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화민국(대만)이 지배하는 섬 및 행정구역, rd1=진먼현)] [include(틀:한자)] [목차] == 정의 == {{{+1 [[金]][[文]]}}} [[청동기 시대]]에 주조되거나 새겨진 문자를 말한다. == 개요 == 금문의 주된 사용시기는 [[주나라|서주]]시대이므로 일반적으로 서주금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나라]] [[청동기 시대|청동기]]에도 족휘([[族]][[徽]], 부족을 상징하는 문양)를 비롯한 문자가 주조되어 있는데, 딱딱한 거북껍데기나 뼈에 새겨야 하는 [[갑골 문자|갑골문]]보다 거푸집을 빚는 게 조형을 더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어서 [[상형문자|상형성]]이 더 농후하다. 또한 서주이후에 [[춘추전국시대]]의 청동기에도 많은 금문이 주조되거나 새겨져 있다. 그러나 자체상으로 금문은 일반적으로 서주의 금문을 말한다. 금문은 주로 청동기물에 주조되어 있기 때문에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하고, 이기명문([[彛]][[器]][[銘]][[文]])이라고도 하며, 당시에 청동을 길금이라 하였기 때문에 길금문자([[吉]][[金]][[文]][[字]])라고도 한다. 금문은 갑골문과는 달리 고대부터 세상에 전해져 내려온 것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도 일찍부터 진행되었다. 금문은 정벌([[征]][[伐]])·책명([[冊]][[命]])·상사([[賞]][[賜]])·사전([[祀]][[典]])·계약([[契]][[約]]) 등 당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내용을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다. == 의미 == 원래 예악기·생활도구 등으로 사용된 청동기는 한편으로는 왕권의 상징으로 대표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하나라]]에서 제작한 정(鼎) 아홉 개, 즉 [[구정]](九鼎)은 전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천자의 상징이 되었다. 천하를 도모하는 것이 "[[구정]]의 무게가 얼마인지를 묻는다(問鼎)"로 대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당시의 왕은 제정일치로,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낼 의무가 있었다. 여기에 쓰이는 것이 정인데, 이것의 무게를 물음은 그것을 사용할 날이 있으리란 뜻이다. 쓸 일도 없는 물건의 무게가 궁금할 리 없으니... 주 천자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던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에서는 심심할 때마다 그것을 물어보아 주나라와 그를 따르는 제후들을 약올렸고, 자기 나름대로 구정을 만들어 쓴 듯하다. ] 칼로 새긴 갑골문이 날카롭고 각이 지며 가느다란 것에 반하여, 동기에 주조된 금문은 굵고 둥글어서 중후한 풍격이 있다. [[분류:문자]][[분류: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