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現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소속 포워드, rd1=김단비(1992))] [include(틀: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선수단)] ---- ||
'''{{{#ffffff 김단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여자프로농구 주장)] ---- ||
'''{{{#ffffff 김단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fff200 2008}}}''' || '''{{{#fff200 2009}}}''' || '''{{{#fff200 2010}}}''' || || '''{{{#fff200 2011}}}''' || '''{{{#fff200 2012}}}''' || '''{{{#ffffff 2023}}}''' || ---- || [[WKBL|[[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width=40]]]][br] '''{{{#d7ad59 {{{+1 WKBL 베스트 5}}} (7회) [br] {{{#ffffff 2010-11,}}} {{{#ffffff 2011-12,}}} {{{#ffffff 2014-15,}}} {{{#ffffff 2016-17, 2020-21, 2021-22, 2022-23}}}}}} ''' || ---- [include(틀:WKBL 베스트5/2020~2025)] ---- [include(틀:WKBL 라운드 MIP/2007~2010)] ---- [include(틀:WKBL 라운드 MVP/2015~2020)] ---- [include(틀:WKBL 라운드 MVP/2020~2025)] ---- [include(틀:WKBL 역대 득점왕)] ---- [include(틀:WKBL 역대 리바운드상)] ---- [include(틀:WKBL 라운드 MVP/2010~2015)] ---- [include(틀:WKBL 역대 MVP)] ---- [include(틀:WKBL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 ---- ||<-2>
'''{{{#8b0000 2010-11 WKBL BEST 5}}}''' || || [[이미선(농구)|이미선]] [br] ,,[[가드(농구)|G]] / 용인 삼성생명,, || [[이경은]] [br] ,,[[가드(농구)|G]] / 구리 KDB생명,, || ||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 [br] ,,[[포워드(농구)|F]] / 부천 신세계,, || '''김단비''' [br] ,,[[포워드(농구)|F]] / 인천 신한은행,, || ||<-2> [[신정자]] [br] ,,[[센터(농구)|C]] / 구리 KDB생명,, || ---- ||<-2>
'''{{{#8b0000 2011-12 WKBL BEST 5}}}''' || || [[김지윤(농구)|김지윤]] [br] ,,[[가드(농구)|G]] / 부천 신세계,, || [[최윤아]] [br] ,,[[가드(농구)|G]] / 안산 신한은행,, || || '''김단비''' [br] ,,[[포워드(농구)|F]] / 안산 신한은행,, || [[변연하]] [br] ,,[[포워드(농구)|F]] / 청주 KB스타즈,, || ||<-2> [[신정자]] [br] ,,[[센터(농구)|C]] / 구리 KDB생명,, || ---- ||<-2>
'''{{{#8b0000 2014-15 WKBL BEST 5}}}''' || ||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 [br] ,,[[가드(농구)|G]] / 춘천 우리은행,, || [[홍아란]] [br] ,,[[가드(농구)|G]] / 청주 KB스타즈,, || || '''김단비''' [br] ,,[[포워드(농구)|F]] / 인천 신한은행,, || [[양지희]] [br] ,,[[포워드(농구)|F]] / 춘천 우리은행,, || ||<-2> [[카리마 크리스마스|크리스마스]] [br] ,,[[포워드(농구)|F]] / 인천 신한은행,, || ---- ||<-2>
'''{{{#8b0000 2016-17 WKBL BEST 5}}}''' || ||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 [br] ,,[[가드(농구)|G]] / 아산 우리은행,, || [[강이슬]] [br] ,,[[가드(농구)|G]] / [[부천 하나원큐|부천 KEB하나은행]],, || || '''김단비''' [br] ,,[[포워드(농구)|F]] / 인천 신한은행,, || [[A.토마스]] [br] ,,[[포워드(농구)|F]] / 용인 삼성생명,, || ||<-2> [[존쿠엘 존스]] [br] ,,[[센터(농구)|C]] / 아산 우리은행,, || }}} || ---- }}} || ---- ||<-2>
