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특별시의 자치구, rd1=금천구)] [include(틀:황해북도의 시군)] ||<-2> {{{+1 금천군}}}[br]金川郡 / Kŭmchŏn County || || 국가 || [[북한]](실질적)[br][[대한민국]](명목적) || || 광복 당시 면적 || 959㎢ || || 광역시도 || [[황해북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2면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금천군, 너비=100%, 높이=2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황해북도]]의 군. 이북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황해도]]. 한국의 시·군 단위 지명에서 '[[金]](쇠 금)'으로 시작하는 시·군명은 대개 '김'으로 읽어야 하는([[김천시]], [[김포시]], [[김제시]], [[김해시]], [[김화군]] 등) 것과 달리 여기는 '금'이라 읽어야 한다.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금'자는 옷깃 금(衿)자이므로 이 곳과 한자가 다르다. == 지리 == 군의 서부 중앙을 [[예성강]]이 흐른다. 이북5도상 행정구역 기준으로 군 동쪽에는 [[임진강]]이 흐르는데, 대체로 강원도와의 경계를 이루지만 토산면 내리, 외리, 부압리 지역은 임진강을 건넌 [[월경지]]이다. == 역사 == [[삼국시대]] 중기 [[고구려]]가 이 땅을 차지한 후 우잠군(牛岑郡)과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후 차지한 뒤 신라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우잠군은 우봉군(牛峯郡), 오사함달현은 토산군(兎山郡)으로 개칭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금천군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중기까지 군의 서쪽은 강음, 중앙은 우봉, 동쪽은 토산으로 불렸으나, 강음과 우봉은 [[효종(조선)|효종]]대에 합쳐져 금천군이 되었고, [[토산군]]은 [[부군면 통폐합|1914년에 편입되었다]]. 광복 당시 면적 959.5km², 하위행정구역은 12면으로 되어 있었다. [[경의선]] 철도가 지나가며, [[개성시]]에서 [[평산군|남천]], [[사리원시]] 방면으로 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 곳이다. 개성인삼이라고 불리는 인삼이 이 곳에서도 재배되었다. == 교통 == [[개성평양간 고속도로]]가 여기를 지나며, [[평의선]] 혹은 [[경의선]]의 [[금천역]]이 시가지 근처에 있다. 남북통일 이후에는 평양개성간 고속도로와 경의선을 끼고 있어서 교통거점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 출신인물 == [[우봉 최씨]]와 [[우봉 이씨]]의 발상지가 이 군 우봉면이다. 고려 말 [[무인정권]]의 지배자 [[최충헌]]과 4대에 이르는 최씨 무인정권은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최씨]]이다. 똑같이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이씨]] 출신 인물 중에서는 [[을사오적]] 중 한명인 '''[[이완용]]'''이 있다.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총 1읍 14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금천읍 * 리: 백양리, 신강리, 백마리, 남정리, 용성리, 현내리, 원명리, 문명리, 월암리, 계정리, 덕산리, 강북리, 강남리, 양합리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금천군기.png|width=50%]] ||<-3> '''[[파일:황해도 휘장.svg|height=15]] [[황해도|{{{#000000,#dddddd 황해도}}}]]의 [[황해도|{{{#000000,#dddddd 미수복지구(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금천군 상징.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금천군}}}'''[br]金川郡[br]{{{-1 Kŭmchŏn County}}}}}}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천군.jpg|width=100%]]}}} || || '''군청 소재지''' ||<-2> 금천면 금릉리 || || '''광역자치단체''' ||<-2> [[황해도]] || || '''하위 행정구역''' ||<-2> 12[[면(행정구역)|면]] 111[[리(행정구역)|리]] || || '''면적''' ||<-2> 959.46㎢ || || '''인구''' ||<-2> 72,281명[* 1944년 호구조사] || || '''인구밀도''' ||<-2> 75.33명/㎢ || || '''명예읍·면장'''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이북5도위원회|{{{#ffffff '''관선'''}}}]]}}} || 12석 || || '''홈페이지''' ||<-2> [[http://www.ibuk5do.go.kr/5do/frt/sub/popup/a03/cityIntroduceGeumcheon/screen.do|이북5도위원회 금천군 소개]] || 남쪽은 [[경기도]] 개풍군·장단군, [[황해도]] [[연백군]]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도 평산군, 북쪽은 신계군과, 동쪽은 [[강원도]] 이천군·철원군, [[경기도]] 연천군과 접한다. === 구 금천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금천군이었던 곳이다. * '''금천면'''(金川面) * 관할 리 : __금릉(金陵)__, 가덕(加德), 갈현(葛峴), 마전(馬前), 문명(文明), 소학(巢鶴), 영파(映波), 용인(龍仁), 월암(月巖), 잠성(岑城), 중산(中山), 학현(鶴峴) * 1929년 금교면(金郊面)[*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구수면(九水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던 면]에서 개칭되었다. 