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스프라이트(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ギガンティック・スプライ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간틱 스프라이트, 일어판명칭=ギガンティック・スプライト, 영어판명칭=Gigantic Spright,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600, 수비력=1600, 소재=레벨 2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링크 2 몬스터를 레벨 2 몬스터로 하고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 중 어느 것을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배가 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덱에서 레벨 2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서로 레벨 2 / 랭크 2 / 링크 2 인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의 에이스를 담당하는 엑시즈 몬스터. '''링크 2 몬스터도 레벨 2 몬스터로 취급해 엑시즈 소환할 수 있는 효과 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최초로 링크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의 정규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시오르페골 딩기르수]]처럼 단순히 위에 겹치는 게 아니라 링크 몬스터를 레벨 2 몬스터로 취급해 엑시즈 소환에 필요한 소재로 쓰는 것이기에, 다른 레벨 2/링크 2 몬스터를 추가로 사용해 소재 2장을 모아야 한다. 어쨌든 스프라이트 스프린드 등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는 몬스터'''를 갈아치우는 역할로서도 기능한다. ①의 효과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 중 하나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을 경우 원래 공격력을 2배로 하는 [[지속 효과]]로, 이 카드는 링크 2를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속 효과를 적용받는 것은 어렵지 않다. 효과가 적용되면 타점이 3200이나 되어 상당한 수준. 감마 버스트까지 쓰면 4600, 캣 샤크를 쓰면 무려 6400까지 찍을 수 있다.[* 두 카드를 모두 사용했을 때의 최대 공격력은 무려 7800. 4600의 두 배면 9200이 아니냐고 할 수도 있는데, 캣 샤크의 효과는 '''원래 공격력 만큼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공격력의 2배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4600상태에서 캣 샤크를 써도 원래 공격력인 3200의 두 배인 6400이 된다. 즉 두 효과를 모두 받으려면 캣 샤크의 효과를 먼저 사용하고 감마버스트를 사용해야 하며, 따라서 최대 공격력은 6400+1400인 7800이 된다.] ②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 하나를 제거하고 레벨 2 몬스터를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간편하면서 강력한 효과로, 스프라이트 이외의 레벨 2 몬스터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므로 여러 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 효과를 발동하면 턴 종료시까지 레벨 2 / 랭크 2 / 링크 2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게 되지만, 기묘하게도 '''서로에게 걸리는 제약이기 때문에''' [[원시생명체 니비루]]의 효과 및 [[초융합]]은 물론, 상대 턴에 몬스터를 소환하는 대부분의 범용 몬스터 및 오르페골, 프랭키즈, 드래곤메이드 등의 테마에게 매우 강력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게다가 자신의 엑시즈 소재가 아니라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가 없더라도 다른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제거하면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스프라이트라는 테마 자체가 강력한 비판을 받는 가장 큰 이유다. 기본적으로 디메리트라는 건 효과를 사용하는 플레이어에게 걸리는 제약인데, '''그 정의 자체를 완전히 무시하는''' 디메리트다. 효과를 사용하지도 않은 상대방조차 디메리트를 같이 받게 되고, 그 디메리트 덕분에 효과를 사용한 플레이어에게는 메리트로 적용하는 점 때문에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나마도 기동 효과여서 망정이지 유발 즉시 효과였다면 엘프와 함께 영원히 감옥행이었다. 주의할 점으로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은 '''코스트가 아닌 효과'''다. 즉 효과를 발동할 시기에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효과 발동 후 체인 블록을 처리할 시기에 소재를 제거하며 처리'''되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를 맞으면 소재가 제거되지 않으며, 소재를 가진 자신의 다른 엑시즈 몬스터가 없는 상태에서 유령토끼등을 맞아 본체가 터지거나, 착각해서 레드의 효과로 기간틱 스프라이트를 릴리스하면 효과 발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아하시마의 효과 트리거로도 쓸 수 없다. 토끼 등의 카드로 인해 본체가 터지지 않게 지키는 방법으로는 초동을 위해 일반 소환한 몬스터로 만든 알미라지가 쓰기 편하다. 특수소환 제약은 게임 내 시스템 상으로는 그냥 효과다. 따라서 만약 기간틱의 효과가 무효화 되었다면 소환에 걸리는 제약 또한 무효화된다. 