{{{+1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No.2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010048; font-size: 1.1em" '''C'''}}} || ||<-2> '''ASAN WOORI BANK WOORIW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단비_23우뱅.png|width=80%]]}}} || ||<-2> '''{{{+2 김단비}}}[br]Kim Dan-Bi''' || ||<|2> '''출생''' ||[[1990년]] [[2월 27일]] ([age(1990-02-27)]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키(신체)|신장]] 180cm || || '''포지션''' ||[[스몰 포워드]] || || '''학력''' ||인천산곡북초등학교 {{{-2 (졸업)}}}[br][[부일여자중학교]] {{{-2 (졸업)}}}[br][[명신여자고등학교]] {{{-2 (졸업)}}}[br][[강동대학교]] {{{-2 (재학)}}} || || '''프로 입단''' ||[[2008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08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2순위, [[OK저축은행 읏샷|구리 금호생명]][* 신한은행과 금호생명의 2007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권 ↔ 강지숙 트레이드로 인해 실제 입단은 신한은행.])}}} || || '''소속'''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안산-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2007~2022)'''[br]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22~ )''' || || '''가족 관계''' ||[[부모님]], 오빠[br]남편 유병진^^(2020년 4월 13일 결혼)^^[* 전 국가대표 [[수구]] 선수.]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kimdb_1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응원가''' ||트래비스 밀스 - Young & Stupid (Feat. T.I.)[br][[김태우(god)|김태우]] - [[사랑비(김태우)|사랑비]]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소속 [[농구 선수]]. 포지션은 [[스몰포워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슈팅 가드]]와 [[파워 포워드]]까지 보는 WKBL의 멀티 플레이어 중 한 명이다. 별명은 단뚱이, 여자 농구계의 [[최진수(농구)|최진수]]. 2021년까지 올스타 팬 투표 6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2-23 시즌에는 데뷔 16년 만에 생애 첫 정규 리그, 챔피언 결정전 MVP가 오르며 통합 우승과 함께 통합 MVP에 등극했다. == 선수 경력 == 고교 시절 두각을 나타내며 전체 2번으로 프로 무대를 밟았다. 그렇지만 초기에는 거의 뛰지 못하며 말 그대로 훈련만 열심히 받았다. 그러다가 조금씩 이름을 알린 것이 오프시즌에 열린 퓨처스리그. 퓨처스리그에서 블록슛 부분 3연패(2008~2010) 및 2009 퓨처스리그에서는 득점상, 스틸상, 블록슛 부분을 모두 석권하며 MVP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일약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팀 내 [[전주원(농구)|전주원]], [[정선민]] 같은 레전드들의 조언 및 본인의 노력에 더해지면서 실력이 급격히 상승, 마침내 2009-10 시즌부터 식스맨으로 활약해, 2010-11 시즌에는 팀의 주전 포워드로 맹활약을 펼쳤다, 신한은행의 리그 5연패의 위업에 한 몫 했다. 평균 6.91점을 넣던 선수가 2010-11 시즌에는 두배 가까이 되는 평균 13.5점을 집어넣으면서 기량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세대교체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한국 여자농구 입장에서는 정말 [[단비]]와 같은 존재. 그래서 2011년 아시아선수권부터 대표로 발탁되어 뛰고 있다. 다재다능한 포워드로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블록슛에서 모두 10권 안에 드는 성적을 내는 선수다. 돌파력도 뛰어나고, 외곽슛도 괜찮은 편이라서 WKBL에서는 상대할때 까다로운 선수. 2013년 4월 중순, 1차 FA에서 소속구단과 계약이 불발되는듯 했으나 다음날 3억에 신한에 잔류가 확정되었다. 