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OCG]]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2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기간테크 파이터, 일어판명칭=ギガンテック・ファイター, 영어판명칭=Colossal Fighter,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이 카드의 공격력은 서로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의 수 × 1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7698|유희왕 공식 DB 일본어판 재정]]''' >'''이 카드의 공격력은 서로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의 수 × 100 포인트 올린다.'''의 몬스터 효과는 [[지속효과|지속 효과]]다. >자신과 상대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의 매수의 합계가 변화했을 경우, 올리는 공격력도 다시 변화한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의 몬스터 효과는 [[유발효과|유발 효과]]다. (기간테크 파이터 자신이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하는 효과다.)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의 몬스터 효과는,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효과다. (기간테크 파이터 자신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유희왕 5D's]]의 첫 [[스타터 덱]]인 [[스타터 덱 2008]]의 오리지널 싱크로 몬스터. 두 번째 효과는 전투 파괴시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임의 발동 [[유발 효과]]. 원작 [[리바이벌 슬라임]]에 가까운 효과로, OCG판 리바이벌 슬라임의 실질적인 상위호환이라 할 수 있다. 효과가 발동하는 것이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에 간 시점이라 이 덕분에 파괴된 자신도 선택이 가능하다. 즉 간접적으로 전투 소생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묘지 발동이라서 [[스킬 드레인]]이 발동되어 있는 상태라도 소생할 수 있다.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의 수만큼 공격력을 늘리는 효과도 있어서, 피니셔가 부족한 [[데스티니 히어로]]등의 전사덱에 가끔씩 채택되기도 했었다. 전사족 덱이라면 공격력이 상당히 불어나서 높아 봐야 3000을 넘기기 힘든 어지간한 다른 에이스 몬스터들을 전부 때려잡을 수 있게 되며, 사실상 전투 파괴 내성을 지닌 특성상 [[수축(유희왕)|수축]] 같은 공격력 증감 카드로 대처가 불가능하다. 참고로 묘지의 전사족은 상대 묘지의 전사족도 세며, 상대 묘지의 전사족도 소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경우는 그냥 자기 자신을 소생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가끔 [[카오스 솔저 -개벽-]]같은 걸 끌고 오는데 성공하면 상대에게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 소재 제한도 없고 효과나 능력치가 워낙 좋아서 채용하기는 쉽지만, 어차피 이만한 대형 몬스터를 제거하는 데는 주로 효과 제거가 주된 수단이 되며 거기에는 완전히 무력하다는 점이 단점. 소재 제한이 없는 8레벨이라 소환하기 쉽고 오래된 카드답게 효과 발동에 제약이 없어 한 턴에도 여러번 부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거에는 [[다크 암드 드래곤]], [[춘희 티타니얼]],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크림즌 블레이더]], [[신룡기사 펠그란트]], [[고요우 가디언]] 등 공격력이 딱 2800인 공격 표시 몬스터들을 전투 파괴한 뒤 자신은 소생하여 추가 공격하는 식으로 쓰이곤 했다. 인플레가 진행된 현 환경에서 이 카드의 활용법은 8레벨 싱크로가 가능한 전개 덱의 [[증식의 G]] 대책이 되었다. 전투 데미지를 감수하고 자폭-부활을 반복해 증식의 G를 사용한 상대의 [[덱 파괴]]를 노리는 것. [[레인보우 라이프]]를 이용하면 이 카드로 자신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계속 공격-자폭-레인보우 라이프 효과로 라이프 회복-기간테크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배틀 페이즈 중에 특수 소환되면 재공격이 가능하므로 다시 자신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공격하면 [[유희왕/무한 루프#기간테크 파이터 편|무한 루프]]가 되어서 [[https://youtu.be/Go7rZqJI3h4?t=368|라이프를 무한정 불릴 수 있다]]. 한때 코나미 사무국에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냐는 질문이 올라온 적이 있었는데, 답변은 '''1턴의 제한시간 3분 안에 해결할 수 있다면 몇 번이고 라이프를 불려먹어도 된다'''는 것이었다. 무한 루프의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 이 루프의 존재 때문에 레인보우 라이프는 세계대회에서 사용할 수 없는 특별 금지 카드로 지정되어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 마스터 듀얼 부문 선수 중 Josh가 가장 좋아하는 카드로 기간테크 파이터를 골랐었는데,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덱에 이 카드를 투입한 채로 우승까지 한 것이 소소하게 주목받기도 했다. 