하지만 효과를 발동한 후 무효화 된 것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토끼를 맞았다거나 해서 소재를 제거할 수 없어서 효과가 불발됐더라도 '''서로에게 걸리는 소환 제약은 남아있다'''는 재정이다. ‘불발’이 된 것이지 ‘발동’은 한 것이기 때문에 ‘이 효과의 발동 후’라는 요건은 충족되었다는 논리인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는 2020년 룰 개정부터 디메리트 처리 시점이 변경되었다.[[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5&fid=23648&keyword=&tag=-1|db (일어 설정 필요).]] 다만 기간틱 같이 ‘~한 턴’ 혹은 ‘~후’가 아니라 ‘~하는 턴’이라는 맹세 효과들은 넘버링 내에 들어가있더라도 효과 무효화 여부와는 상관없이 제약이 걸린다는 재정이니 주의할 것. 일종의 "코스트" 취급으로 처리된다고 이해하면 될 듯 하다. 소재 제약이 전혀 없는 건 물론 전개에 매우 유용한 덱 특소 효과와 강력한 소환 제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뛰어난 범용성을 자랑하는 에이스 카드. 여담으로, [[전광천조]]에 이어 두번째이자 유이한 번개족 엑시즈 몬스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QvyGnRUUAA4806.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517110903828754432|설정화]] || 이름의 유래는 블루 제트와 레드 스프라이트가 합쳐진 자이언트 제트. 몸통 디자인은 [[UFO]]가 모티브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거대한 탄산 소환 연출.gif|width=8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스프라이트의 에이스 몬스터답게 스프라이트 카드군에서는 유일하게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 소환할 만한 몬스터 일람 == * 순수 및 혼합형을 가리지 않고 징검다리로 쓰는 경우 *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블루/제트]]: 초동에 이들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덱에서 끌어와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레드/캐롯]]: 전개에 필요한 밑준비가 다 갖춰진 상태라면 이쪽을 가져와 퍼미션을 추가할 수 있다. 특히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괴격 베어브룸|트라이브리게이드 괴격 베어브룸]]를 소재로 써서 전개를 마무리짓는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에서 많이 뽑는다. * '''[[개구리(유희왕)|도깨비 개구리]]''': 덱에서 끌어와 풍류 깨구리를 덤핑한 다음 전개를 이어갈 수 있다. * 특정 혼합 덱에서 * [[이빌트윈|Live☆Twin 몬스터]]: 초동으로 꺼낸 라이브트윈 몬스터가 패 트랩을 맞았지만 스프라이트의 패 특소 효과로 보완이 가능할 경우, 기간틱 스프라이트로 묘지 효과를 가진 반대쪽 몬스터를 소환해 전개를 이어나갈 수 있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에는 써니를 소환할 수 없고, 라이브 트윈 몬스터들을 뽑고난 후에는 악마족 몬스터 밖에 뽑지 못하는 이중 제약이 걸린다는 점을 주의할 것. * [[트라이브리게이드 키트]]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케라스|트라이브리게이드 케라스]]: 특히나 키트의 경우, 기간틱과 링크해 엘프나 스프린드를 뽑는다면 묘지 덤핑 효과를 격발시켜 트라이브리게이드 기믹의 연결고리가 된다. 다만 이 효과를 사용하면 트라게 몬스터로 링크2 몬스터 밖에 뽑아낼 수 없게 되고, 추가로 트라이브리게이드 몬스터의 링크 몬스터를 뽑는 효과를 쓰면 링크 소재에 제약이 걸리는 이중제약이 생겨 기간틱 스프라이트 등을 링크 소재로 못 쓰게 되므로 주의. * 범용성이 높지는 않지만 특정 상황 혹은 구축에서 * '''[[증식의 G]]''': 전개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파츠이지만, 필드에 [[개구리(유희왕)|도깨비 개구리]]가 있다면 소환 후 도깨비의 효과로 패로 올려서 다음 턴 사용할 패트랩으로 만들 수 있다. * [[PSY프레임기어 γ]]: 증식의 G와 이하동문. 하지만 사용하려면 [[PSY프레임로드 Λ]]가 필요하다. *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 이브리스+@로 스프라이트 엘프를 링크 소환하여 손쉽게 이브리스를 떠넘길 수 있다. 다만 [[금지된 일적]]의 코스트로 쓰거나 혹은 [[링그리보]] 같은 링크 소재로 치워버리는 경우가 있어 이런 카드들을 쓰지 않는 특정 덱 저격으로 사용하는 정도이다. * [[히어로 키즈]]: 특수 소환하면 몬스터를 최대 3장까지 늘릴 수 있다. 다만 패에 잡히면 곤란하기에 채용률이 갈리는 파츠. * [[이피리아]], [[캡쉘]]: 전개를 시작하거나 기간틱으로 끌어오는 것으로 드로우를 볼 수 있다. 스프라이트 카드군 내에는 서치와 리크루트는 많지만 드로우 효과가 없으므로 전개에 필요한 패가 충분할 때 겸사겸사 꺼내면 좋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OTE-JP047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POWER OF THE ELEME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07-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OTE-KR047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08-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OTE-EN047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Power of the Eleme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프라이트(유희왕), version=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