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김광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000 김광림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8년 한국시리즈|{{{#fab93d 1998}}}]]'''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00년대)]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1|[[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50]]]] [br] '''{{{#ffffff 1995 KBO 리그 타격왕}}}''' || ---- [include(틀:KBO 올스타전 역대 미스터 올스타)]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include(틀:쌍방울 레이더스 역대 주장)] ---- [include(틀:두산 베어스 2군 감독)]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33번}}}''' || || 결번 || {{{+1 →}}} || '''{{{#ffffff 김광림[br](1984~1993)}}}''' || {{{+1 →}}} || 서석영[br](1994~1995)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3번}}}''' || || [[김기덕(1968년 6월)|김기덕]][br](1991~1993) || {{{+1 →}}} || '''{{{#ffc81e 김광림[br](1994~1997.6.7.)}}}''' || {{{+1 →}}} || [[강영수(야구)|강영수]][br](1997.6.8.~1998)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6번}}}''' || || [[공의식]][br](1996~1997.6.7.) || {{{+1 →}}} || '''{{{#fab93d 김광림[br](1997.6.8.~1997)}}}''' || {{{+1 →}}} || [[홍민구]][br](1998~2002)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33번}}}''' || || 곽병찬[br](1994~1997) || {{{+1 →}}} || '''{{{#fab93d 김광림[br](1998)}}}''' || {{{+1 →}}} || 강필선[br](1998~2001)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3번}}}''' || || [[강영수(야구)|강영수]][br](1997.6.8.~1998) || {{{+1 →}}} || '''{{{#ffc81e 김광림[br](1999)}}}''' || {{{+1 →}}} || 팀 해체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71번}}}''' || || [[유지훤]][br](1999~2003) || {{{+1 →}}} || '''{{{#000 김광림[br](2004~2011)}}}''' || {{{+1 →}}} || [[이명수(1966)|이명수]][br](2012) || ||<-5> '''{{{#fff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71번}}}''' || || 팀 창단 || {{{+1 →}}} || '''{{{#00275a 김광림[br](2012~2016)}}}''' || {{{+1 →}}} || [[김평호]][br](2017~2018) || ||<-5> '''{{{#fff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73번}}}''' || || [[김경남(야구선수)|김경남]][br](2014~2015) || {{{+1 →}}} || '''{{{#ffffff 김광림[br](2017)}}}''' || {{{+1 →}}} || [[김영환(야구)|김영환]][br](2018) || }}} || }}} || ---- ||<-2>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20161122_1451606_99_20161122140305.jpg|width=350]] || ||<-2>
[[kt wiz]] 코치 시절. || ||<-2> '''{{{+2 김광림}}}[br]金光林 | Gwang-lim Kim''' || ||<|2> '''출생''' ||[[1961년]] [[3월 9일]] ([age(1961-03-09)]세) || ||[[대전광역시]] [[유성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등학교]] (졸업)[br][[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학교]] (무역학과 80학번 / 학사) || || '''신체''' ||169cm[* 원래는 173cm였으나 나이가 들어서 키가 줄었다.] || || '''포지션''' ||[[외야수]][* OB시절에는 중견수로 주로 출장했고, 좌익수 수비도 보았다. 현대에서는 전준호가 처음 중견수를 볼때 좌익수로 나왔다. 이때는 박재홍이 우익수로 뛰기도 했고, 이숭용도 외야 알바를 뛰었다. 외야 틀이 잡히고 나서는 기존의 김인호나 윤덕규는 타격이 부족하거나 나이가 들어 김광림이 자동으로 우익수로 출장하는 등 가리지않고 전 외야 포지션을 다 봤다.]