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이유)] [목차] == 개요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작곡'''}}} || {{{#ffffff '''작사'''}}} || {{{#ffffff '''편곡'''}}} || || 01 || '''금요일에 만나요 (Feat. [[EL CAPITXN|장이정]] Of [[히스토리(아이돌)|HISTORY]])''' || 아이유 || 아이유 || 이종민 || 2013년 12월 20일에 발매된 [[아이유]]의 정규 3집 리패키지 앨범 [[Modern Times Epilogue]]의 타이틀 곡이자 아이유의 자작곡이다. '전국민의 금요일 찬가'라는 타이틀까지 얻으며 당시 음원 차트 롱런 기록을 갱신한 대히트곡이다. 금요일마다 각종 라디오에 선곡되어 전파를 타곤 했다. '''자작곡'''을 타이틀 곡으로 내건 최초의 곡이다.[* 이전까지의 다섯 곡의 자작곡을 발매했는데, 하나는 드라마 OST이자 훗날 역주행까지 한 <[[내 손을 잡아(아이유)|내 손을 잡아]]>이고, 다른 넷은 앨범의 수록곡들로 <[[Last Fantasy#s-4.11|길 잃은 강아지]]>, <[[스무 살의 봄#s-3.1|복숭아]]>, <[[Modern Times#s-6.6|싫은 날]]>, <[[Modern Times#s-6.13|Voice Mail]]>이다.] 또한 이 곡을 기점으로 아이유가 작사·작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 곡 소개 == >아이유가 직접 작사, 작곡한 타이틀곡 '금요일에 만나요'는 아티스트 본인의 전매 특허인 기타 연주에, 한 번 들으면 흥얼거리게 되는 쉬운 미디움 템포 멜로디를 붙인 어쿠스틱 팝 곡이다. 후반부엔 스윙 편곡과 달달한 스캣을 더해 기존 정규 3집 앨범 수록곡들과 자연스러운 통일감을 갖추도록 했으며, 소속사 후배인 HISTORY의 메인 보컬 장이정이 피처링으로 참여하여 연말 시즌에 어울리는 사랑스러운 러브송이 완성되었다. > >"'금요일에 만나요'는 이제 막 서로에게 반한 남녀의 어쩔 줄 모르는 설렘을 노래한 곡이다. 짧아서 더 설레고 가장 두근거린다는 연애 바로 직전 단계. 특히 여기저기 온통 빨갛고 파랗고 반짝거리는 요즘 같은 겨울에 하는 첫 데이트가 이렇지 않을까. 시작엔 잔잔한 기타 반주를, 후반부엔 스윙 리듬을 가미해 그 설레는 시기의 심장 박동 같은 리듬을 표현하고 싶었다." - 아이유 == 뮤직비디오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MV'''}}}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iVmQZwJhsA)]}}} || == 가사 == || '''〈금요일에 만나요〉''' || || ^^'''듀엣 {{{#violet 아이유}}} {{{#gold 장이정}}}'''^^ || || {{{#violet 월요일엔 아마 바쁘지 않을까 화요일도 성급해 보이지 안 그래 수요일은 뭔가 어정쩡한 느낌 목요일은 그냥 내가 왠지 싫어}}} 우 이번 주 금요일 우 금요일에 시간 어때요 {{{#violet 주말까지 기다리긴 힘들어 시간아 달려라}}} [[너랑 나|시계를 더 보채고 싶지만]] {{{#violet Mind Control 일분 일초가 달콤해 이 남자 도대체 뭐야 사랑에 빠지지 않곤 못 배기겠어 온 종일 내 맘은 저기 시계바늘 위에 올라타 한 칸씩 그대에게 더 가까이}}} 나 나나나나 나나나나 나나나 나 나나나나 우 이번 주 금요일 우 금요일에 시간 어때요 {{{#violet 딱히 보고 싶은 영화는 없지만 딱히 먹고 싶은 메뉴는 없지만 주말까지 기다리긴 힘들어 시간아 달려라 시계를 더 보채고 싶지만 Mind Control 일분 일초가 달콤해 이 남자 도대체 뭐야 사랑에 빠지지 않곤 못 배기겠어 온 종일 내 맘은 저기 시계바늘 위에 올라타 한 칸씩 그대에게 더 가까이}}} {{{#gold 나 뭔가에 홀린 것 같아 이 여잔 도대체 뭐야 사랑해주지 않고는 못 배기겠어}}} 돌아오는 이번 주 금요일에 만나요 그 날 내 맘을 더 가져가줘요 나 나나나나 나나나나 나나나 나 나나나나 {{{#violet 더 가까이}}} {{{#gold 더 가까이}}} {{{#violet 더 가까이 와요}}} {{{#gold 더 가까이 와요}}} 더 가까이 라라라라라 라 라라 라라라 라라라 라라라 라라라 || == 성과 == === 음원차트 === * 주요 성과 * '''멜론 주간차트 96주 연속 차트인: 당시 역대 최장 롱런 기록 경신''' * 아이유의 곡들을 통틀어 네 번째로 오랫동안 멜론 주간차트에 차트인 한 곡[* 1위는 <[[Blueming]]> '''144주''', 2위는 <[[밤편지]]> '''120주''', 3위는 <[[내 손을 잡아(아이유)|내 손을 잡아]]> '''110주'''^^진행중^^ (2022년 12월 기준)][* 후술된 내용이지만 음원 사이트가 다운로드 중심에서 스트리밍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나중에 