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器興驛勢圈開發事業}}} ||<:> [[파일:PR_S_1287.jpg|width=100%]] ||<:> [[파일:13377c225432b.jpg|width=100%]] || ||||<:> '''구획도.''' || ||<:> [[파일:attachment/htm_20090427103944l000l800-002.jpg|width=100%]] ||<:> [[파일:86052_13560_2021.jpg|width=100%]] || ||||<:> '''사진은 [[조감도]].''' || ||||[[파일:기흥역세권개발사업.jpg|width=100%]]|| ||||<:> '''공사현장 (2017년 3월)''' || [youtube(4dJO4HbBZtI)] 2017년 5월 4일 기준 기흥역세권 개발현황 [목차] == 개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있는 [[기흥역]] 일원에 추진한 [[역세권개발사업]]. 사업자는 [[용인도시공사]]이다. == 배경 == [[용인 에버라인|용인경전철]]과 [[수인분당선]] 기흥역 부지에 있었던 [[GC녹십자]] 공장이 지하철 공사를 위해 [[보정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이 부지를 가지고 용인시가 개발 사업을 벌인 것이 바로 기흥역 역세권개발사업이다. == 추진현황 == [[용인시]]에서 2013년 8월 30일 토지 보상을 완료하고 [[용인도시공사]]를 시공사로 기흥역세권 개발을 시작하였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830_0012321037&cID=10803&pID=10800|관련 기사]] 2015년부터 [[롯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등 메이저 건설사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이 시작되었다. === 주거지구 === || {{{#fff '''구역'''}}} || {{{#fff '''단지명'''}}} || {{{#fff '''세대수'''}}} || {{{#fff '''입주'''}}} || {{{#fff '''시행/건설사'''}}} || ||<#8a2432> 1BL || [[기흥역 롯데캐슬 레이시티]] || 663[* 아파트 260세대, 오피스텔 403실] || 2017년 11월 || (주)자광/[[롯데건설]] || ||<#a00f16> 2BL || [[힐스테이트 기흥]] || 976 || 2018년 8월 || 에이엠플러스/[[현대엔지니어링]] || ||<#001141> 3-1BL || 기흥역 더샵 || 1,394[* 아파트 1,219세대, 오피스텔 175실] || 2017년 11월 || 녹십자홀딩스/[[포스코건설]] || ||<#084f51> 3-2BL || [[기흥역 센트럴 푸르지오]] || 1,498[* 아파트 1,316세대, 오피스텔 182실] || 2018년 6월 || DS네트웍스/[[대우건설]] || ||<#084f51> 3-3BL || [[기흥역 파크 푸르지오]] || 990[* 아파트 768세대, 오피스텔 226실] || 2018년 7월 || 피데스피엠씨/[[대우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3e3964 50%, #165d37 50%)" {{{#fff 4BL}}}}}} || [[기흥역 지웰 푸르지오]] || 723[* 아파트 561세대, 오피스텔 162실] || 2017년 11월 || (주)신영/[[대우건설]] || === 상업지구 === 기흥구청 앞에 식당 등 상업시설이 잘 돼 있으며 [[기흥역]] 6번 출구에서 신갈오거리 방면으로 나가면 강남병원과 롯데마트가 있다. 기흥역 앞에는 [[AK플라자 기흥점]]이 있다. 기흥역세권개발 1단계 단지들은 모두 [[주상복합]]단지이기 때문에 이를 연결하는 [[크고 아름다운]] 도로가 [[역세권]] 한가운데를 횡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스트리트형 상권이 형성 되어 가고 있고, 이미 레이시티와 지웰푸르지오 쪽 상가에는 [[편의점]]과 [[치킨]]집, [[커피숍]] 들이 속속 입점하였고, 지속적으로 여러 점포들이 입점 할 것으로 보인다. === 업무지구 === 사실 기흥역 자체만 놓고보면 크게 업무지구랄 곳은 없다. 다만, 신갈역과 기흥역 사이에 기흥구청이 존재하여 행정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가까운 거리에 [[삼성전자|간첩도 알만한 회사]]가 성업 중이며, 기흥역 북쪽 5분 거리에 단일 오피스타워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611022320005&code=620109|기흥ICT밸리]]가 완공되었고, 기흥역 서쪽으로 [[수원신갈IC]]를 넘어 [[수원]] [[영통]]과 맞닿은 [[영덕동]]에 [[기흥 힉스유타워]]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2/2017022202562.html?rsMobile=false|#]]가 2019년 11월 입주하였다. 