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동전사 건담 UC]][[분류: 일본 SF 소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 소설의 2010년 애니메이션 작품, rd1=기동전사 건담 UC(OVA))] ||<-5> [[우주세기|{{{#ffffff 우주세기 건담 시리즈 (시대순)}}}]] ||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 ▶ || '''기동전사 건담 UC''' || ▶ ||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c0000, #dc0000, #bb0000, #3b0505)" {{{#ffffff '''{{{+1 기동전사 건담 [ruby(UC,ruby=유니콘)]}}}[br]機動戦士ガンダム[ruby(UC,ruby=ユニコーン)][br]Mobile Suit Gundam Unicorn'''}}}}}} ||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gundam_uc.jpg|width=100%]]}}} || || '''장르''' ||[[리얼로봇물]] || || '''원작''' ||[[야타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 || '''저자''' ||[[후쿠이 하루토시]] || || '''삽화''' ||코사이 타카유키(虎哉孝征) || || '''캐릭터 디자인''' ||[[야스히코 요시카즈]] || || '''메카닉 디자인''' ||[[카토키 하지메]] || || '''출판사'''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KADOKAWA]][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AK 커뮤니케이션즈]] || || '''연재처'''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건담 에이스]] || || '''연재 기간''' ||2007년 2월호 ~ 2009년 8월호 || || '''단행본 권수'''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1권 ,,(2016. 03. 23. 完),,[* 원래 2009년 8월 20일 10권을 끝으로 마무리되었지만, episode 0 전후의 전장 및 episode 11 불사조 사냥으로 구성된 11권이 발매되면서 최종적으로 2016년 3월 23일에 완결되었다.][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0권 ,,(2011. 06. 30.),, || || '''관련 사이트''' ||[[http://www.gundam-unicorn.net/novel/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동전사 건담|U.C.0079 그대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 >{{{+1 U.C.0096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대는 지금 무엇을 해야하는가?}}}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공식 소설. [[우주세기]] 0096년, 즉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로부터 3년이 지난 시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건담 에이스]] 2007년 2월호부터 프롤로그가 연재되기 시작했으며 2009년 8월호에 완결되었다. 소설 단행본은 카도카와를 통해 2007년 9월 1권과 2권이 동시 발매되었으며 2009년 8월 20일 10권으로 완결되었다. 이후 시난주 강탈 사건을 다루는 episode 0 전후의 전장과 episode 11 불사조 사냥이 수록된 11권이 2016년 3월에 발매되었다. 이후 OVA 전개와 함께 소설의 문고판도 발매되었다.[* 표지 일러스트가 고전 SF식 표지인 카도카와 문고판과 [[미키모토 하루히코]] 일러스트 표지의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판, 2종으로 내는 것이 이번 문고판의 특징이다. 참고로 후술할 [[AK노벨]]에서 발매한 한국판은 최초 발매한 카도카와 코믹스 에이스판이다.] == 상세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의 3년 뒤인 우주세기 0096년을 무대로 한 작품으로 우주세기의 탄생과 일년 전쟁의 발단이 된 [[라플라스의 상자]]를 둘러싼 [[라플라스 사변]]을 다루고 있다.[* 이야기의 발단이 된 [[사이암 비스트]]의 성우를 [[기동전사 건담]]의 나레이션을 담당했던 [[나가이 이치로]]가 맡게 되어 [[기동전사 건담]]이라는 작품이 사이암의 독백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는 등의 우주세기의 전반부를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후 반다이에서 공식적으로 라플라스 사변을 '''제 3차 네오지온 전쟁'''이라고 명명을 했다.] 영상물이 아닌 소설로는 사상 최초로 '''공식''' 세계관으로 오피셜화되어 전개되었던 소설.[* 소설판이 나올 때 '이건 소설판이지만 정사다' 라고 했던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UC가 애니화되면서 소설판과는 차이가 발생하였고, 여러 사업 방향성도 애니쪽을 기준으로 진행되었기에, 사실상 정사 여부는 애니판 UC가 계승하는 것으로 변경 되었다. 