이는 본인이 원하지 않은 선택이었고 신한은행은 팬들에게 많이 까였다. 2013년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때 출전했다. 13-14시즌 초반에는 컨디션이 안 좋은 모습을 보여 팬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13-14시즌 후 연봉은 2억으로 하향 조정되었는데 선수 본인도 최고연봉은 부담스러웠다며 만족스러워하는 인터뷰를 한 적 있다. 14-15시즌에는 다시금 11-12시즌과 같은 기량을 보여주며 특히 시즌 전반에 팀이 어수선할때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1라운드 mvp로 선정되기도 했고 kbsn에서 단비은행이라고 팀을 일컫은 적도 있었다. 최종 성적으로, 국내 공헌도 1위, 득점 2위, 리바운드 1위, 블록슛 1위, 어시스트 7위, 스틸 5위라는 개인 스탯을 쌓아 강력한 정규리그 MVP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다. ~~통상적으로 mvp는 우승팀에서 나오기 때문에 후보로 거론된 것으로 활약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11-12년 베스트5, 미디어스타상 이후로 시상식에서 상을 받지 못했는데 14-15시즌에는 윤덕주상, 베스트5상, 리바운드상, 블록슛상을 받아 4관왕을 하게 되었다. 상금만 600만원. 프랑스에서 열린 2016 리우 올림픽 예선에 선발되어 활약했다. 왕성한 활동량으로 공수 전반에서 활약했으며 그나마 아이솔을 시도하고 성공해주는 거의 유일한 존재였고 벨라루스와의 최종전에서 조금 더 적극성을 드러냈다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2021-22시즌 블록슛 상을 수상했다!''' 박지수를 0.02개차로 따돌렸다. 시즌 마지막 게임 종료 1분전 김민정의 슛을 블락하면서 극적으로 1위를 달성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ori23.png|width=100%]]}}} || 21-22시즌 종료 후 2007년부터 15년간 뛰던 신한은행을 떠나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으로의 FA 이적을 결정했다. 계약조건은 4년에 연봉 3억 추가 수당 1억 5천만원으로 총액 4억 5천만원이다.[[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003/0011159039|#]] 이적 확정 다음날 "13번 김단비는 저만의 추억으로 남겨두겠다. 우리은행에서 같은 13번을 쓰는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이 제 보상선수가 되는 여부 관계없이 새 팀에선 13번을 달지 않겠다"고 밝힘에 따라 13번 김단비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http://naver.me/Fee29lQn|#]] 김단비가 국가대표팀에서 달던 23번은 현재 우리은행 선수단에서 비어있었는데 우리은행에서는 23번을 달게 되었다.[[https://youtu.be/SHGmQNUFjOo|#]] 결국 김단비의 보상선수로 [[김소니아]]가 되어 김정은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이적을 선택했지만, 신한은행 팬들에게 비판보다는 격려를 받았다. 지난 시즌 강이슬이 박지수가 있는 KB스타즈로 이적하며, 리그의 재미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KB스타즈는 거의 전승을 거두었고, 강이슬이 떠난 하나원큐는 승률 1할대의 승리자판기 신세가 되었다.[* 강이슬이 있던 시기에도 승점자판기를 타파하는 건 어려웠다. 첼시 리 사건으로 박지수를 놓치고,코로나로 PO도 놓치는 등 운이 잘 안 따라주기는 했다. 그래도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다.] 이런 재미없는 리그의 구도를 타파하고, 우승을 위해서 이적은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보상선수로 데려온 김소니아는 작년 베스트5, MIP 수상자에 나이도 김단비보다 세 살 어려서 크게 손해는 아니었다. 