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파일:(4)Guillotine1.0.jpg]] || [[파일:(4)Neo Guillotine2.1.jpg]]|| || 1.0 버전 || Neo 버전 || Map Size: 128×128 TileSet: Desert Players: 4 == 소개 == [[스타크래프트]]의 맵.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올림푸스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마이큐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쓰였으며, 이후 잠시 삭제되다 [[IOPS 스타리그 04~05|IOPS 스타리그]]에서 부활하여 1시즌 동안 사용됐다. 올림푸스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부터 마이큐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까지 1.0버전을 쓰다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부터는 네오 버전인 2.0 버전을 사용하게 된다. 프로리그에서는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컵]]과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네오위즈 피망컵]]은 오리지널 버전이, SKY 프로리그 2004에서는 네오 버전이 사용되었는데, 재미있는 건 [[SKY 프로리그 2004 1Round|1라운드]]는 개인전으로 [[SKY 프로리그 2004 3Round|3라운드]]는 팀플레이맵으로도 사용되었다는 점. 그 덕에 당해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그랜드 파이널]]에서는 한 대회에서 개인전과 팀플레이에 동시에 사용된 유일무이한 맵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언덕이 전혀 없는 개방형 맵으로, 본진 입구쪽에 자원이 없기 때문에 [[저그]]에게는 [[3해처리]] 플레이가 강제된다. 프테전에서 테란이 불리하다는 지적에 따라 네오 버전에서 높은 지형에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시즈탱크]]나 [[가시지옥|러커]], [[고위 기사|하이 템플러]] 등을 내려 멀티 견제를 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후 IOPS 스타리그에서 뜬금없이 부활하게 되었는데, 전 대회에서 쓰였던 맵들이 밸런스 붕괴가 매우 심각했던 탓에 대타로 긴급 수혈된 것이다.[* [[EVER 스타리그 2004|전 대회]]에서 쓰였던 맵은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엠]],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 '''[[펠레노르(스타크래프트)|펠레노르]]''',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비프로스트 3]]. 머큐리, 펠레노르는 말이 필요없는 쓰레기맵이었고 비프로스트도 이 시기에는 밸런스가 많이 무너진 상태였다.] 처음 사용되었던 시점만 해도 '길로틴'이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렇다면 [[기욤 패트리]] 또한 길리엄 패트리로 읽어야 하냐는 온게임넷 내부 회의 끝에 원어의 출처를 고려해 [[프랑스어]] 발음인 기요틴으로 정착되었다. == 사례 == [[강민]]이 [[더블넥서스]]를 개량하면서 이 맵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줘 '''강민틴, 날라틴'''[* 마이큐브 스타리그 4강의 경우 이 맵에서 박정석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며, 준우승을 하긴 했지만 결승전에서 박용욱에게 따낸 유일한 세트도 이 맵. 그리고 다음 시즌에서도 승승장구하며 결승전에서 전태규를 이 맵에서 꺾고 우승을 확정지었다.]이라는 이명을 얻었다.[* 사실 개방형 멀티에 미네랄도 7~8덩이뿐이라 딱히 토스가 유리한 맵은 아니다. 즉 '''강민 한 명 때문에 실제 맵 밸런스가 완전히 왜곡된 케이스.''' 이는 강민이 챌린지리그에조차 없던 아이옵스 스타리그 시절 토스의 승률만 봐도 명백하다. 당장 박정석이 뛰어난 성적을 보여준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개마고원]]의 경우는 그 기록을 포함해도 토스가 오히려 죽어나간 맵이었음을 생각해보자.] 이 맵에서 일어난 유명한 경기로는 올림푸스 스타리그 16강 A조 6경기 [[임요환]] vs. [[이재훈(1981)|이재훈]]의 '''[[일부는 시즈모드 됐고 일부는 퉁퉁퉁퉁퉁퉁!]]''',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박성준(1986)|박성준]][* 이 당시 동일 종족 동일맵 연속 출전 금지 규정으로 인해 랜덤으로 출전해서 테란이 걸렸다.] vs.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의 [[https://youtu.be/PJpJ8MFsVUQ|성큰뚫기]] 등이 유명했으며,[* 방1업 바이오닉 부대로 성큰 8개를 뚫어버렸다.] 이 맵 최강자라고 불리는 [[강민]]을 [[차재욱]]이 압도적으로 이긴 [[https://youtu.be/LcYhvBSSC6c|경기]]도 나름 유명하다.[* 이 경기는 강민이 기요틴에서 처음으로 진 경기다.] 최초의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이창훈이 더블레어 전략으로 박정석을 격침시킨 경기도 바로 이 맵인데, '''중립동물 스캔디드가 박정석의 양방향 정찰을 막아버려''' 이창훈의 전략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으로 이슈가 된 바 있다. 개방형 입구, 엇갈리기 쉬운 길 등의 요소 때문인지 테저전에서는 [[엘리전]] 양상이 상당히 나온 편. 실제로 엘리당해서 급작스럽게 경기가 끝나버렸던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핫브레이크 2003 1차 듀얼토너먼트]] B조 2경기 [[김현진(e스포츠)|김현진]]vs[[나경보]](2003.06.10), 명승부로 유명한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2003 올림푸스 스타리그]] 결승전 3세트 [[서지훈]]vs[[홍진호]](2003.07.13), 정말 엘리 직전이 되어서야 경기가 끝났던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2003 마이큐브 스타리그]] 16강 A조 재경기 [[서지훈]]vs[[장진남]](2003.09.08 경기, 2003.09.12 방영) 경기 등이 대표적이다.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와 함께 [[변종석(레벨 디자이너)|변종석]]의 공식맵 데뷔작으로, 변종석은 이때까지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패러독스(스타크래프트)|패러독스]]''', [[어나더데이#s-2|어나더데이]],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 '''[[펠레노르(스타크래프트)|펠레노르]]''', '''[[발해의 꿈]]''', [[알케미스트(스타크래프트)|알케미스트]] 같은 [[밸런스 붕괴]]맵 연타를 터뜨리면서 한동안 스타크래프트 관련 커뮤니티에서 가루가 되도록 까이다가, 수년 후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으로 간신히 명예회복에 성공했다.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후보맵에서 기요틴을 리메이크한 듯한[* 물론 제작자 입장에서도 기요틴의 리메이크라고 생각하고 제작했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제작자가 기요틴을 만든 변종석이다.]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이라는 맵이 나왔으나 저프전 밸런스 문제[* 특히 앞마당의 그 구성상 더블넥이 상당히 힘들었다고 한다.]를 한가득 떠안고 사장되었으며, 토스의 더블넥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한 뒤 3라운드([[위너스 리그]])부터 쓰이게 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기요틴, version=20)]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