실제로 후속 작품으로 나온 [[기동전사 건담 NT]]는 소설판 UC의 후일담인 불사조 사냥 편을 애니판 UC의 설정과 전개에 맞게 각색하여 제작한 것이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이지만 소설판이 정사라는 것은 일종의 마케팅 사기가 된 셈.][* 오리지널 소설 중에는 [[토미노 요시유키]] 자신이 직접 집필한 [[섬광의 하사웨이]]나 [[가이아 기어]]가 이미 있었으나, 이들은 판권자인 선라이즈/소츠 에이전시와의 트러블 탓에 [[반다이]]는 정사 취급을 하지 않았다. 섬광의 하사웨이가 공식화 되지 못한 것을 유니콘 탓이라며 야유하는 팬들이 몇명 있지만, '소설판' 섬광의 하사웨이는 배경 자체가 극장판 역습의 샤아가 아닌 소설판 벨토치카 칠드런의 루트를 밟고 있으며, 두 버전 간의 '어떤 차이'와 연관되어 있기에 적어도 '소설판' 내용 그대로 정사화 판정을 받기 어려웠던 것이다. 원작자인 토미노가 정사가 아니라고 말한 탓도 있었다.] [[반다이]]는 성공적이었던 [[역습의 샤아]] 이후 90년대와 2000년를 거쳐 꺼져가던 [[우주세기]][* 이미 대세는 [[기동전사 건담 SEED]]와 [[기동전사 건담 OO]] 등의 신건담으로 넘어가 있었다.]를 새로 제작하기로 결심하고, 명망 높은 [[카토키 하지메]]와 건담 캐릭터들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야스히코 요시카즈]] 화백을 일러스트에 기용하고, 테크노 스릴러 전문작가 [[후쿠이 하루토시]]를 기용했다. 이에 따라 [[역습의 샤아]] 이후 20여 년간 떡밥 상태로만 남아있던 수많은 요소, 즉 아무로와 샤아의 생사 여부, 네오 지온의 전후 궤적, 행방이 묘연했던 캐릭터들의 모습 등등 [[기동전사 건담 ZZ|더블 제타]]와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역습의 샤아]]의 다양한 떡밥과 캐릭터, 기체들을 재발굴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작품 초반부터 '''샤아의 재림'''[* 이를테면 3권 제목은 대놓고 '붉은 혜성'], 아무로가 탑승하는 새로운 건담([[카토키 하지메]] 코멘트)[* 주지의 사실로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는, '''유니콘이 아무로의 퍼스널 엠블렘'''이라는 사실에서 기인된 발언이다. 허나 스토리를 집필하던 후쿠이는 중반부까지 이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이 발언은 그냥 떡밥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었다는 촌극이 벌어졌다.]이라는 거대한 떡밥을 던졌고, 테크노 스릴러 전문 작가인 후쿠이 하루토시의 작품답게 지구연방의 흥망까지도 좌우한다는 비밀 "라플라스의 궤"라는 아이템을 통해 여러 떡밥을 전개시켰다. 이후 동명의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고, 상업적으로 엄청난 대성공을 거두면서 그 [[기동전사 건담]]과 [[기동전사 건담 SEED]]조차 넘어서는 최고 흥행작으로 거듭났다. 주역기인 유니콘은 [[퍼스트 건담]]을 잇는 건담의 새로운 아이콘이 되었을 정도. == 스토리 == 콜로니 '인더스트리얼 7'의 공업전문학교 학생인 [[버나지 링크스]]는 무중력 지대에서 우연히 [[오드리 번]]이라는 소녀를 구하게 된다. 소녀는 전쟁을 막기 위해 카디아스라는 사람을 찾아왔다고 하고, 버나지는 묘한 끌림에 오드리와 함께 카디아스의 저택으로 향한다. 한편, 신시대 우주세기의 개막을 알리던 관저 '라플라스'에 대한 테러를 일으킨 [[사이암 비스트]]는 '열리면 연방정부가 끝을 맞이하게 된다'는 물건, '[[라플라스의 궤]]'를 손에 넣은 뒤 1세기 가까이 '비스트 재단' 이라는 이름 아래 연방정부의 가호 속에서 숨겨왔다. 그러나 1세기 동안의 고민 끝에 사이암 비스트가 얻은 해답은 그 궤를 다시 개방하는 것이었고 자신의 손자이자 현 비스트 재단 당주인 [[카디아스 비스트]]에게 이를 지시하게 된다. 카디아스의 저택에서 오드리 번은 신생 네오지온의 잔당군 [[소데츠키]]와 소데츠키의 당주인 '[[풀 프론탈]]'에게 [[라플라스의 궤]]를 넘기는 것은 위험하다며 카디아스를 설득하지만 실패하고, 약속대로 회합이 열린다. 그러나 궤의 인도를 막으러 출동한 지구연방군 [[론도 벨]] 소속 넬 아가마와 지구연방 특수부대 [[에코즈]]의 공작으로 인더스트리얼 7은 아수라장이 된다. 저택에서 오드리에게 내치듯 돌려보내진 버나지는 오드리를 걱정하여 저택으로 돌아가던 중 아수라장 속에서 총에 맞고 쓰러져가는 카디아스와 조우하게 된다. 카디아스는 버나지가 자신의 아들임을 밝히고 버나지를 라플라스의 궤의 열쇠를 통해 깨어난 순백의 모빌슈트, 유니콘 건담의 파일럿으로 선택하는데... == 발매 현황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373a3c,#dddddd 기동전사 건담 UC}}}''' || ||<-2> '''{{{#373a3c,#dddddd 1권}}}''' ||<-2> '''{{{#373a3c,#dddddd 2권}}}''' ||<-2> '''{{{#373a3c,#dddddd 3권}}}''' ||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1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2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3권.jpg|width=100%]] || ||<-2> '''{{{#373a3c,#dddddd 유니콘의 날 (상)}}}''' ||<-2> '''{{{#373a3c,#dddddd 유니콘의 날 (하)}}}''' ||<-2> '''{{{#373a3c,#dddddd 붉은 혜성}}}'''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9월 