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발]][[분류:근육]]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손의 이름이 같은 근육, rd1=긴엄지폄근(손))] [include(틀:근육)] ||||
{{{#ffffff ''' ''extensor hallucis longus'' '''}}}[br]{{{#ffffff ''' ''(긴엄지폄근, 장무지신근)'' '''}}} || |||| [[파일:종아리앞칸근육들.jpg|width=100%]][* [[긴발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longus m.)의 가쪽에 위치하는 [[셋째종아리근]](peroneus tertius m.)은 그림에서 보이지 않는다.] || || 이는 곳[br](origin) || 종아리뼈 안쪽면[br](medial surface of fibula) || || 닿는 곳[br](insertion) || 엄지발가락 끝마디뼈[br](distal phalanx of big toe) || || 동맥[br](artery) || 앞정강동맥[br](anterior tibial artery) || || 신경[br](nerve) || 깊은종아리신경[br](deep peroneal nerve) || || 기능[br](action) || 발의 발등굽힘, 엄지발가락 폄[br](dorsiflexion of foot, extension of big toe) || [목차] [clearfix] == 개요 == 긴엄지폄근(extensor hallucis longus m.)은 종아리 앞칸에 존재하는 근육들 중 하나로, 엄지발가락을 펴는 작용을 하는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장무지신근([[長]]拇趾[[伸]][[筋]])[* 사이에 [[발 족]]을 넣어서 장족무지신근이라고 하기도 했다. [[긴 장]], 엄지손가락 무, 발 지, [[펼 신]], [[힘줄 근]].]. 손의 [[엄지폄근]](extensor digitorum m.)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긴엄지발가락폄근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 구조 == 긴엄지폄근은 [[종아리뼈]] 안쪽면, 그 중에서도 중간 높이의 절반 정도에서 일어난다. 이 안쪽면 주변의 [[정강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있는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도 긴엄지폄근의 이는곳 일부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근육 힘살은 겉에 위치하는 [[앞정강근]]과 [[긴발가락폄근]]으로 인해 그 근육들을 들어내지 않은 이상 잘 보이지 않는다. 그 후 긴엄지폄근이 종아리 아래쪽을 지나며 힘줄이 되면 [[위폄근지지띠]](superior extensor retinaculum)과 [[아래폄근지지띠]](inferior extensor retinaculum) 밑쪽을 지나고 엄지발가락의 끝마디뼈까지 가서 닿는다. 이때, 이 근육도 긴발가락폄근의 힘줄들이 형성하는 [[폄근널힘줄]](extensor expansion)을 발가락 첫마디뼈(proximal phalanx) 근처에서 형성한다. 앞칸 근육을 지배하는 [[깊은종아리신경]](L5)이 근육을 지배하고, 이 신경과 같이 주행하는 [[앞정강동맥]]이 혈액을 공급한다. 다른 앞칸 근육들과 완전히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기능 == 이 근육은 엄지발가락 끝마디뼈 등쪽면에 닿으므로 엄지발가락의 폄근이다. 또한, 등쪽면에 붙으므로 발의 발등굽힘에도 관여한다. 마지막으로, 발의 안쪽들림(inversion)과 가쪽들림(eversion)을 약하게 보조한다. 이 근육의 [[대항근]](antagonist)은 엄지발가락의 굽힘근인 [[긴엄지굽힘근(발)|긴엄지굽힘근]](flexor hallucis longus m.)이다. [[협동근]](synergist)은 같이 엄지발가락을 피는 작용을 하는 [[짧은엄지폄근(발)|짧은엄지폄근]](extensor hallucis brevis 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