때문에, 기흥역세권은 앞으로 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웬만한 대기업 하나도 수용하지 못하는 오피스타워 몇개동이 생긴다고 해서, 종사자 8만의 [[판교테크노밸리]]나 14만의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수준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때문에, 아직까진 보수적으로 판단하여 영향 범위는 제한적이라고 보는게 옳다. 좋은 예가 수원 [[영통동]]의 디지털 엠파이어 I, II . === 공공시설 === 지구 내에는 공공시설이 없지만 지구를 바로 마주보는 위치에 기흥구청이 위치하고 있다. 물론 지구가 위치한 구갈동의 행정복지센터는 구갈3지구 개발지역인 강남대 앞에 위치하고 있어서 거리가 좀 먼 편이다. 오히려 신갈동행정복지센터가 더 가까워 보인다. === 교육시설 === 지구 내: * 초등학교 * 용인한얼초등학교 지구 외: * 초등학교 * 구갈초등학교 * 신갈초등학교 * 성지초등학교 * 중학교 * 구갈중학교 * 신갈중학교 * 성지중학교 * 고등학교 * [[신갈고등학교]] * [[기흥고등학교]] * [[성지고등학교(경기)|성지고등학교]] * 대학교 * [[강남대학교]] * [[루터대학교]] 사실 교육시설로 따지면 초등학교의 경우 용인한얼초등학교가 있으나 이것만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상당수 학생들은 길 건너편에 위치한 구갈초등학교나 성지초등학교로 가야 한다. 그래서 커다란 육교가 생기기도 했다. 다만 중학교는 어쩔 수 없이 신갈중학교나 구갈중학교 심지어는 성지중학교로 가야 하기 때문에 꼼짝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기흥역세권 주민들은 중학교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신갈고등학교(사립)가 그나마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 문화시설 === [[경기도박물관]]과 경기도 어린이 박물관 및 백남준 아트센터도 약 1km 이내에 위치해 있다. 또한 [[한국민속촌]]도 가까운 편이다. [[영화관]]은 [[기흥역]] AK플라자 지상 5층에 [[롯데시네마]]가 입점되어 있다. 또, [[#s-3.3|업무지구]]에 언급한 기흥ICT밸리에 [[CGV 기흥]]이 있다. ~~또 하나의 [[라이벌]]~~ == 교통 == === 철도교통 === [[수인·분당선]]과 [[용인 에버라인|용인경전철]] [[기흥역]]이 있다. 용인경전철은 신갈오거리를 거쳐서 [[광교중앙역]]까지 연장이 추진 중이다. 한편 이번 제4차 국가철도구축계획망에서는 기흥역을 출발해, 동탄역을 거처 오산역까지 가는 수인분당선 [[오산지선]]이 포함되어 있다. [[2020년]] 전후 GTX 용인역([[구성역]])이 개통되면 [[기흥역]]에서 2정거장 거리에 있는 [[구성역]]에서 한 번만 갈아타면 [[기흥역]]에서 강남([[삼성역(GTX)|삼성역]])까지 30분 안에 도착이 가능하다. === 버스교통 === 이미 많은 노선이 지나다닌다. [[분당선]] 없이도 [[용인 버스 820|820번]]을 타면 구성이나 분당으로 갈 수 있으며, 수원으로 가고 싶으면 [[용인시 시내버스]] 중에서도 배차간격 탑인 [[용인 버스 66|66번]]을 비롯 [[용인 버스 66-4|66-4번]], [[용인 버스 10|10번]]을 타고 가면 된다. 이 앞을 지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만 해도 5개다. [[용인 버스 5001|5001번]], [[용인 버스 5003|5003번]]을 타면 강남으로, [[용인 버스 5000|5000번]], [[용인 버스 5005|5005번]]을 타면 종로, 광화문 및 서울역으로 갈 수 있다. 또한 [[용인 버스 5600|5600번]]을 타면 판교테크노밸리를 거쳐 잠실/강변까지 갈 수가 있다. 예전에는 입석을 타야만 했으나 입석금지가 된 이후에는 해당 지역을 기점으로 예약제 운영도 시작했다. 그렇지만 예약제 시행 버스보다 미시행 버스 대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출근에 애로 사항이 꽃 핀다. 참고로 예약위치는 기흥역 정류장이 아닌 수원컨트리클럽 정류장이다. 기흥 AK&앞에 있는 [[기흥역시외버스정류소]]을 이용하면 노선은 아직 많지 않지만 버스를 타고 시외로 나갈 수 있다. 몇 없는 입주 노선도 다시 나가고 있는 건 안 자랑. 2021년부터 [[용인 버스 55|55번]]이 역세권단지 내부를 경유한다. === 도로교통 === [[42번 국도]] ([[신중부대로]]), [[신갈로]], [[기흥로]], 구갈로, [[중부대로]] 등이 있으며, 중부대로를 따라가면 가까운 곳에 [[수원신갈IC]]가 있다. [[분류:역세권개발사업]][[분류:용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