면사무소와 군청 소재지는 금릉리이며, [[경의선]] 철도가 지나는 곳으로 [[금천역]]이 있다. * '''고동면'''(古東面) * 관할 리 : __송현(松峴)__, 강정(江亭), 구성(鷗城), 구읍(舊邑), 구현(九峴), 나성(羅城), 덕산(德山), 지동(紙洞) * 1914년 고현면(古縣面)과 동면(東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경의선 철도가 [[개성시]] 구 [[개풍군]] 방면에서 이 면을 지나 금천면, 평양 방면으로 이어져 있고, [[계정역]]이 있다. 구읍리에 [[임꺽정]]의 배경이 되는 청석골이 있다. * '''구이면'''(口耳面) * 관할 리 : __덕안(德安)__, 관문(冠門), 무릉(武陵), 문성(文成), 송천(松川), 미당(美堂), 월전(月田) * 원래 금천군 지역이었으나 1952년 토산군에 편입되었다. * '''산외면'''(山外面) * 관할 리 : __신명(新明)__, 설학(雪鶴), 영청(永淸), 오봉(梧鳳), 황룡(黃龍) * 군의 가장 서쪽에 있다. 예성강 서쪽에 있는 2개 면 중 하나로(다른 하나는 서북면) 현재는 북한의 [[봉천군]]에 속한다. * '''서북면'''(西北面) * 관할 리 : __조읍(助邑)__, 강음(江陰), 광신(廣新), 노홍(鷺鴻), 백석(白石), 용진(龍津), 원산(圓山), 전포(典浦), 화암(花巖) * 1914년 서면(西面)과 북면(北面), [[평산군]] 금암면 이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 조선 중기까지 강음현의 중심지였다. * 예성강 서쪽에 있어 현재는 북한의 [[봉천군]]에 속한다. 하지만 원산리 부근에 설치된 댐 때문에 면소재지인 조읍리를 포함하여 대부분 평야 지역은 수몰되고 만 비운의 지역. * '''우봉면'''(牛峰面) * 관할 리 : __송정(松亭)__, 남정(南亭), 대오(大烏), 마산(馬山), 묘암(猫巖), 삼산(三山), 용성(龍城), 우봉(牛峰), 원명(圓明), 장릉(長陵), 장지(長芝) * 1939년 현내면(縣內面)과 백마면(白馬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조선 중기까지 우봉현의 중심지였다. [[대둔산]] 기슭에 고찰 원명사(圓明寺)가 있다. * '''웅덕면'''(雄德面) * 관할 리 : __백양(白陽)__, 고릉(古陵), 고성(古城), 매남(梅南), 매서(梅西), 문탄(文灘), 법천(法川), 벽파(碧波), 봉탄(鳳灘), 신강(新江), 어양(漁陽), 용천(龍川) * 1939년 호현면(好賢面)과 동화면(冬火面)[* 광복 직후에 면이 복구되었다가 1952년에 다시 폐지되었다.]을 병합하여 신설한 면이다. 면의 북쪽으로 [[청년이천선]] 철도가 있지만, 현재 [[기탄역]] 일대가 북한 행정상 평산군에 편입되어 있다. * '''좌면'''(左面) * 관할 리 : __구성(龜城)__, 고산(高山), 백화(白花), 북산(北山), 송세(松細), 암사(巖寺), 장현(墻峴) * 원래는 백빈면(白蘋面)이었다가 1914년에 개칭되었다. 이름과는 달리 금천군 중북부에 있다. === 구 토산현 지역 === 과거 토산현에 속했던 미원면(美原面)은 [[신계군]] 수면(水面)의 6개 리와 병합되어 신계군 다미면(多美面)으로 재편되었다. * '''서천면'''(西泉面) * 관할 리 : __시변(市邊)__, 냉정(冷井), 두석(豆石), 문빈(聞濱), 봉불(烽佛), 상사(上舍), 유정(楡井), 율(栗), 이구(梨邱), 하남(下南), 홍묘(洪墓) * 1914년 서가면(西加面)과 천동면(泉洞面), 석적면(石積面)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토산군]] 소재지. 면소재지인 시변리는 과거부터 장터가 서는 지역 상권의 중심지였다. * '''외류면'''(外柳面) * 관할 리 : __석두(石頭)__, 대북포(大北浦), 마우(馬友), 문수(文修), 소북포(小北浦), 실어(實於), 안봉(安鳳), 청항(靑項) * 1914년 외현면(外峴面)과 유촌면(柳村面)를 병합하여 신설된 면이다. [[임진강]]을 경계로 [[강원도(북한)|강원도]] [[이천군]]과 접한다. * '''토산면'''(兎山面) * 관할 리 : __당관(堂官)__, 결운(結雲), 내(內), 두모(頭毛), 부압(浮鴨), 상(上), 세읍(細邑), 양사(陽寺), 연암(輦巖), 외(外), 장포(長浦), 학산(鶴山), 행정(杏亭) * 옛 토산군의 중심지. 1938년 월성면(月城面, 당관·내·부압·상·연암·외·학산리)과 숙인면(宿仁面, 결운·두모·세읍·양사·장포·행정리)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임진강을 경계로 강원도 이천군, [[철원군]]과 접하는데, 일부 면역(面域)은 임진강 동쪽에 있다. * 임진강 동쪽에 있는 3개 리(내, 외, 부압)는 현재는 북한의 [[철원군(북한)]]에 속한다. * '''합탄면'''(合灘面) * 관할 리 : __매후(梅後)__, 구량(九良), 도천(桃川), 마전(麻田), 미산(尾山), 송탄(松灘), 수원(水源), 수합(水合) * 1914년 석적면(石積面) 일부를 편입하였다. [[분류:황해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