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4년/신인드래프트#s-2|1984년 1차 지명]]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 (1984~1993)''' [br] '''[[쌍방울 레이더스]] (1994~1997)''' [br] [[현대 유니콘스]] (1997~1998) [br] [[쌍방울 레이더스]] (1999) || || '''지도자'''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타격코치 (2004~2006) [br] [[두산 베어스]] 1군 타격코치 (2007~2009) [br]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10) [br]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타격코치 (2011) [br] [[NC 다이노스]] 타격코치 (2012) [br] [[NC 다이노스]] 1군 타격코치 (2013~2015)[* ~4월 21일][br][[NC 다이노스]] 1군 타격보조코치 (2015)[* 4월 22일~] [br] [[NC 다이노스/2군|고양 다이노스]] 타격코치 (2016) [br] [[kt wiz]] 1군 타격코치 (2017) [br] 분당구B 리틀야구단 감독 (2018~) || || '''해설위원''' ||[[광주방송|KBC]] 야구 해설위원 (2000~2003) || || '''병역''' ||[[예술체육요원]][* 1978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126990|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前 [[OB 베어스]], [[쌍방울 레이더스]], [[현대 유니콘스]] 소속의 [[외야수]]다.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kt wiz]]의 코치를 하면서 1993년과 1995년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상을 받기도 했다. == 선수 경력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93, 1995)}}}''']] || || [[파일:/image/005/2015/06/04/201506041352_61160009513016_1_99_20150604135320.jpg]] || ||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 [[http://blog.naver.com/sportsku/110137557213|독종의 왼손 타자, 김광림]]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 출신으로 1학년이던 1977년에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을 차지하면서 개교 이래 최초의 전국대회 우승에 기여하였다.[* 공주고는 1977년 대통령배 우승 이후로 1992년에 [[노장진]]의 활약으로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2013년에 대통령배를 36년만에 다시 가져온다.] 그 때 인연을 맺은 2년 선배가 바로 [[김경문]].[* [[김경문]]은 [[1958년]]생이긴 하지만 1년 유급한 전력이 있다. 동갑내기인 [[김시진]]에게 형이라 부르는 이유도 그것.] 여하간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의 전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활약하면서 [[고려대학교]]에 진학했고, 1984년 연고지 팀인 [[OB 베어스]][* [[OB 베어스|OB]]는 1985 시즌 [[연고지 이전]] 전까지는 [[대전광역시|대전]]이 연고지였다. 1986년부터 [[빙그레 이글스|빙그레]]가 연고지로 들어왔다.]에 1차 지명되어 입단하게 되었다. 다만, 고교 시절에 비해 대학 시절에는 그리 두각을 나타내지는 못한 편. 프로 초년 시절에는 널뛰기 활약을 보였지만, 4년차인 [[1987년]]부터 3할 타율을 기록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1989년 도루하다가 스파이크에 손가락이 찍히면서 탈골 부상을 입었고, 이 때문에 고생하게 된다. 이 부상의 후유증으로 1990년에는 0.167의 타율을 기록하며 완전히 망쳤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극복하면서 마침내 [[1993년]] 생애 첫 골든글러브 수상의 영광을 안을 수 있었다.[* 이 부상을 제외하면 선수 생활 내내 이렇다 할 중상을 입은 적이 없고, [[규정타석]]에서 빠진 적도 없었기 때문에 한때 고무인간이라 불리기도 했었다.] 그런데 골글 수상 직전, [[OB 베어스]]는 그를 [[쌍방울 레이더스]]의 [[선발 투수]] 강길룡을 상대로 최동창과 함께 [[트레이드]]해 버린다.[* 박동희 기자의 말로는 집에서 전구를 갈고 있다가 '''그의 팬에 의해''' [[트레이드]]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다시 서술하지만, '''구단이 아니고 {{{#ff0000,#ff0000 팬에게}}}'''... 김광림은 처음 들었을 때 [[만우절]]인 줄 알았다고.] 