다. 거기에 피부를 더럽게 보이게 하는 블랙헤드가 생기는건 덤. 이외에도 식품 첨가물[* 일단 당알코올이라 설탕의 60% 수준 당도를 가지므로 이론적으로 감미료 역할을 할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당도만을 본다면 실제로 그런 용도로 기업에서 쓸지는 의문. 점성을 가지기에 증점제 쪽으로 차라리 꽤나 사용된다.], [[부동액]], 연료, [[잉크]], [[액상형 전자담배|전자담배 액상]][* 담배 연기와 유사한 무화량을 늘리기 위해 글리세린을 첨가한다. 소위 타격감이라 부르는 목넘김의 느낌은 [[프로판디올]]의 역할이다. 글리세린의 비중이 늘어날 수록 점성이 강해지기에 누액은 덜 일어나지만 코일과 솜의 수명에는 악영향을 준다고 알려져있다.], [[관장|관장액]], AV에서 주로 사용되는 [[러브젤|점성이 있는 몸에 뿌리는 액체]] 생산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가격은 대개 100g에 1000원 정도이다. 정제수나 허브 등을 우려낸 물에 글리세린을 구입해 희석시켜 간단한 토너를 만드는 것은 인터넷을 몇번 찾으면 누구나 금방할 수 있을 정도로 쉽다. 성분이 성분인만큼 상당히 순하고 쓰기 좋다. 방부제가 없어서 보존성이 좋지 않다만. 다만 글리세린은 일정양까지는 보습효과가 강하지만, 그 이상 넣으면 반대로 보습에 좋지 않으니 비율을 잘 확인해서 만들자. 이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으나 용도가 전혀 다른 제품으로 [[니트로글리세린]]이 있다. 용도는 심장병 치료제, 그리고 폭약(...). 이름에 들어가는 'glyc'는 단맛을 뜻하는 그리스어 'γλυκύς'(glyco-, gluco-)에서 나왔다. [[분류:당알코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