보상선수로 데려올 선수가 없어서 KB스타즈에 현금을 받게 한 강이슬의 경우와 비교되어서 팬들이 고마워하는 부분도 있을 정도였다. 2022-23 PO 1차전에서 친정팀인 신한은행을 만나서 23점을 득점하면서 승리 공신이 되었다. 22-23 시즌 통합우승을 이뤄냈고, 통합 MVP까지 수상하는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우리은행 이적은 일단 최고의 결과를 남겼다. == 국가대표 경력 == * 2007 U19 세계선수권 8위 * 2010 FIBA 세계선수권 8위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은메달 * 2011 FIBA 아시아선수권 2위 * 2013 FIBA 아시아선수권 2위 *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금메달 * 2015 FIBA 아시아선수권 3위 * 2016 리우올림픽 퀄리파잉 토너먼트 (평균 12.8득점 2리바 1.8어시 야투 41.1% 3점 33.3%) * 2017 FIBA 아시아컵 4위 * 2018 FIBA 월드컵 14위 * 2019 도쿄올림픽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프리-퀄리파잉 토너먼트 * 2020 도쿄올림픽 퀄리파잉 토너먼트 (영국전 풀타임 출장 19득점) * 2020 도쿄올림픽 10위 (세르비아전 15득점 야투 50%) * 2021 FIBA 아시아컵 * 2022 FIBA 월드컵 퀄리파잉 토너먼트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동메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단비 항저우.jpg|width=100%]]}}}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시즌별 성적 == ||<-11>
{{{#fff200 역대 기록}}} || || {{{#fff200 시즌}}} || {{{#fff200 소속팀}}} || {{{#fff200 경기수}}} || {{{#fff200 필드골}}} || {{{#fff200 3점슛}}} || {{{#fff200 자유투}}} || {{{#fff200 득점}}} || {{{#fff200 리바운드}}} || {{{#fff200 어시스트}}} || {{{#fff200 스틸}}} || {{{#fff200 블록슛}}} || || 2007-08 ||<|15>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8 || 3/8 [br] (37.50%) || || 2/3 [br] (66.67%) || 8 || 6 || 4 || 4 || 2 || || 2008-09 || 31 || 34/80 [br] (42.50%) || 6/25 [br] (24.00%) || 23/28 [br] (82.14%) || 109 || 56 || 14 || 9 || 12 || || 2009-10 || 34 || 76/175 [br] (43.43%) || 11/55 [br] (20.00%) || 50/56 [br] (89.29%) || 235 || 118 || 74 || 23 || 20 || || 2010-11 || 28 || 103/239 [br] (43.10%) || 32/82 [br] (39.02%) || 76/91 [br] (83.52%) || 378 || 156 || 72 || 34 || 36 || || 2011-12 || 39 || 173/332 [br] (52.11%) || 48/144 [br] (33.33%) || 134/172 [br] (77.91%) || 624 || 224 || 140 || 35 || 40 || || 2012-13 || 35 || 111/280 [br] (39.64%) || 42/148 [br] (28.38%) || 97/126 [br] (76.98%) || 445 || 193 || 115 || 46 || 44 || || 2013-14 || 33 || 82/209 [br] (39.23%) || 42/132 [br] (31.82%) || 52/72 [br] (72.22%) || 342 || 155 || 83 || 28 || 24 || || 2014-15 || 35 || 112/276 [br] (40.58%) || 53/169 [br] (31.36%) || 85/109 [br] (77.98%) || 468 || 232 || 103 || 42 || 39 || || 2015-16 || 35 || 112/266 [br] (42.11%) || 56/187 [br] (29.95%) || 37/58 [br] (63.79%) || 429 || 157 || 126 || 63 || 26 || || 2016-17 || 35 || 132/322 [br] (40.99%) || 48/161 [br] (29.81%) || 107/135 [br] (79.26%) || 515 || 226 || 148 || 69 || 50 || || 2017-18 || 35 || 134/309 [br] (43.37%) || 27/111 [br] (24.32%) || 57/75 [br] (76.00%) || 406 || 193 || 171 || 73 || 28 || || 2018-19 || 28 || 131/309 [br] (42.39%) || 31/131 [br] (23.66%) || 74/98 [br] (75.51%) || 429 || 175 || 165 || 31 || 22 || || 2019-20 || 27 || 94/234 [br] (43.43%) || 27/97 [br] (27.84%) || 63/82 [br] (76.83%) || 332 || 150 || 127 || 19 || 34 || || 2020-21 || 30 || 182/389 [br] (46.79%) || 