애니메이션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못했지만, 그 대신에 [[우시오 테츠#디스코드 카운터|디스코드 카운터]], 싱크로 블래스트, [[싱크로 체인지]] 같은 여러 카드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타터 덱 2008]] || YSD3-KR04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타터 덱 2008]] || YSD3-JP043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스타터 덱 2008|Starter Deck: Yu-Gi-Oh 5D's]] || 5DS1-EN04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Duelist League 9 배포 || DL09-EN012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절판 || || Turbo Pack 5 || TU05-EN000 || [[얼티미트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기간테크 파이터 / 버스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74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기간테크 파이터 / 버스터, 일어판명칭=ギガンテック・ファイター/(スラッシュ)バスター, 영어판명칭=Colossal Fighter/Assault Mode, 레벨=10,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33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는 일반 소환/세트할 수 없다. "버스터 모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모든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전사족 몬스터의 수 × 100 포인트 내린다.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전사족 몬스터를 2장까지 선택하고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또한\, 필드 위에 존재하는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기간테크 파이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TCG [[심홍의 위기]]와 OCG [[엑스트라 팩]] 2에 추가된 /버스터 몬스터. 특수 소환시 덱에서 전사족 몬스터를 2장 묘지로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묘지의 전사족 수만큼 내리기에, 실질적으로 이 카드가 나오는 순간 기본적으로 묘지에 전사족이 3장인지라 공격력 3500까지 전투로 파괴할 수 있게 된다. 상대 몬스터를 약체화시키는 효과인지라 같이 싸우는 다른 몬스터들도 도와줄 수 있고, [[저승사자 고즈]]의 카이엔 토큰도 두렵지 않다. 전사족 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내는 효과는 [[데스티니 히어로 대시 가이]]나 [[네크로 가드너]]같은 무덤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를 보내는데 쓰면 좋다. 다만 이게 타이밍을 놓칠 수 있는 임의 효과라 체인 2 이후에 버스터 모드가 발동되어 나왔을 경우에는 매장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되니 주의할 것. 능력치도 좋고 약한 건 아니지만 원본에 비해 아주 대단히 나아진 게 아니기 때문인지 활용도는 좀 미묘하다. 버스터 모드 특유의 아머만 부수고 되살아나는 보험 효과 때문에 원본의 가장 큰 특징이었던 소생 효과가 사라져버렸다. 일단 효과 파괴에도 대응해주며 그렇게 나온 원본은 다시 소생 효과를 갖게 되긴 하지만 타이밍을 놓칠 가능성이 있으며, 공격 성능이 아주 대단히 나아진 것도 아니고 결국은 공격력 700 정도를 더 보장해줄 뿐이다. 직접 공격시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할 때 등을 생각해보면 상대 몬스터를 약체화시키는 것보다는 원본처럼 자신을 강화시키는 게 더 나은 경우도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물론 원본을 이걸로 만드는게 더 강해지긴 하지만, 버스터 모드 특유의 불안정성을 감수하면서까지 소환해야 할 정도로 많이 강해지진 않는다는게 문제라는 것. [[하이퍼 사이코거너|하이퍼 사이코거너/버스터]]와 비슷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하이퍼 사이코거너는 그나마 같은 값으로 뽑을 수 있는 놈이라도 없지만 이놈은 같은 값으로 강력한 퍼미션 효과의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를 뽑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더 슬퍼진다. 일단 전용 덱을 짠다면 원본이 효과에 당할 것 같을때 이걸로 바꿔 피할 수도 있고 성능 강화도 되니 쓸 가치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역시 전술한 대로 버스터 모드 특유의 불안정성은 감수해야 한다. 그래도 [[레드 데몬즈 드래곤|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보단 쓰기 쉽다. 의외로 [[주바바 제너럴]]과의 시너지가 있다. 패의 이 카드를 주바바 제너럴에 장착시키면 공격력은 '''5300'''이 되고, 그 상태에서 이 카드가 파괴되어도 묘지의 기간테크 파이터를 소생시킬 수 있다. 물론 먼저 기간테크 파이터가 묘지에 있어야 쓸모가 있지만, 그래도 이 카드는 공격력 상승폭이 장착 가능한 전사족 중에서 꽤 높은 편이다. 기간테크 파이터/버스터가 일본에서 발매되었을 때, 기간테크 파이터는 이미 '''절판 카드'''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엑스트라 팩]] Vol.2 || EXP2-KR03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Vol.2 || EXP2-JP03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br]Sneak Preview 이벤트 || CRMS-ENSP1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br]절판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00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버스터 모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