사유는 그의 부족한 클러치 능력 및 낮은 장타력. 거기다가 나이도 32세로 적지 않은 편이었기에 타선 리빌딩 차원에서 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물론 실제로 김광림은 프로 생활 내내 단 한 번도 두자리 수 홈런을 기록한 적이 없었고, 50타점 이상 기록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유가 틀린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기량이 있었던 교타자였는데다 한 팀에서 10년이나 뛰어온 프랜차이즈 스타를 이렇게 내친 건 분명 OB 구단의 실수였다. 특히 강길룡이 OB에 합류한 후 겨우 6승에 그쳤고, 강길룡의 프로 마지막 시즌이었던 1999년에는 [[평균자책점]]이 10점대로 치솟는 등 베어스 역사에 남는 실패한 [[트레이드]]가 되었다.[* 거기에 OB 이적 첫 해에는 [[OB 베어스 항명파동]]의 주범으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그렇다면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로 간 김광림은 어땠길래? 한 마디로 '''완전히 날아다녔다.''' 애당초 매일 야구 비디오를 보면서 공부하고 훈련한다고 평판이 좋던 사람이 독기까지 품었으니. 트레이드 첫 해인 [[1994년]]에는 트레이드 충격 탓인지 부진했지만, 1995년 0.337의 타율로 생애 첫 타격왕에 올랐고, 홈런도 생애 최다인 7개(...)를 때렸다. 타점 역시 생애 최다인 49타점을 기록하면서 일약 쌍방울 공격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그 결과 1995년 외야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그 해 열린 한일 슈퍼게임에서도 맹활약하면서 [[대한민국]] 쪽 MVP가 되었다. 참고로 이 때 나이가 35세로 상당히 노장 축에 들었다. 다른 선수들이었으면 슬슬 기량 하락이 찾아와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김광림은 제 2의 전성기를 맞은 셈. 1996년에도 0.303으로 2년 연속 3할 타율을 기록, 중심 타선에서 맹활약하며 쌍방울 창단 첫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고, 그해 올스타전에서는 미스터 올스타에 선정되어 [[현대 싼타모]]를 부상으로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97 시즌 기량이 상승한 [[조원우(야구)|조원우]], [[심성보]]가 외야 주전을 차지하면서 자연히 김광림은 밀려났다. 때마침 [[현대 유니콘스]]가 타선 보강을 위해 [[강영수(야구)|강영수]][* 1993년 시즌 후 쌍방울로 트레이드될 당시 상대였던 강길룡이 그랬던 것처럼 [[OB 베어스 항명파동]]의 주범으로 낙인찍힌 적이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OB 시절 김광림과 팀메이트였다.], [[공의식]]을 상대로 한 1:2 [[트레이드]]로 데려갔다. 현대로 트레이드된 김광림은 전성기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대타 및 백업으로 쏠쏠하게 활약해줬고, 선수단 내 최고참이었다 보니 덕아웃 리더 역할도 하면서 [[1998년 한국시리즈]] 우승에도 일조, 김광림 개인적으로도 커리어 첫 우승반지를 껴보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시리즈 우승 후 현대는 코치 제안을 했고, 현역으로 더 뛰고 싶었던 마음이 있었던 김광림은 이를 거부하면서 자유계약선수로 풀렸다. 결국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로 돌아와서 1년을 더 뛰었고, 1999 시즌 막판에 은퇴를 선언하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그의 은퇴와 함께 [[쌍방울 레이더스]]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00600289131010&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9-10-06&officeId=00028&pageNo=31&printNo=3625&publishType=00010|그래도 은퇴 경기는 하고 떠났다.]] 만일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이 해체되지 않고 남았다면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에서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할 수 있었겠지만, [[현실은 시궁창|현실은...]][* 다만 1999년 시즌 후 바로 쌍방울의 코치로 선임됐어도 얼마 못 가서 해임됐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해체된 쌍방울의 선수단을 모아 창단한 신생팀 [[SK 와이번스]]는 당초 쌍방울 코칭스태프들도 고용승계 형식으로 데리고 갔으나, 창단 첫 시즌 종료 후 쌍방울 색깔을 지우겠다며 과거 쌍방울에서 넘어온 코칭스태프 대부분을 정리해고했기 때문이다. 이 시절 쌍방울의 마지막 감독이었던 [[김준환]], 그리고 타격코치 [[이건열]] 등이 이러한 정책 때문에 SK에서 잘렸다.] 