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1992년 출생]]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2> [[파일:/image/347/2014/05/21/2014052110173527663_20140521101830_1_99_20140521102102.jpg|width=350]] || ||<-2> '''{{{#white 프로필 }}}''' || || 성명 || 김동현 || || 로마자 이름 || Kim Dong Hyun || || 생년월일 || [[1992년]] [[1월 31일]] || || 국적 || [[대한민국]] || || 종족 || [[저그]] || || 現 소속 || 은퇴 || || ID || '''Revival'''[* 스1 시절부터 쓰던 아이디. [[TSL]]에 있었을때는 '티에스엘예쁜이'라는 아이디를 썼다.] || || 2013 WCS 순위/점수 || 17위[* 원래 [[NaNiwa]]와 동점이였으나 순위 결정전에서 패배하는 바람에 글로벌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3200점 || || SNS || [[https://twitter.com/sc2Revival|트위터]]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revival|트위치]] || ||<-2> 소속 기록 || || [[MBC GAME HERO]] || 2009.03.24 ~ 2010.08.??[* 리퀴피디아에도 ??로 표기되어있다.] || || [[TSL]] || 2010-09-?? ~ 2012-11-28 || || [[Evil Geniuses]] || 2012-11-28 ~ 2013-12-10 || || CMStorm || 2014-03-05 ~ 2015-04-24 || [목차] == 경력 == ||<-5> '''{{{#white 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5> [[IEM]] Season VIII - Shanghai 우승자 || || [[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br] --[[최병현(1992)|최병현]]-- || → || '''김동현''' || → || [[IEM]] Season VIII - New York [br] --[[이승현(1997)|이승현]]--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 [[2009년]] [[3월]] 제46회 스타크래프트 준프로게이머 선발전 입상 * [[2009년]] [[3월]] 2008 엘리트학생복 스쿨리그 입상 (원미고)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2011년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코드 A 16강 (VS [[HuK]] 1:2) * [[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 A 32강 (VS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1:2)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16강 * [[Sony Ericsson GSL Oct.]] 코드 A 32강 (VS [[김승철]] 1:2) * IEM Season VI - Guangzhou 8강 (VS [[IdrA]] 1:3) * [[Sony Ericsson GSL Nov.]] 코드 A 48강 (VS [[황규석]] 0:2) * 2012년 * [[2012 HOT6 GSL Season 2]] 코드 A 48강 (VS [[박수호]] 0:2) * MLG Pro Circuit 2012 - Summer Championship 7위 (VS [[윤영서]] 0:2) * MLG Pro Circuit 2012 - Fall Championship 32강 (VS Suppy 0:2) * IEM Season VII - Singapore 8강 (VS [[VortiX]] 0:3) * 2013년 * [[2013 GSL Season 1]] 코드 A 48강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1:2)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WCS America Season 1]] 준우승 (VS [[송현덕]] 2:4) * [[2013 WCS Season 1 Finals]] 16강 * IEM Season VIII - Shanghai '''우승''' (VS [[김학수]] 4:0) * [[2013 WCS America Season 2]] PL 16강 * [[2013 WCS America Season 3]] PL 32강 * IEM Season VIII - New York 16강 * 2014년 * [[2014 WCS America Season 1]] PL 4강 (VS [[김학수]] 2:3) * 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16강 (VS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 2:3) * [[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 8강 * [[2014 WCS America Season 2]] PL 16강 * 2014 MLG Anaheim 36강 (VS [[황규석]] 1:2) * [[2014 WCS America Season 3]] PL 32강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Detroit 32강 (VS [[윤영서]] 0:2) * IEM Season Ⅸ - San Jose 8강 (VS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0:3) == 상세 == [[2009년]] [[3월 24일]]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9|상반기 드래프트]]에서 [[MBC GAME HERO]]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공식적으로 은퇴가 공시되지는 않았지만 [[2009년]] [[9월]] 이후로 개인리그 예선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드림리그#s-2|2군 평가전]] 경기를 포함해서 단 한 경기도 나오지 않았으며, [[2010년]] [[8월]]에 완전히 은퇴하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시절에는 [[김동현(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1의 김동현]]과 같은 팀([[MBC GAME HERO]])에서 활동했다. [[SS501김형준 프로게이머되다]][* 방송에는 잘 나오지 않았지만, 이 프로에서 [[김형준(SS501)|김형준]]의 평가전 3차 상대로도 나왔다. 