31/97 [br] (31.96%) || 99/128 [br] (77.34%) || 556 || 275 || 144 || 39 || 39 || || 2021-22 || 24 || 133/289 [br] (46.02%) || 36/122 [br] (29.51%) || 90/114 [br] (78.95%) || 464 || 210 || 99 || 29 || 22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필드골}}}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22-23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은행]] || || || || || || || || || || ||<-2> '''[[한국여자프로농구|WKBL]] 통산''' [br] (15시즌) || 457 || 1612/3717 [br] (43.37%) || 490/1661 [br] (29.50%) || 121/191 [br] (63.35%) || 5,740 || 2,526 || 1,585 || 544 || 459 || == 플레이스타일 == 2010년대 중반 이후, WKBL 최고의 포워드로 꼽히는 올어라운드 플레이어. WKBL 기준으로 봐도 키는 특출난 편이 아니지만, 힘과 밸런스는 리그 최고 수준이다. 여농티비에서 선수들에게 물었을 때도 김한별 다음으로 힘이 좋은 국내 선수로 꼽혔다. 속도도 빠른 편이어서 돌파가 굉장히 위협적이다. 힘이 좋아서인지 범핑이 있어도 쉽게 균형을 잃지 않는다. 그리고, 힘을 기반으로 한 포스트 플레이에도 능하다. 슈팅도 리그 최상위권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미드레인지 점퍼, 자유투, 3점슛 모두 WKBL 기준으로 평균을 상회한다. 돌파가 좋은 선수가 슛도 나쁘지 않으니 상대편 입장에서는 막기 매우 까다롭다. 하지만, 점퍼는 기복이 조금 있는 편이다. 본인 말로는 매년 바뀌는 게 슛폼이라고... 슛폼은 멋이 없다. 한 팔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다리가 벌어지는 경우도 많다.--그래도 잘 들어가서 당하는 쪽은 속 터진다.-- 시야와 패스도 아주 좋아서 매시즌 5개 내외의 어시스트를 기록한다. 특히, 코트를 가로지르는 스킵 패스는 리그 최고 수준으로 견줄 선수가 없다.[* 스킵 패스는 시야도 좋아야 하지만, 스틸 위험이 많은 어려운 패스이다. 김단비의 경우, 힘이 좋아서인지 빠르게 코트를 가로질러서 스틸 당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단연, 동시대 포워드 중에 패스와 시야가 가장 좋은 선수이다. 공격면에서는 최고 수준의 돌파와 시야, 패스, 그리고 평균 수준 이상의 슈팅을 갖춘 무결점 포워드이다. 슈팅 능력 때문에 새깅도 못하고, 붙으면 돌파하고, 헬프가 오면 킥아웃 패스로 어시스트가 가능한 정말 막기 힘든 선수이다. 미스매치에도 강해서 작은 선수가 붙으면 힘을 기반으로 뚫고, 큰 선수가 붙으면 속도로 제낀다. 신한은행의 에이스 시절에는 볼 핸들러 역할을 맡으며 공격에 치중하느라 수비는 덜 신경썼지만, 마음 먹고하면 상대 에이스를 전담 수비할 수 있을 정도로 수비가 좋다. [[전주원]] 국가대표팀 감독도 대표팀에서 가징 수비가 좋은 선수로 김단비를 꼽았을 정도이다. [[박지현(1979)|박지현]]도 김단비로부터 가장 닮고싶은 점은 수비라고 했다.[* 박지현도 리그의 손꼽히는 올어라운드 플레이어이다.] 힘과 속도 모두 좋기 때문에 스위치 수비 시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 WKBL 기준으로 [[박지수]]만 빼면, 1번부터 5번까지 모두 커버가 될 정도이다. 대인방어뿐만 아니라 스틸과 블록에도 능해서 매시즌 평균 1개 이상의 스틸과 블록을 한다. 리바운드 참여도 좋아서 포워드 중 최상위권에 위치한다. 결론적으로 공수 양면에서 흠잡을 곳 없이 팀 전체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리그 No.1 포워드이다. 김단비 다음으로 꼽히는 [[강이슬]], [[김소니아]]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 이점이다. 두 선수는 본인 득점을 먼저보고 본인의 기록으로 팀에 기여한다. 이에 반해 김단비는 공격은 물론이고, 시야와 패스, 그리고 수비를 바탕으로 팀 전체의 경기력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수이다.[* 강이슬의 경우, 22-23시즌 박지수가 없어도 리그 4강 이상의 전력이라고 모든 농구기자가 얘기할 정도였지만 결과는 4위와 큰 차이가 나는 5위였다. 하나원큐 시절에도 팀의 에이스였고, 개인 기록은 좋았지만 팀은 항상 하위권을 맴돌았다. 김소니아는 강이슬보다는 낫지만, 볼핸들러로서 어시스트 숫자에서 김단비와 많은 차이가 난다. 특히, 오른쪽 돌파 동선을 틀어막으면 상당히 답답해진다. 