곱상한 외모와 달리 현역 시절에는 악바리로 유명했다. 다른 선수라면 당연히 경기에 빠질 정도의 부상도 참고 뛰었다고 한다. 투수와의 기싸움에서도 절대 지지 않았다고. == 지도자 경력 ==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04년 고교 및 대학 선배인 [[김경문]]의 두산 감독 취임 이후 [[두산 베어스]]의 코칭스태프로 영입되면서 11년만에 친정팀으로 컴백했다. 타격코치를 맡았는데, 전반적으로 두산 팬의 평가는 호의적인 편. 특히 [[김현수(1988)|김현수]]를 발굴하고, 그의 재능을 키우는데 일조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감독으로서는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2010년 [[두산 베어스]] 2군 감독으로 임명되었지만, 1시즌만에 [[박승호(야구)|박승호]]가 2군 감독으로 임명되고, 그는 다시 2군 타격코치가 되었다. [[김경문]]이 [[NC 다이노스]] 감독으로 임명되자, 두산 2군 타격코치였던 그도 [[임태훈(야구선수)|모종의 스캔들]] 등으로 어수선했던 두산의 2011 시즌 후 [[NC 다이노스]]로 옮겨 2012년부터 NC 다이노스의 타격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NC 팬들은 그를 광림매직이라 한다. 2017 시즌부터 [[kt wiz]]로 옮긴다. 다만 [[kt wiz]]에서는 팀의 암울한 타선을 보면서 고생중... 폭삭 늙는 소리가 팬들 귀에 들릴 지경이다.[* 여담으로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과 김광림 타격코치는 선수 시절에 정말 안 좋은 기억이 있다. 바로 훈련 도중 [[김진욱(1960)|김진욱]]이 김광림의 타구에 급소를 맞아서 [[내가 고자라니|후대 생산을 못 할 뻔했던 것.]] 김진욱은 결국 내정되었던 경기에 나서지 못했고 그 경기에서 [[장호연]]이 노히트를 달성해버린다.] 그 때문에 전반기까지만 해도 '[[이숭용]] 돌려내라!' 소리가 나오다가 후반기를 기점으로 [[멜 로하스 주니어|로하스]]가 한 손을 놓는 타격폼으로 타격을 교정한 이후 상승세를 탐과 동시에 [[정현(야구선수)|정현]]이 후반기에 무섭게 자리를 잡으면서 어느 정도 시즌 초에 비해 평가가 나아진 모습. 2017년 시즌 종료 후 계약 1년만에 성적의 책임을 물으며 해고되었다.[* 이 당시 코칭스태프 해고에 대해 논란이 잠시나마 일었었다. 이 논란이 나오자마자 구단 측에서는 코칭스태프의 거취를 결정하기 위해 김진욱 감독과의 상의를 우선적으로 가졌고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도 그것을 받아들여서 나온 결정이라고 단장이 직접 나서서 단번에 일축하면서 이 논란은 종결되었다.] 이후 스포츠투아이[* 스포츠 기록을 담당하는 기업이며, 독립야구단 [[성남 블루팬더스]]를 운영하고 있다.]가 운영하는 야구학교의 분당구B 리틀야구단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그 외 == * [[1988년]]에는 개막전에서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장호연]]이 선발 투수로 낙점되었는데, 원래는 [[장호연]]이 등판할 경기가 아니었으나 당초 선발 등판 예정이었던 [[김진욱(1960)|김진욱]]이 경기 전날 연습 도중 김광림의 타구에 ~~[[영 좋지 않은 곳]]~~을 가격당하며 부상으로 이탈했다. 결국 대체선발로 장호연이 등판하였는데 이 경기가 '''최초의 개막전 노히트노런 경기가 되었다.''' * [[컴투스프로야구2021]]에 1997년 카드가 쌍방울 소속으로 구현되어 있다. 시즌 중에 트레이드되었는데 오류인 듯 싶다. --근데 수정 안 하고 몇달째다..-- * 후배들에게 [[빠따]]를 마다하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잘생긴 후배들에게는 사랑의 매질(?)을 가했다고 한다. ~~몇몇 후배들은 연예계로 빠졌다.~~ ~~똥군기~~ * [[천하무적 야구단]]에서 [[오지호]] [[김성수(배우)|김성수]]의 타격지도를 해준 적이 있다. * 본관은 연안 김씨이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4 ||<|10> [[OB 베어스|OB]] || 83 || 151 || .245 || 37 || 7 || 1 || 2 || 21 || 18 || 4 || 13 || .344 || .305 || || 1985 || 91 || 165 || .309 || 51 || 4 || 0 || 1 || 15 || 23 || 9 || 7 || .357 || .337 || || 1986 || 101 || 256 || .246 || 63 || 10 || 0 || 1 || 23 || 21 || 6 || 30 || .297 || .323 || || 1987 || 102 || 342 || .327 || 112 || 9 || '''7''' [br] (2위) || 2 || 17 || '''59''' [br] (2위) || 13 || 44 || .412 || .403 || || 1988 || 101 || 311 || .312 || 97 || '''21''' [br] (3위) || '''4''' [br] (3위) || 2 || 28 || 45 || 8 || 31 || .424 || .372 || || 