2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9월 2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12월 1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7월 2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8월 3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9월 29일''' || ||<-6> || ||<-2> '''{{{#373a3c,#dddddd 4권}}}''' ||<-2> '''{{{#373a3c,#dddddd 5권}}}''' ||<-2> '''{{{#373a3c,#dddddd 6권}}}''' ||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4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5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6권.jpg|width=100%]] || ||<-2> '''{{{#373a3c,#dddddd 팔라우 공략전}}}''' ||<-2> '''{{{#373a3c,#dddddd 라플라스의 망령}}}''' ||<-2> '''{{{#373a3c,#dddddd 중력의 우물 밑에서}}}'''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4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7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10월 23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10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11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12월 26일''' || ||<-6> || ||<-2> '''{{{#373a3c,#dddddd 7권}}}''' ||<-2> '''{{{#373a3c,#dddddd 8권}}}''' ||<-2> '''{{{#373a3c,#dddddd 9권}}}''' ||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7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8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9권.jpg|width=100%]] || ||<-2> '''{{{#373a3c,#dddddd 검은 유니콘}}}''' ||<-2> '''{{{#373a3c,#dddddd 우주와 혹성과}}}''' ||<-2> '''{{{#373a3c,#dddddd 무지개 너머에 (상)}}}'''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12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4월 23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8월 20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1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2월 2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4월 15일''' || ||<-6> || ||<-2> '''{{{#373a3c,#dddddd 10권}}}''' ||<-2> '''{{{#373a3c,#dddddd 11권}}}''' ||<-2><|5> ||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10권.jpg|width=100%]] ||<-2>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소설 11권.jpg|width=100%]] || ||<-2> '''{{{#373a3c,#dddddd 무지개 너머에 (하)}}}''' ||<-2> '''{{{#373a3c,#dddddd 불사조 사냥}}}'''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8월 2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3월 23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6월 1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동전사 건담 UC/등장인물)] == 설정 == * [[소데츠키]] * [[팔라우(기동전사 건담 UC)|팔라우]] * [[론도 벨]] * [[트라이스타(기동전사 건담 UC)|트라이스타]] * [[에코즈]] * [[UC 계획]] * [[라플라스의 궤]] * [[라플라스 사변]] * [[메가라니카]] * [[라스트 슈팅|더블 라스트 슈팅]] * [[사이코 필드]] * [[사이드 공영권]] === [[/등장 메카닉|기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동전사 건담 UC/등장 메카닉)]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동전사 건담 UC/평가)] == [[/미디어 믹스|미디어 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동전사 건담 UC/미디어 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