우리은행의 [[위성우]] 감독도 박지수가 버티는 절대 1강 KB스타즈를 잡기 위해서 [[김소니아]]를 잃을 것을 감수하고도 김단비를 데려왔다.] == 여담 == * 22-23시즌 챔프전 우승이 확정된 이후, 아동용 장난감 칼을 양손에 들고 사정없이 [[위성우]] 감독을 구타했다. ~~"성우야, 나 너무 신나."~~[[https://m.sports.naver.com/video/1053643?t=8326|#]] == 기타 == * 남자 농구 선수 [[최진수(농구)|최진수]]와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065339|상당히 닮았다]]. 그런데 본인은 별로 듣기 싫어하는 듯. 그래서 붙은 별명이 최단비. 최진수의 [[도플갱어]]라 할 수 있는 축구 선수 [[지동원]]과도 닮았고 야구 선수 [[유한준]]과도 닮았다. 배우 [[이선균]]과도 닮았다. --묘하게 [[라비(빅스)|라비]]도 닮았다(...)-- * [[김단비(1992)|92년 생에 같은 포워드인 동명이인]]이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초기에는 우리은행 소속이었지만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의 FA 이적에 따른 보상 선수로 이적했다. 이후 [[양인영]]이 [[부천 하나원큐|하나은행]]으로 FA 이적한 것에 대한 보상선수로서 삼성생명으로 갔다. 그리고 이 문서의 90년생 김단비는 2022-23시즌부터 92년생 김단비의 데뷔팀 우리은행에서 뛰게 되었다.]에 있으며, 2017-18 시즌 당시에는 '''배번마저 13번으로 같았지만''',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은행]]으로 이적하면서 23번으로 변경하였다. * [[마구마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65&aid=0000061902|유저라고 한다]]. * [[2015년]] [[4월 7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삼성 라이온즈]] 대 [[롯데 자이언츠]] 경기에서 [[삼성 라이온즈]] 유니폼을 입고 관람~~을 가장한 먹방~~을 하는 것이 중계 카메라에 걸렸다. 삼성 팬인 듯하다. 이 영상은 조회수 20만을 돌파하며 여자 농구 선수가 출연한 영상 중 최고 조회 수가 된 듯하다.[[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119553|영상]]. * 2016-2017 시즌부터 2021-2022 시즌까지 여섯 시즌 연속 올스타전 팬 투표 1위를 했다.[* 이는 여자프로농구에서 실력과 외모를 겸비했다는 이야기이다.] * 2018년 4월19일, 프로야구 넥센 히어로즈의 홈경기에서 시구를 했다[[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tab=&listType=keyword&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EA%B9%80%EB%8B%A8%EB%B9%84&id=420101&page=1|영상]] * 2020년 4월 13일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상대는 수구 국가대표 출신 유병진 선수.[* 연애를 시작한지 5년째에 결혼한 커플로 남편은 수구 선수를 그만두고 [[인천광역시|인천]]에 직장을 두고 있다고 한다.] * 2011년 무한도전 [[결투특집 하하 VS 홍철]]편에서 노홍철의 자유투 선생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하하의 선생은 김승현. * 2021년 E채널 [[노는 언니]]의 게스트로 출연했다. * 2022년 1월 17일 [[무엇이든 물어보살]]에 [[신지현]]과 함께 출연했다. [[https://tv.naver.com/v/24642764/list/764638|영상1]] [[https://tv.naver.com/v/24642766/list/764638|영상2]] ==# 올림픽 출전 이력 #==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0 도쿄 올림픽/농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 김단비.jpg|width=100%]]}}} || || '''2020 도쿄 올림픽'''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분류:1990년 출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강동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스몰 포워드]][[분류:2007년 데뷔]][[분류: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은퇴, 이적]][[분류:아산 우리은행 우리WON/현역]][[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