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www.news24.jp/100410046.jpg|width=100%]] || || 이름 || 기무라 타쿠야 (木村 拓也) || || 생몰년도 || [[1972년]] [[4월 15일]] ~ [[2010년]] [[4월 7일]] || || 국적 || [[일본]] || || 출신지 || [[미야자키]]현 [[미야자키(도시)|미야자키]]시 || || 포지션 ||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 || 투타 || [[우투양타]] || || 프로입단 || 1990년 드래프트 번외 [[닛폰햄 파이터즈]] 지명 || || 소속팀 || [[닛폰햄 파이터즈]] (1991~1994)[br]'''[[히로시마 도요 카프]] (1995~2006)'''[br]'''[[요미우리 자이언츠]] (2006~2009)''' || || 지도자 ||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1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일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 [[SMAP]]의 [[기무라 타쿠야]]와는 인물과 이름 한자 뒷글자만 다른 [[동명이인]].[* SMAP의 기무라 타쿠야는 哉, 야구선수 기무라 타쿠야는 也를 한자로 쓴다.] 공교롭게도 나이까지 같다. == 현역 시절 == [[포수]]로 1991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하여 프로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외야수]]로 전향했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이적한 뒤 기량이 만개하여 오랜 기간 활약하게 된다. 히로시마에서 뛰면서 [[쇼다 고조]]의 후계자로 키워져 [[스위치 히터]]를 시작하고, [[내야수]] 수비도 맡게 되었다. 주 포지션은 [[2루수]]지만 내야 전 포지션뿐만 아니라 외야, 심지어 [[포수]]까지 뛸 정도로 내외야 가리지않고 뛸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했다. 선수시절 수비 출장횟수는 [[1루수]] 39경기, [[2루수]] 769경기, [[3루수]] 61경기, [[유격수]] 91경기, [[외야수]] 539경기, [[포수]] 5경기를 뛰었다. 외야수 3 포지션도 골고루 뛰어, [[투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을 소화한 몇 안되는 선수 중 하나이다. 게다가 [[스위치 히터]]. 이처럼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효용가치가 뛰어난 점을 높게 평가받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뽑히기도 했다.[* 대표팀에서는 포수 경험을 살려, [[이택근]]이 그랬던 것처럼 불펜 포수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06년엔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 [[이승엽]]과 한솥밥을 먹으며 활약하기도 했다. 선수로써 마지막 시즌이었던 2009년에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홈경기에서 10년만에 공식 경기에서 포수 마스크를 썼다. 이유인 즉 주전포수였던 [[아베 신노스케]]와 백업포수 츠루오카 카즈나리[* 한신 시절 이승엽의 [[삼성 라이온즈|팀]]직속후배인 [[오승환]]의 전담포수로 유명했다.], 가토 켄[* 이쪽은 머리에 사구를 맞는 바람에 교체되었다.]이 모두 중도교체되어 등록된 포수가 없던 팀 사정상 포수 [[대수비]]를 그 경기까지 4경기를 뛰었던 기무라 타쿠야가 마스크를 썼던 것. 2009시즌 종료 후 은퇴하여 1군 수비코치로 내정되었다. == 사망 == [[파일:교진기무라타쿠야.gif]] [[파일:external/www.nikkansports.com/bb-ta-kimu150407-ogp_0.jpg]] 2010년 4월 2일, [[마츠다 줌줌 스타디움]]에서 열린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경기를 앞두고 선수들에게 [[펑고]]를 쳐주다가 급성 [[뇌출혈]]로 쓰러져 급히 히로시마 대학 병원으로 후송되었으나 5일 후인 4월 7일 37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야구장에 들어가기 전에 구단 관계자에게 "올해 들어 먹는 양은 변하지 않았는데 체중이 줄고 있다. 요통도 있고, 두통도 심하다. 당장 어제도 2시간 밖에 못 잤다." 라고 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asahicom.jp/TKY201004070303.jpg]]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하라 타츠노리]] 감독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그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하라 감독은 인터뷰 도중 눈물을 참지 못하고 펑펑 울어버리고 말았다. 그가 사망했던 4월 7일 일본 프로야구 경기가 열리는 전 구장에서는 경기전 그를 추모하는 영상 상영 및 묵념을 했고, 4월 24일 추모경기가 열렸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던 전 [[삼성 라이온즈]] 감독인 [[김한수]]와도 인연이 있었는데, 한국 오면 자신이 밥을 사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여담이지만 SMAP의 기무라 타쿠야와 토크쇼에서 서로 이야기했던 적이 있는데, 히로시마 경기를 볼때마다 전광판에 표시되는 이름과 아나운서의 풀 네임을 듣고 자신이 야구하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http://blog.naver.com/sue523?Redirect=Log&logNo=90017707136|참고]] 일본/한국 언론이 이 선수가 사망했을 때 SMAP의 기무라 타쿠야가 죽은 것처럼 [[낚시]]를 해 지탄을 받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기무라 타쿠야, version=256)]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포수]][[분류:1972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2010년 사망]][[분류:미야자키시 출신 인물]][[분류:뇌출혈로 죽은 인물]][[분류:일본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은퇴, 이적]][[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은퇴, 이적]][[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