나온 곡일 수록 롱런이 쉽기 때문에 차트인 기간만 일차원적으로 비교해서는 안된다. <금요일에 만나요>가 여전히 롱런의 상징성을 갖고 있는 이유다.] * '''누적 [[가온차트/자료/2억 스트리밍#s-2|2억 스트리밍]] 돌파''' * '''누적 [[가온차트/자료/500만 다운로드#s-2|500만 다운로드]] 돌파 ''' * '''2010년대 멜론 연대차트 5위'''[* 2010년대 연대차트 2위와 7위는 각각 <[[밤편지]]>와 <[[봄 사랑 벚꽃 말고]]>로, 한 가수가 '''연대 차트 TOP 10에 3곡'''을 올리는 믿기 어려운 광경이 펼쳐졌다. [[https://www.melon.com/chart/age/index.htm?chartType=AG&chartGenre=KPOP&chartDate=2010|#]]] 심의도 제때 넣지 않았을 정도로 소속사는 물론, 아이유 본인 역시 크게 성과에 신경을 쓰지 않은 곡이었다. 그럼에도 비활동 곡, 그리고 자작곡으로서는 처음으로 각종 음악방송에서 1위를 차지했다. ~~활동곡이었던 <[[분홍신(아이유)|분홍신]]>보다 성과가 훨씬 좋았다.~~ [[가온차트|가온]] 주간 디지털 차트 '''1주 1위''' 및 주간 디지털 차트 '''4주 연속 TOP10'''에 차트인 했고, 발매 이틀 만에 [[아이차트]] 퍼펙트 올킬(PK)을 기록했다. 2013년 12월 20일에 발매되어 발매 직후 12일간의 폭발적인 집계량이 누락되었음에도 이듬해인 '''2014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 10위'''를 기록했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서는 '''일간차트 1위 10회''' 및 '''주간차트 2주 연속 1위''', '''주간차트 96주간 차트인''' 등 엄청난 성적을 기록했다. 속칭 [[고인물]]화 된 2020년대 현재의 음악 차트 환경보다 훨씬 더 롱런이 어려운 차트 환경에서 달성한 기록이기에 그 의미가 크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스트리밍보다 다운로드 목적으로 음원 사이트를 이용하던 시대라, 아무리 큰 히트곡이라도 지금처럼 연 단위로 차트에 알박고 있는 곡은 아예 있을 수가 없었다. 이 곡이 차트아웃되던 2015년에는 스트리밍 비중이 전보다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50주 이상 차트인도 매우 드문 상황이었다. 그런 시절에 96주 연속 차트인 기록이 나온 것이다. 특히 발매 후 80일 동안 20위권 안에 차트인 하며 비활동 곡임에도 스트리밍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기 전인 당시로선 말도 안 되는 롱런을 보여주었다. 2014년 5월, 리메이크 앨범 [[꽃갈피]] 발매에 힘입어 다시 20위권으로 순위가 올랐다. 이후로도 계속 2~30위권에서 롱런했으며, 발매 7개월이 지난 2014년 7월 기준에도 50위권에 머물렀다. 결국 60위권에서 발매 1주년을 넘기면서 아이유 본인의 '''최장 기간 롱런 곡'''에 등극하였다. 이로써 <금요일에 만나요>는 '''롱런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했다. 2015년 여름을 넘기면서 하위권에서 버티던 <금요일에 만나요>는 본인의 미니앨범 [[CHAT-SHIRE]]의 7곡 줄 세우기로 인해 차트아웃 되고 말았다. --가슴 아픈 [[팀킬]]-- 하지만 2015년 멜론 연간차트에서 무려 '''44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에서는 '''70위'''를 기록했다. [[지니뮤직|지니]]에서는 '''100주 차트인'''을 넘기며 발매 2주년을 맞이할 기세였으나 2주년 직전에 안타깝게도 차트아웃 되었다. 그러나 간간이 [[:파일:Screenshot_2016-02-03-13-56-37.png|재차트인]] 하는 등 이후로도 차트에 모습을 드러냈다. [[네이버 VIBE]]의 경우 발매된 지 7년이 넘은 2021년에도 TOP100 차트에 여전히 차트인 하고 있다. === 음악방송 === ||
'''{{{#ffffff 날짜}}}''' || '''{{{#ffffff 곡명}}}''' || '''{{{#ffffff 음악방송}}}''' || '''{{{#ffffff 비고}}}''' || || 2013. 12. 29. ||<|4>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9a887;" [[금요일에 만나요|{{{#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4관왕''' || 인기가요 || || || 2014. 01. 03. || 뮤직뱅크 || || || 2014. 01. 04. || 쇼! 음악중심 || || || 2014. 01. 