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Beybl4948940681nba.png|width=55%]] || || {{{#black '''이름'''}}} || '''긴바 오로치(銀刃オロチ) / 소리 / Orochi Ginba''' || || {{{#black '''연령'''}}} || '''11세 / 초등학교 5학년''' || || {{{#black '''소속'''}}} || '''슈퍼스타즈''' || || {{{#black '''인물 유형'''}}} || '''조연, 라이벌, 조력자''' || || {{{#black '''사용베이'''}}} || '''오딘.C.B (코믹스)[br]오벨리스크 오딘.T.X (애니메이션)[br]넉아웃 오딘.Z.Ul' 幻 (미등장)''' || ||<|3> {{{#black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미즈시마 타카히로]] ||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장성호(성우)|장성호]][*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에서 [[하야마 키라]]를 맡았다.] || [목차] == 개요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등장 블레이더. 음악을 생업으로 삼는 집안에서 태어나 [[절대음감]]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일명 '''신의 귀를 가진 소년'''이라 불리우며 베이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통해 버스트 피니쉬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이 베이 배틀을 컨트롤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조금은 무감정한 듯하지만 사실은 알게 모르게 친절한 면모도 가지고 있다. 혈액형은 AB형, 생일은 1월 27일. === 사용 기술 === '''오벨리스크 오딘.T.X''': 블라스트 비트 == 작중 행적 ==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 50화에서 오랜만에 등장, 소드 플레임즈 멤버[* [[난스이 유고]], [[이부키 우쿄]], [[키미도리 쿠온]]]와 슈퍼 스타즈의 [[잭 더 선샤인]], 그리고 후배 [[야마부키 아키라]]와 함께 [[아오이 바루토]]과 [[쿠레나이 슈]]의 갓 블레이더즈 컵 결승전을 지켜본다. 그리고 다음 화인 51화에서 챔피언이 된 강산을 축하해준다. == 사용 베이 == ||
[[파일:버스트08_오벨리스크오딘.png|width=400%]] || || 오벨리스크 오딘.T.X 소환 || === B-17 오딘 센트럴 블로 === ||<-3>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B_17.png|width=200]] || ||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000100.png|width=200]] ||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000032.png|width=200]] ||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000101.png|width=150]] || || '''레이어 - 오딘(O)''' || '''디스크 - 센트럴(C)''' || '''드라이버 - 블로(B)''' || 싸움의 신 [[오딘]]을 모티브로 삼은 어택 타입 베이. 애니메이션 미등장. 어택 타입이지만 레이어의 형태가 잘 잡혀 있고 공격, 방어, 스테미너 모두 꿇리지 않는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기에, 데스사이저 금지 이후 넵튠, 와이번과 함께 무인편 시즌 대회에서 많이 쓰였다. 사실 오딘의 레이어에는 웃지 못할 사연이 있다. 2017년 생산품의 중량이 2016년 생산품의 것보다 0.18g 더 늘어나면서 문제가 생겼는데, 그 이유는 바로 다크 데스사이저처럼 칼날이 잘 부러지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개발자들이 한쪽 부분을 강화하여 '''무게중심을 틀어 버리는 초대형 사고를 쳤기 때문이다.''' 결국 선수들은 2016년에 생산된 오딘 레이어를 구하기 위해 엄청나게 힘을 들여야 했고, 이러한 열풍은 오딘의 전성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 B-46 오벨리스크 오딘.T.X === ||<-3>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B_46.png|width=200]] || ||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000318.png|width=200]] || [[파일:external/beyblade.takaratomy.co.jp/000319.png|width=200]] || [[파일:Image_307998.png|width=150]] || || '''레이어 - 오벨리스크 오딘(O2)''' || '''디스크 - 트리플(T)''' || '''드라이버 - 익스트림(X)''' || 오딘 센트럴 블로우의 강화형 베이. 오벨리스크 오딘 레이어는 어택 타입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전작에 비해 더욱 공격적이고 각지게 디자인되었다. 이 때문에 공기저항이 증가해 스태미너가 좋지 않고 방어력도 약해졌다. 어택 타입이라서 어쩔 수 없는 변화이지만, 전작의 인기 요인을 버리다시피 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그렇다고 어택형으로 사용하기 좋다고 하면 그것도 아니다. 첫 번째 락은 매우 강하지만 이후 락은 약하다는 약점이 있다. 한마디로 첫 락이 풀리면 버스트는 거의 확정이기 때문에 공격형으로 사용하기도 리스크가 커서 도태되었다. 다만 이후 대시 드라이버의 출시로 그래비티 디스크와 액셀 대시 드라이버 조합만 해 봐도 갓 베이들 순정 조합은 쉽게 버스트를 시킬 정도면 레이어 자체의 공격력은 좋은 편이다. ~~근데 이미 늦었다.~~ === B-152 넉아웃 오딘.Z.Ul' 幻 === ||<-3>
[[파일:B-152.png|width=400]] || || [[파일:오딘 칩.png|width=100]] || [[파일:Image_289076~3.png|width=100]] || [[파일:넉아웃 베이스.png|width=200]] || || '''진검 칩 - 오딘 (O)''' || '''웨이트 - 환(幻)''' || '''베이스 - 넉아웃(K)''' || ||<-2> [[파일:IMG_03022022_120501_(152.4_x_139.6_mm).png|width=200]] ||<-2> [[파일:얼티밋 리부트 대시.png|width=128]] || ||<-2> '''디스크 - 제니스(Z)''' ||<-2> '''드라이버 - 얼티메이트 리부트 대시(Ul')''' || 랜덤 레이어 VOL.3에서만 구할 수 있으며, 디스크나 드라이버는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다만 완제품으로 재록되지 않아 이 베이도 가디언 케르베우스처럼 정식 조합은 아닌 것으로 추정. 이 베이는 완제품으로 나오지도 않았으며 코믹스, TVA에도 미등장. 이는 [[포이즌 히드라]]도 마찬가지다.--하지만 성능은 천지차이-- 오딘 칩은 5클릭이지만 발키리, 디아볼로스 칩에 비해 락이 약한 편이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무게는 3.2g. 모티브가 된 [[오딘]]이 [[애꾸눈]]이라는걸 반영했는지 눈도색이 한쪽만 되어있다. 넉아웃 베이스는 데드 하데스 레이어처럼 크기가 작고, 두꺼운 메탈 파츠가 안쪽에 몰려 있어서 GT 시리즈 공격형으로써의 성능은 저지먼트, 츠바이, 임페리얼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탑급이다. 무게는 14.36g. 추천조합은 넉아웃 아킬레스.Wh.Ds' 極 [[분류:베이블레이드 버스트/등장인물]] [include(틀:포크됨2, title=긴바 오로치, d=2023-02-02 00: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