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귤속 과일]] [include(틀:과일)] [include(틀:귤속)] ||<-2> '''{{{#fff {{{+1 금귤}}}(금감)[br]金橘 | Kumqua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귤.jpg|width=100%]]}}} || || '''학명''' || ''' ''Citrus japonica'' '''[br]Thunb.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 Plantae || ||<|3> [[생물 분류 단계#분류군|{{{#000,#fff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장미군]] Rosid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운향과]] Rut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귤속]] ''Cit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금귤 ''C. japonica'' ''' || [목차] [clearfix] == 개요 == 금귤은 [[운향과]] [[귤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과 그 열매의 총칭이다. 금감이라고도 불린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흔히들 일본식 명칭인 '낑깡(金柑=キンカン)'이라고도 부르는데, 금귤과 낑깡이 같은 것이라고 하면 이해를 못하는 사람이 종종 보인다. 영어로는 Kumquat이라고 하며, 이 명칭은 [[광동어]] 깜꽛(金橘, gam¹gwat¹)[* [[표준중국어]]로는 진쥐(jīnjú).]에서 나왔다. 남부지방에서 재배가 가능한 나무이나, 겨울철 월동은 불가능하다. 온실이나 가정집 실내에서는 충분히 키울 수 있으나 영양 공급이 되지 않으면 식초 이상으로 신 열매가 열린다. == 섭취법 == 일반 귤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 껍질을 까지 않고 그냥 먹는 것이기 때문에 먹기 전에 소금물 등을 이용해서 [[농약]]을 잘 씻어내야 한다. 그리고 방울토마토처럼 꼭지를 빼서 먹어야 한다. 껍질을 까고 먹어도 되지만 과육에 착 달라붙어있어 까다보면 과육이 뭉개진다. 맛은 특이하게도 과육이 시고 껍질이 단 특성이 있어 껍질까지 함께 씹기 때문에 일반 귤과는 조금 다른 느낌의 향이 입 안 전체에 풍부하게 퍼진다. 껍질이 달다고 해서 귤껍질 특유의 톡 쏘는 향이 줄어든 건 아니다. 과육에는 큰 씨앗이 여럿 박혀있다. 단단하진 않지만 귤의 물렁한 질감을 생각하고 대충 씹다가 입에 걸려서 움찔하게 되는 정도이다. == 효능 == 비타민 C가 많아서 [[감기]]예방에 특효라고 하니 평소에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에게 좋다. 1kg에 5천 원 정도하니 별로 비싸지도 않다. 특히 금귤에 함유된 비타민C의 80%가 껍질에 있어[*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38904&cid=46686&categoryId=46694|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잘 씻어서 껍질 째로 먹는 것이 좋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목이 아플 때 금귤을 소금에 절여서 먹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금귤의 효능으로 위장의 소화력을 높이고 식욕을 증진시키는 것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 관상적 가치 == [include(틀:관상용 귤속 식물)] 나무 크기가 작고 아담한 사이즈이기에 아파트 베란다에서 길러서 따먹기에 아주 좋다. 1년마다 화분 위쪽에 비료를 한줌 뿌려주고 물만주면 잘 커준다. 겨울에도 온도만 높다면 무럭무럭 자란다. 한 그루 정도면 혼자서 질리도록 먹을수 있다 == 나라별 이름 == ||<-2> '''나라별 이름''' || ||'''한국'''||금귤, 낑깡|| ||'''중국'''||金橘([[표준중국어]] jīnjú, [[광동어]] gam¹gwat¹)|| ||'''일본'''||金柑(キンカン; 금감)|| ||'''영어권'''||Kumquat [ˈkʌmˌkwɑːt](컴쾃)|| == 여담 == 과거에는 금귤이 금감속(''Fortunella'')에 따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계통학]]적 연구에 따라 귤속(''Citrus'')의 일원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1박 2일]]에서 [[이승기]]가 과일 이름 대기 게임 당시 금귤을 "낑깡"이라고 외쳤던 적이 있었다. 방송 자막에서 금귤의 잘못된 표현이라고 띄웠지만, 낑깡은 외국어일 뿐이니 엄밀히 말하면 잘못된 표현인 것은 아니다. 분홍색을 핑크, 사과를 애플이라고 표현했다고 그것을 잘못된 표현이라 하지 않듯이. 근데 일본에서 금귤은 의외로 젊은 사람들은 잘 먹지도 않고, 심지어 모르는 사람도 많다. 나이 든 사람들이 감기 걸렸을 때 민간요법으로 먹는 과일로 인식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간혹 여성 연예인이 피부미용에 좋다며 지상파 방송에서 추천할 때는 유행을 타기도 한다. 한때 [[네이버]]에서 [[정명석]]으로 검색하면 연관 검색어로 같이 뜨기도 했다. [[아케치 미츠히데]]의 별명이기도 하다. [[대머리]]라서 [[오다 노부나가]]가 그렇게 불렀다고. 그러나 일본에서 금귤은 [[에도 시대]] 후기쯤에 들어왔고, 거기서 약 200년 전 인물인 노부나가가 미츠히데를 그렇게 불렀다는 기록도 없다. 금귤 별명은 에도 시대 때 지어낸 이야기로 [[시바 료타로]]의 소설에서도 나와 유명해진 거라고 한다. 제주도의 푸른 밤이라는 노래에도 낑깡이라는 명칭으로 나온다. 둥글고 특유의 단단함 때문에 실수로 밟고 넘어지면 크게 다칠 수 있다. [[치즈인더트랩]]의 [[강아영]]의 별명이기도 하다. 여자인것을 감안해도 키가 굉장히 작은 것에 [[홍준]]이 지은 별명. [[천사가 아니야(웹툰)|천사가 아니야]]에 이름이 금귤인 캐릭터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