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대중)] [[파일:external/weekly.cnbnews.com/1750b.jpg]] 김대중도서관 정면의 모습. 맨 앞에 보이는 집이 동교동 사저, 그 뒤가 김대중도서관.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63051103bodo(m)-4.jpg]] [[2003년]] [[11월]] 개장식 당시. 왼쪽부터 [[권양숙]] 여사, [[노무현]]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 [[김대중]]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 [[이희호]] 여사. [목차] == 개요 == 김대중도서관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 도서관'''이다. 현재 도서관장은 한국전쟁 연구로 유명한 [[연세대학교]] [[박명림]] 교수가 맡고 있다. 또한 [[연세대학교]]의 건축물 가운데 유일하게 [[마포구]]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 안내도에는 나오지 않는다.] == 개장 일화 == 김대중 전 대통령은 엄청난 독서광으로 야당 정치인 시절부터 자택 지하실을 통째로 서고로 만들어 독서를 하며 가택연금 동안 하루종일 책을 읽으며 공부를 한 사람이다. 또한 수감 당시에도 책을 손에서 떼지 않았을 정도. 이후 미국에서는 대통령이 퇴임하면 기념도서관을 건립하는데, 한국에는 대통령 기념 도서관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안타깝게 느끼다가 대통령 퇴임 후 활동 거점으로 김대중대통령도서관을 건립한다.[* 대통령 도서관 건립 자체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자신의 숙적이었던 박정희에 대한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박정희도서관]] 건립에 대한 허가를 내주고 지원금도 지역 공공도서관으로 활용할 것을 조건으로 통크게 내주었다. 김대중의 정치적 라이벌이던 [[김영삼]]의 이름을 딴 [[김영삼도서관]]도 그가 생전에 거주했던 [[상도동(서울)|상도동]]에 있다. 다만 생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도서관 개관 테이프를 직접 끊었던 김대중과 달리 김영삼은 생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도서관이 개관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2000년 한국 민주화 운동과 [[햇볕정책]]으로 남북간의 관계개선의 공로, 아시아에 대한 민주화 기여와 평화조정기여[* 대개 햇볕정책 때문에 노벨평화상을 수상 받은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 부분도 있지만 민주화를 위한 헌신 뿐 아니라 대통령 재직 중 동남아시아 동티모르에서 학살극이 벌어질 뻔한 사태를 정상회담 등 중재를 통해 막은 공로가 컸다.] 를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그 상금을 [[연세대학교]]에 기부하였고 그 상금으로 과거 '아태재단' 이었던 건물에 2003년 11월 '김대중도서관' 을 설립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신의 노벨평화상 수상 복사본과 여러가지 집안의 귀물들을 전부 기부하였다. [[2003년]] [[11월 3일]] 개장식이 열렸으며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도 참석하였다. 잘 찾아보면 방명록에 사진이 찍힌 것도 찾을 수 있다. == 내부 == 이름은 '도서관' 이지만 일반인이 이용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아니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책관련 자료 및 연구자료를 모아놓은' 특수목적도서관'으로 건립되었다. 지하1층에는 6.15 다목적 포럼을 위한 컨벤션홀이 마련되어 있고 1층, 2층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민주화 운동과 투옥생활, 망명생활을 거듭하며 썼던 각종 연필, 편지, 수의, 지팡이 등과 대통령이 된 이후에 노벨평화상 수상 복사본[* 진본은 사저에 있다.]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받은 강복편지, 포항에 한 할머니가 [[이희호]] 여사에게 보낸 선물과 사망 직전 입었던 목도리와 이희호 여사가 직접 뜨개질해서 만든 모자등 다양한 전시품들을 만날 수 있다. 물론 명분이 도서관이어서, 제1열람실과 제2열람실에 3000여권 정도의 도서가 있다. 초기 개장 당시에는 20000권이었으나 [[2010년]] 17000여권을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기부함으로써 현재는 3000여권 정도만 남아있다.[* 도서 대부분이 김 전 대통령 관련 도서이지만 일부는 철학책인 것도 있다.] 나머지 3~5층은 [[김대중평화센터]] 관련 업무 공간이다. == 흥행 == 개장 초기에는 너무 학술적인 이미지가 묻어난 나머지 하루에 방문객이 10명 밖에 안 되어서 정부에서 돈을 헛수고로 퍼붓는다며 뭐라 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걸 알았는지 [[2006년]] 리뉴얼로 지금의 모습을 갖추며 방문객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 기타 == [[연고전]]의 영향(?)인지 고려대학교의 '[[이명박]] 라운지'와 비교대상이 되곤 하는데, 실제 고려대학교 출신인 이명박과는 다르게 김대중은 대학교를 안나왔기에 [[홍철 없는 홍철팀|연세대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분류:서울특별시의 도서관]] [[분류:김대중]] [[분류:연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