05. || 인기가요 || 2주 연속 || == 커리어상의 의미 == <금요일에 만나요>는 아이유가 '''아이돌에서 뮤지션으로 전향하게 된 변곡점'''에 해당하는 곡이기에 커리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곡을 시작으로 이어지는 <[[봄 사랑 벚꽃 말고]]>와 <[[너의 의미#아이유의 커버|너의 의미]]>가 수록된 리메이크 앨범 [[꽃갈피]]가 연이어 대히트를 치면서 2010~2011년 [[국민 여동생]] 신드롬[* <[[잔소리(아이유)|잔소리]]>, <[[좋은 날]]>, <[[너랑 나]]>로 이어지는 3연타는 물론, 《[[영웅호걸#s-2]]》과 《[[드림하이]]》까지 당시 엄청난 파급력을 보여 주었다.] 이후 2012년부터 잠시 하락기에 접어든 아이유라는 브랜드의 가치가 다시 상승하는 초석이 되기도 했다. 바로 이전에 발매했던 <[[분홍신(아이유)|분홍신]]>은 <[[하루 끝]]>까지 이어졌던 소녀스러운 콘셉트에서 벗어나 새로운 콘셉트를 선보인 곡이긴 했지만, 철저히 소속사에 의해 만들어진 기획물로서 <[[좋은 날]]>부터 시작된 '''판타지 시리즈'''를 그대로 이어간 곡이었다. 1940년대 [[찰리 채플린]] 시대의 유럽 고전 콘셉트를 차용한 <분홍신>은 소녀에서 숙녀로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줬을 뿐, 분명히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나올 법한 콘셉트였다. 이런 면에 있어서 <[[좋은 날]]>, <[[너랑 나]]>로 이어지는 기획의 연장선이었다. 콘셉트의 차이만 있을 뿐, 소속사의 아이디어 안에서 움직인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아이돌 가수의 노선이었다. 그러나 <금요일에 만나요>는 아이유 본인의 자작곡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을 뿐더러, 판타지 속 소녀를 노래하는 것이 아닌 보다 현실적이고 감각적인 콘셉트로 크게 무게를 잡지 않으면서 편안한 분위기로 대중들의 귀를 사로잡았다. 이 곡의 가사는 마치 실제 연인이 직접 불러주는 듯한 극현실적인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따라서 귀여움, 섹시 등 특정 콘셉트로 대표되는 아이돌 노선에서 본격적으로 벗어났다는 점에서 굉장한 의미가 있다. 이 때를 기점으로 완전히 곡의 퀄리티에 의존하는 뮤지션으로의 전향이 본격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이후에 발매되었던 곡들을 보면 <[[스물셋]]>, <[[밤편지]]>, <[[팔레트 (Feat. G-DRAGON)|팔레트]]>, <[[삐삐(아이유)|삐삐]]>, <[[Love poem(노래)|Love poem]]> 등 이전까지 보여 주었던 콘셉트와 정반대로 아이유의 자전적인 이야기 혹은 노래 속에 담고 싶은 메시지를 중점으로 다룬 곡들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금요일에 만나요>는 아이유가 '''특정 콘셉트 기반의 음악 활동에서 탈피하여 완전히 자기 자신의 노래를 하게 된 시작점'''으로, 음악적인 참여도가 높아진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가수에게나 소속사에게나 스스로의 역량으로도 충분히 가요계에서 승부를 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을 것이다. 아이유가 십수 년째 큰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아이돌 가수로서 소비되던 이미지를 완전히 뒤집고 뮤지션 혹은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모습을 대중들에게 각인시킨 데 이유가 있다. 이러한 변화를 시도하지 않았거나 그 시도가 성공하지 못하여 아이돌의 모습으로 남았다면, 수 년 안에 내리막길이 찾아왔을 것이고 지금 같은 국민 가수로 결코 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어쩌면 <금요일에 만나요>는 <[[좋은 날]]> 이상으로 아이유의 가수 커리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 관련 영상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딱 한발짝...그 만큼만 더|{{{#191919,#ffffff 딱 한발짝...그 만큼만 더}}}]]〉 콘서트 라이브'''}}}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0YWOA-kkiU)]}}}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유희열의 스케치북|{{{#191919,#ffffff 유희열의 스케치북}}}]] 라이브''' - 2014.09.