1989 || 72 || 211 || .275 || 58 || 6 || '''5''' [br] (4위) || 1 || 13 || 29 || 14 || 19 || .365 || .333 || || 1990 || 82 || 188 || .165 || 31 || 6 || 3 || 1 || 21 || 16 || 1 || 21 || .245 || .246 || || 1991 || 108 || 361 || .307 || 111 || 19 || 6 || 3 || 36 || 49 || 20 || 38 || .418 || .372 || || 1992 || 119 || 383 || .287 || 110 || 16 || 3 || 1 || 31 || 45 || 13 || 33 || .352 || .340 || || 1993 || 117 || 430 || .300 || 129 || 18 || 3 || 3 || 32 || 49 || 13 || 42 || .377 || .358 || || {{{#ffcc00 연도}}} || {{{#ffcc00 소속팀}}} || {{{#ffcc00 출장 경기수}}} || {{{#ffcc00 타수}}} || {{{#ffcc00 타율}}} || {{{#ffcc00 안타}}} || {{{#ffcc00 2루타}}} || {{{#ffcc00 3루타}}} || {{{#ffcc00 홈런}}} || {{{#ffcc00 타점}}} || {{{#ffcc00 득점}}} || {{{#ffcc00 도루}}} || {{{#ffcc00 4사구}}} || {{{#ffcc00 장타율}}} || {{{#ffcc00 출루율}}} || || 1994 ||<|3>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119 || 388 || .240 || 93 || 15 || 4 || 4 || 31 || 56 || 20 || 40 || .330 || .311 || || 1995 || 119 || 419 || '''{{{#red,#ff0000 .337}}}''' [br] (1위) || '''141''' [br] (3위) || 17 || 1 || 7 || 49 || 60 || 16 || 53 || .432 || '''.406''' [br] (4위) || || 1996 || 126 || 449 || .303 || 136 || 19 || '''6''' [br] (2위) || 2 || 49 || 69 || 15 || 48 || .385 || .368 || || {{{#fab93d 연도}}} || {{{#fab93d 소속팀}}} || {{{#fab93d 출장 경기수}}} || {{{#fab93d 타수}}} || {{{#fab93d 타율}}} || {{{#fab93d 안타}}} || {{{#fab93d 2루타}}} || {{{#fab93d 3루타}}} || {{{#fab93d 홈런}}} || {{{#fab93d 타점}}} || {{{#fab93d 득점}}} || {{{#fab93d 도루}}} || {{{#fab93d 4사구}}} || {{{#fab93d 장타율}}} || {{{#fab93d 출루율}}} || || 1997 ||<|2> [[현대 유니콘스|현대]] || 117 || 346 || .292 || 101 || 14 || '''5''' [br] (5위) || 2 || 32 || 43 || 9 || 40 || .379 || .362 || || 1998 || 102 || 216 || .255 || 55 || 8 || 2 || 3 || 21 || 26 || 4 || 31 || .352 || .347 || || {{{#ffcc00 연도}}} || {{{#ffcc00 소속팀}}} || {{{#ffcc00 출장 경기수}}} || {{{#ffcc00 타수}}} || {{{#ffcc00 타율}}} || {{{#ffcc00 안타}}} || {{{#ffcc00 2루타}}} || {{{#ffcc00 3루타}}} || {{{#ffcc00 홈런}}} || {{{#ffcc00 타점}}} || {{{#ffcc00 득점}}} || {{{#ffcc00 도루}}} || {{{#ffcc00 4사구}}} || {{{#ffcc00 장타율}}} || {{{#ffcc00 출루율}}} || || 1999 ||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71 || 144 || .229 || 33 || 5 || 0 || 0 || 12 || 11 || 5 || 15 || .264 || .298 || ||<-2> '''[[KBO 리그|KBO]] 통산''' [br] (16시즌) || 1630 || 4760 || .285 || 1358 || 194 || '''50''' [br] (7위) || 35 || 431 || 619 || 170 || 505 || .369 || .351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 [[현대 유니콘스/선수단]] * [[쌍방울 레이더스/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광림, version=30)]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유성구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1999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병역특례자/야구]][[분류:KBO 미스터 올스타]][[분류:KBO 타격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