참고로 1차는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2차는 당시 준프로이던 [[황희두]].]에 나온 [[MBC GAME HERO|같은 팀]] 내에서의 명칭은 김동현1은 '''큰 동현''', 김동현2는 '''작은 동현'''(혹은 짝동)으로 불렀다고 한다. 엘리트 스쿨리그 시절 같은 학교였던 [[노준규]]와 함께 원미고 대표로 출전해 우승을 차지한 이력이 있다.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93599&db=news|기사]] [[스타크래프트 2]]에서 초반에는 별다른 활약을 못보이다가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64강에서 [[김상철(e스포츠)|김상철]]과의 경기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1경기에서 금속 도시에서는 테란이 황금멀티까지 가져간 불리한 상황에서 근성으로 버티다가, 테란이 [[전투순양함]]을 뽑으며 여유를 부리자, 그 때까지 모은 자원으로 [[무리 군주]]를 모아 한방에 테란 본진을 날리며 역전승을 받아낸다. 이어지는 2경기 [[벨시르 해안]]에서는 초반 테란 벙커링으로 앞마당이 날라가는 불리한 상황에서 끊임없는 견제로 엘리전 상황으로 몰고간다. 테란은 황금멀티에 [[행성 요새]]와 앞마당 지역의 [[궤도 사령부]]가 있었고, 김동현은 본진에 [[부화장]] 하나 남은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근성을 보이며 새로운 멀티를 하나 가져가더니, 테란의 공격을 꾸역꾸역 막으며 황금멀티까지 손에 넣기에 이른다. 이어 병력끼리의 교전에서 대승을 거두며 두 번의 연이은 역전승으로 스타2판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알렸다. 32강에서는 ~~[[박대만]]버프를 받은 아노녹~~ [[안홍욱]]까지 2:0으로 격파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승자 인터뷰가 같은 엠겜 시절 동기였던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과 16강에서 만나고 싶다고 했다. 그런데 인터뷰가 아직 익숙치 않은지 말도 제대로 못하고 버벅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각종 대회에서 참 애매한 성적을 거둬주고 있다. 보면 못하는 건 아닌데, 포텐이 못 터져주는 느낌. 그래도 스타2 초창기부터 2년여 가까이 끈질기게 게임을 놓지 않는 집념만큼은 인정해 줄 법하다. 한가지 더 인정해 줄 게 있다면 얼굴. 정말 잘생긴 선수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미남 게이머인 [[송현덕]]이나 [[문성원]]처럼 스포트라이트를 못 받는 것은 성적이 따라주지 않아서. [[2012년]] [[11월 13일]] [[TSL]] 탈퇴를 선언하고 해외대회를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발표한다.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category=13438&id=1373073|#]] [[2012년]] [[12월 11일]] [[Evil Geniuses]]에 입단했다.[[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category=13438&id=1387716|#]] [[2013년]] [[6월 3일]], WCS America SEASON 1에서 송현덕에게 2:4로 역전패하여 준우승에 그친다. 하지만, 이는 그의 커리어에서도 꽤나 의미있는 커리어에 해당하며, 첫 두 경기까지는 확실히 우승이 가까워지는 듯 했기때문에 조금은 아쉬운 경우이다. [[2013년]] [[7월 28일]], IEM VIII Shanghai에서 동료인 김학수에 4:0으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한다. 자신 이외에는 모두 프로토스 유저였다는 것이 흥미로운 부분이다. [[2013년]] [[10월]] 현재 WCS America의 챌린지리그를 기권하고 Group Stage를 기다리고 있는데, 여기에서 통과하게 되면 [[요한 루세시]]와 점수가 동일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2위로 통과함으로써 이쪽이 순위상으로는 16위권 안에 들게 되었다.[* 티어 1 비적용시 이쪽이 더 점수가 높음.] 하지만 당락이 결정되는 '''특별 룰'''에 해당되는 관계로 리저브 매치의 형식으로 [[요한 루세시]]와 5전 3선승의 대결을 하게 된다. 하지만 0:3으로 패배하면서 [[2013 WCS Global Finals]] 진출에 실패했다. [[2013년]] [[12월 10일]], [[Evil Geniuses]]를 탈퇴했음을 밝혔다. 당분간 [[무소속]]으로 뛰면서 해외팀을 알아보았다. [[2014년]] [[3월 5일]],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선수의 스폰서로 이름이 알려진 '''CMStorm'''으로, 개인후원의 형태 지원이 성사되었다. 2015년 4월, 해당 스폰서의 계약이 종료된 후, GSL의 게임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후 2015년을 끝으로 군 입대를 하여 활동을 중단했다. 후임으로는 게이머에서 은퇴한 [[이영한]]이 이어받았다. 2018년 1월 1일, 개인방송에서 스타2로 복귀해 다음 시즌 GSL에 나가겠다고 밝혔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