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대법원장)] ||<-2> '''{{{#fff {{{#ffffff 대한민국 제11대 대법원장}}} [br] {{{+1 김덕주}}} [br] 金德柱 | Kim Deokj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덕주_대법원장.jpg|width=100%]]}}} || ||<|2> '''출생''' ||[[1933년]] [[9월 29일]] || ||[[충청남도]] [[부여군]] || || '''사망''' ||[[2023년]] [[1월 5일]] (향년 89세) || || '''학력''' ||[[청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법학 / 학사)}}} || ||<|4> '''재임기간''' ||대법관 {{{-2 ([[유태흥]] [[대법원장]] 제청 / [[전두환|전두환 대통령]] 임명)}}}|| ||[[1981년]] [[4월]] ~ [[1986년]] [[4월]]|| ||제11대 대법원장 {{{-2 ([[노태우|노태우 대통령]] 임명)}}} || ||[[1990년]] [[12월 16일]] ~ [[1993년]] [[9월 11일]] || || '''경력'''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민사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br][[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br][[춘천지방법원|춘천지방법원장]][br][[대법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본관은 [[연안 김씨|연안]](延安)[* 내자시윤공파-청양 종중 27세 주(柱) 항렬.]이다. == 생애 == 1933년 9월 29일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충청북도경찰청|충청북도경찰국]] 과장을 지낸 아버지 김만영(金滿泳)과 어머니 [[은진 송씨]] 송세남(宋世男)[* 송병귀(宋秉龜)의 딸이다.] 사이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1955년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이후 [[판사]]로 근무하였다. 1980년 [[법원행정처]] 차장을 거쳐 1981년 전두환 대통령에 의해 [[대법원 판사]]직에 임명되었다. 1986년 대법원 판사 임기만료 후 잠시 [[변호사]]로 개업하여 활동하였다. 1988년 [[노태우]] 대통령에 의하여 다시 [[대법관]]으로 임명되었고, 1990년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대법원장 재임 중이던 1993년 소장 판사들의 사법 개혁 요구로 제3차 [[사법 파동]]이 일어났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자신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번지자 사퇴하였다. 상훈으로는 청조근정훈장과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있다. 2023년 1월 5일 향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이고, 장례는 법원장으로 거행되었으나 유족의 뜻에 따라 별도의 영결식과 안장식은 거행되지 않았다.[[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84368|#]] [각주] [[분류:1933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연안 김씨]][[분류:부여군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청주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법관]][[분류:대한민국 대법원장]][[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