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JAN8dQgFRU)]}}}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191919,#ffffff 피크닉 라이브 소풍}}} 라이브''' - 2017.05.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7Vq_0XEUo)]}}}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연세대학교|{{{#191919,#ffffff 연세대학교}}}]] 축제 라이브''' - 2017.05.20.}}}[* 풀버전 영상은 [[https://youtu.be/LnXbVk3VvSg|여기]]를 참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gbHlnHyoVo)]}}} || ||
{{{#ffffff '''금요일에 만나요'''[br]'''[[유희열의 스케치북|{{{#191919,#ffffff 유희열의 스케치북}}}]] 라이브''' - 2020.09.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psO6u7v5lY)]}}} || == 여담 == * 이 곡의 러닝타임 1분 1초에는 "'''일분 일초'''가 달콤해"라는 가사가 등장한다. * <[[너랑 나]]>의 가사를 어느 정도 재활용했다. "시계를 더 보채고 싶지만"은 정확히 똑같으며, '시곗바늘'이 같은 맥락으로 가사에 등장한다. * 뮤직비디오는 원 테이크 방식으로 촬영했으며, 아이유의 뮤직비디오 최초로 키스신이 등장한다. * 본래 정규 3집 [[Modern Times]]의 수록곡으로 하려고 했지만, 소속사의 의견으로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 곡이 되었다. * 정규 3집 [[Modern Times]]가 발매되기 한참 전인 2013년 2월에 시원하게 선공개 하기도 했다(...). [[https://youtu.be/fURSM2eWfu4|영상]]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302052333v|기사]] 게임 [[아이온]]의 행사장에 참석하게 된 아이유는 소속사를 통해 노래 몇 곡을 부르고 질문 타임을 받는 소소한 행사라고 들었으나 당일에서야 진행까지 맡아야 하는 MC임을 알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음향 장비까지 엉망이었고 주최 측과 소속사에 화가 난 아이유는 '회사 니들도 당황스러워봐라'는 차원에서 정식 발매 10여 개월 전이었던 <[[Modern Times#Voice Mail|Voice Mail]]>과 <금요일에 만나요> 두 곡을 냅다 불러 버렸다. * 아이유나 회사 모두 큰 기대 없이 발매한 음원이었다고 한다. 아이유가 <[[유인나의 볼륨을 높여요]]>에 출연하여 밝히길, 음원 공개 당일 라디오 생방송을 하던 유인나에게 '신곡이 나왔으니 라디오에서 틀어달라'고 했으나 '''소속사에서 방송 심의조차 신청하지 않아 라디오에서 틀지 못했다'''고 한다. * 외부 행사에서 엄청나게 높은 빈도로 부르는 곡이다. <[[좋은 날]]>과 <[[너랑 나]]>도 행사에 최적화된 곡이기 때문에 그 동안 수없이 불렸지만, 미성년자 때 부른 소녀 콘셉트의 곡이다 보니 2010년대 말부터는 부를 때도 안 부를 때도 있게 되었다. 반면, <금요일에 만나요>는 발매 후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행사에서 빠짐없이 부르고 있다. * 콘서트나 행사에서 이 곡을 부를 때는 관객들과 부분적으로 떼창을 하는데, 특히 후반부의 장이정 파트는 관객들에게 통째로 넘기기도 한다. * 아이유가 장기간 광고 모델로 활동 중인 [[참이슬]]의 광고에 개사되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https://youtu.be/LbEHmMv_qwY|영상]] * 이 노래에 피처링으로 참여한 [[EL CAPITXN|장이정]]은 이후 [[빅히트 뮤직]]의 프로듀서가 되어 아이유와 [[슈가(방탄소년단)|슈가]]의 콜라보 음원인 <[[에잇]]>의 제작에 참여했다. * [[티키틱]]에서 뮤지컬 스타일로 커버했다. 가사는 거의 바뀌지 않았지만 조별과제를 하면서 우여곡절을 겪는 내용으로 바꾸어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e4xKKEwyo54|영상]] == 관련 문서 == * [[금요일]] * [[일주일#s-6|일주일과 관련된 작품들]] * [[연금#s-3]] == [[리듬 게임]] 수록 ==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HAN, 앵커=금요일에 만나요)] [[분류:아이유의 노래]][[분류:2013년 노래]][[분류:Modern Times]][[분류:HIGH5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