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라의 고분문화, rd1=고분문화, paragraph1=4)] [include(틀:신라의 고총 고분군)] [include(틀:신라왕릉)] ---- [[파일:금척리 고분군 전경.jpg]] 금척리 고분군의 남쪽 전경. 가장 좌측에 보이는 고분이 가장 큰 48호분이다.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43호}}}''' || || {{{+1 {{{#fff '''경주 금척리 고분군'''}}}}}} {{{-1 {{{#fff 慶州 金尺里 古墳群}}}}}} {{{-1 {{{#fff Tombs of Geumchuk-li}}}}}}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192-1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 || '''{{{#fff 면적}}}''' || 146,243㎡ || || '''{{{#fff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fff 제작시기}}}''' || [[신라]]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금척리 고분군, 너비=360)]}}}}}}}}} || [목차] == 개요 == 金尺里 古墳群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에 위치한 [[신라]]의 고총 고분군이다.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43호로 지정되었다. 건천 금척리 일대는 [[서라벌|신라의 수도]]의 교통의 요충지로 경주의 한반도 내륙 방향 육로교통의 관문과 같은 지역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4세기 이전부터 건천읍 주변에는 사라리 고분군이라는 대형 목곽묘 고분군이 형성되기도 했다.] 지금으로 치면 [[서울]]의 [[과천]] 같은 곳이다. 4세기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5~6세기에 완성된 신라의 대형 고분군으로써 [[대릉원]] 일대의 고분군 다음으로 고총들이 많다. 대릉원과 비슷한 풍경을 가진 곳으로 대릉원이 경주 분지에 형성된 후, 7세기 이후부터 [[당나라|당]]의 영향으로 방리제(方里制)[* 바둑판처럼 도로를 만들고 도시를 구획하는 제도. 도로에 의해서 사각형의 공간이 생기므로 모날 방(方)자를 쓴다.]를 시행, 규격화된 거리로 구성된 도시를 만들었다는 것이 금척리 고분군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바로 뒤에 방리제의 흔적들이 발굴[* 방내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동네 이름은 방의 안의 마을, 즉 도시의 안쪽 마을이란 뜻이다.]조사를 통해서 드러났다. 경주처럼 도시 한가운데에 무덤이 있는 특유의 형태로 도시경관이 형성되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229300|관련 기사]] 이런 특성으로 볼때 금척리 고분군은 관광자원으로 정비되어 활용될 여지가 많다. 발굴은 일제강점기에 되었으며, 원래 형성되있던 도로를 가도로 만들면서 훼손된 일부 고분에 대한 수습조사가 전부다. 조사보고서조차 없다. 해방 이후에 또 조사를 했지만 2021년까지 정식 보고서가 없었다.[* 1952년, 1976년, 1981년 조사 후 보고를 했으나, 현대 기준으로 상당히 부실한 약식보고였다. 그나마 국립경주박물관에서 2021년에 1981년 조사에 대해서 정식보고서를 발간했다.] 이후 금척리 고분군에는 발굴과 보고의 체계가 정립된 90년대 이후의 발굴은 없었다. == 주요 고분 == 금척리 고분군은 52기의 크고 작은 무덤으로 구성된 고총 고분군으로써 5~6세기 신라의 지방진출과 지배 방식의 일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발굴자료가 많지 않아 상세한 내용은 없지만 개요의 내용처럼 이 지역 일대의 위상은 매우 높았다. 또한 신라의 지방 고총들 가운데서 금척리 고분군이 가장 크다. * 금척리 48호분 금척리 소재 여타 고분들도 [[대릉원]]의 [[황남대총|여]][[천마총|러]] 고총들마냥 발굴이 된다면 대중의 관심을 끌만한 유물들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그 가운데서도 [[황남대총]]의 미니 버전인 금척리 48호분이 가능성이 가장 높다. 다른 신라 고분들처럼 적석목곽묘일 확률이 매우 크고 황남대총이 대릉원에서 가장 큰 것 처럼 48호도 금척리 고분군에서 가장 크다. 크기는 [[천마총]] 정도. 또 황남대총과 마찬가지로 연접분이다. == 여담 == 금척리 고분군의 '금척(金尺)'은 [[금척|황금 자(金尺)]]란 뜻이다. 여기에 대해 설화가 전해진다. 신라에서는 신이한 힘이 지닌 황금 자, 금척을 이용해서 여러가지 이득을 많이 봤다. 이런 신묘한 금척을 탐낸 중국에서 바칠 것을 요구하자 큰 무덤 여러 기를 만들어 그 사이에 숨겼다고 한다. 그이후로 금척을 찾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 금자에 대한 설화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설이 있다.[* 태조 [[이성계]]와 금자가 관련된 설화도 있다.] [[금척]] 항목 참고. 금척리 고분군이 있는 [[경주시/행정#s-2.2|건천읍]]은 [[상주시]] [[상주시/행정#s-1.2.7|은척면]]과 자매결연을 했다. 황금 [[자(도구)|자]]의 설화의 다른 판본에는 은으로 된 자 이야기가 있다. [[http://www.gyeongju.go.kr/news/page.do?mnu_uid=1341&&parm_bod_uid=95801&step=258|기사 참고]] 금척리 고분군은 경주사람들만 아는 경주 진입 루트인 [[4번 국도]]가 양분해 놓은 형국이다. 고분군이 본격적으로 정비되면 [[서울]] [[석촌동 고분군]]처럼 교통로와 관련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척리 고분군과 근처 버스정류장 사이에 시가 새겨진 비석이 있는 작은 공원이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경주_금척리_고분군|한국어 위키백과: 경주 금척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812&cid=46619&categoryId=46619|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주 금척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7908&cid=43065&categoryId=43065|고고학사전: 금척리 고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829&cid=42856&categoryId=42856|대한민국 구석구석: 경주 금척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4879&cid=42840&categoryId=42846|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금척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023&cid=42840&categoryId=42846|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경주 금척리 고분군]]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478&cid=40942&categoryId=33545|두산백과: 경주 금척리 고분군]] == 사적 제4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0430000,37&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경주 금척리 고분군 (慶州 金尺里 古墳群)]] >경주 근교 금척리 평지에 있는 신라의 무덤들로, 크고 작은 30여기의 무덤이 모여 있다. > >아직 본격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1952년에 파괴된 무덤 2기를 조사하였다. 무덤 내부는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곽)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이다. 유물은 금귀고리와 굽은 옥 등이 수습되었다. 이곳의 무덤들은 모두 경주시내의 평지 무덤들보다 규모가 작아 신라의 낮은 귀족들의 무덤으로 짐작된다. > >이곳은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가 하늘에서 받은 금으로 만든 자(금자)를 숨기기 위해서 40여 개의 가짜무덤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곳으로 지금도 이 무덤들 속에 묻혀 있을 것이라 전한다. [[분류:신라]][[분류:고분]][[분류:신라왕릉]][[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경상북도의 무덤]][[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