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자생물학&생화학)] [목차] == 개요 == 글리코겐 대사(glycogen metabolism)는 [[글리코겐]] 합성 및 글리코겐 분해에 대한 대사 과정을 말한다. 글리코겐 대사는 [[혈당]] 수치에 따른 [[글루카곤]],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과 [[에피네프린]], [[칼슘]] 이온, [[cAMP]] 등의 [[이차 전달자]]에 의해서 조절된다. 글리코겐 대사 방향으로 신체가 활성화되면 글리코겐 인산화 효소를 활성화하여 분해를 촉진하고, 글리코겐 합성효소를 억제하여 합성을 억제한다. 글리코겐 합성(Glycogenesis)에서는 저장을 위해 글리코겐 사슬에 [[포도당]] 분자가 추가된다. [[간]]에서 코리회로가 진행된 후에 높은 혈당에 대한 반응으로 인슐린이 분비되면 글리코겐 합성을 활성화한다.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에서는 탄소수가 n인 글리코겐이 포도당-1-인산 및 탄소수가 (n-1)인 글리코겐으로 분해된다. 근육에서 직접적인 포도당-6-인산의 공급을 위해 발생하거나, 간에서 혈액에 포도당을 공급하여 혈당 조절을 하기 위해 발생한다. == 글리코겐 합성 == 총 6개의 [[효소]]를 거쳐 [[포도당]]이 [[글리코겐]]이 된다. glucose([[포도당]]) * 1. glucokinase 또는 hexokinase 4: ATP 사용, 포도당에 인산기를 결합 glucose-6-phosphate(포도당-6-인산) * 2. phosphoglucomutase: 인산기를 6번 탄소에서 1번 탄소로 전이 glucose-1-phosphate(포도당-1-인산) * 3. UDP-glucose pyrophosphatase: 포도당-1-인산을 UDP-glucose로 전환 UDP-glucose(uracil-diphosphate glucose, 포도당 유라실이인산) * 4. glycogenin: 초기 글리코겐을 형성. 약 7개의 UDP-포도당 분자가 α(1→4) 결합을 형성 * 5. glycogen synthase: 비환원 말단에 있는 글루코실 잔기의 4-하이드록실기에 UDP-포도당 추가 * 6. glycogen branching enzyme: 사슬의 끝을 이전 부분으로 전달하며 더 많은 가지를 형성 glycogen([[글리코겐]]) == 글리코겐 분해 == glycogen([[글리코겐]]) (n) * 1. glycogen phosphorylase: α(1→4) 결합을 인산기로 치환해 글리코겐 가지에서 포도당을 절단 glucose-1-phosphate(포도당-1-인산) + glycogen([[글리코겐]]) (n-1) * 2. phosphoglucomutase: 인산기를 1번 탄소에서 6번 탄소로 전이 glucose-6-phosphate(포도당-6-인산) + glycogen([[글리코겐]]) (n-1) == 관련 문서 == * [[해당 과정]] * [[포도당 신생합성]] * [[간]] * [[췌장]] * [[인슐린]] * [[글루카곤]] * [[아드레날린]] [[분류:생화학]][[분류:세포 수준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