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인페르날)] ---- ||
{{{#231f20 '''김민석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include(틀:2023 오버워치 리그/MVP 후보)]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SUPPORT)]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ewed_SeoulInfernal_2023.png|width=100%]]}}} || ||<-2> '''서울 인페르날 No.66[br]{{{+1 skewed}}}''' || ||<-2> '''{{{#1a1919 김민석 (Kim Min-seok)}}}''' || ||<|2> '''{{{#1a1919 출생}}}''' ||[[2001년]] [[1월 11일]] ([age(2001-01-11)]세) || ||[[강원도]] [[강릉시]] || || '''{{{#1a1919 ID}}}''' ||'''skewed''' [br] [[Gumayusi]] || || '''{{{#1a1919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 || '''{{{#1a1919 감도}}}''' ||800 DPI / 4|| || '''{{{#1a1919 모스트 픽}}}''' ||[[브리기테|[[파일:브리기테 초상화.png|width=30]]]] [[젠야타|[[파일:젠야타 초상화.png|width=30]]]] [[아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모이라|[[파일:모이라 초상화.png|width=30]]]] || || '''{{{#1a1919 소속 팀}}}''' ||[[파일:ggtc_logo.png|width=25]] GGTC (2019.04.01 ~ 2019.05.12) [br] '''[[OZ Gaming/오버워치|[[파일:OZ Esports.png|width=25]] OZ Gaming]]''' '''(2019.05.12 ~ 2020.12.05)'''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width=25]] LA 글래디에이터즈]]''' '''(2020.12.05 ~ 2023.01.06)''' '''[[서울 인페르날|[[파일:서울 인페르날 로고 1.svg|width=25]] 서울 인페르날]][br](2023.03.04 ~ )''' || ||<-2> [[https://twitch.tv/ow_skewed|[[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kewedOw,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인페르날]] 소속 서브 힐러. == 플레이 스타일 == 본업은 서브힐러이지만 이 선수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브리기테 플레이가 가능한 선수라는 것이다. 단순히 할 줄 아는 수준이 아닌 리그에서도 탑급에 꼽히는 브리기테 실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웅 폭이 팀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데, 바로 투 서브힐러 플레이어 기용이다. 글래디에이터즈는 탱커 조합에 오리사를 종종 기용하는데 이 때 메인 힐러로 가장 많이 기용하는 영웅은 브리기테 혹은 바티스트이다. 하지만 이 두 영웅 모두 리그 메인 힐러 선수들이 플레이하는데에 약간 고전을 겪고 있는데 글래디에이터즈의 메인힐러 [[그랜트 에스피|모스(moth)]] 역시 그러한 모습을 보였다.[* 모스는 브리기테 플레이가 미숙하다는 평가을 종종 받았다. 바티스트의 경우에는 샌프란시스코 시절 Viol2t이라는 바티스트 괴물에게 바티스트를 내어주고 젠야타를 플레이 했는데 코치 크러스티의 말로는 모스가 그것에 굉장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시즌 중반에 Twilight을 영입한 후 투섭힐이 필요할 때는 Twilight - Viol2t 체제로 갔었다.] 모스는 바티스트 브리기테보다는 루시우 메르시에 특화되어 있는 선수라 2021 시즌 당시 메타에 자주 쓰이지 않는 영웅을 사용하고 있어 출전이 줄었다. 결국 이 당시 글래디에이터즈는[[김진서(프로게이머) |슈(shu)]]&스큐드(Skewed)라는 투 서브힐러 조합을 내세우는데 이는 전술적으로나 개인 플레이로 보나 완벽한 힐러 조합이 되었고 글래디에이터즈의 강력한 힐러 라인으로 자리 잡았다. 일단 2021시즌 글래디에이터즈가 상당히 많이 썼던 힐탱 조합은 브리기테 바티스트 혹은 바티스트 젠야타의 투방 혹은 오리사 디바 조합이었다.[* 물론 여기에 윈스턴 자리야 혹은 윈스턴 디바도 상당히 많이 기용하였고, 시즌 말미로 갈수록 볼 디바 조합도 자주 썼다.] 이 상황에서 브리기테가 포킹 조합 혹은 투방 조합을 만났을 때 붕 뜰 가능성이 높아 바로 바티스트 젠야타로 바꾸는 전술을 주로 사용했는데 문제는 리스폰이 꼬이거나 궁극기 게이지가 어느정도 차 있을때 메인힐러 브리기테를 맡았던 선수가 젠야타를 해야 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경기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슈와 스큐드 듀오는 둘 다 서브힐러 선수이기 때문에 브리기테를 맡은 스큐드가 바로 젠야타로 영웅을 바꾸어도 플레이하는데에 전혀 문제가 없을 뿐더러 슈가 궁극기 게이지나 리스폰 걱정할 필요 없이 바티스트를 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전술의 가장 큰 장점이었다. 실제로 브리기테, 젠야타, 바티스트, 아나뿐만 아니라 메르시도 간간히 기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메인 힐러 자리에서 모스를 완전히 밀어내고 주전으로 도약했다. 그리고 브리기테 플레이도 리그 탑급의 모습을 보여주며 슈와 함께 북미 리그에서 최고의 힐러 조합으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전술은 단순히 글래디에이터즈 내부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샌프란시스코 쇼크는 야심차게 영입했던 FDGod이 브리기테 플레이에 미숙함을 보이자 과감하게 영웅폭이 넓은 Viol2t에게 메인힐러를 맡기고 Twilight을 서브힐러로 기용했으며, 2022시즌 스토브 리그에서는 아예 메인 힐러 없이 투섭힐로만 로스터를 채운 팀이 [[뉴욕 엑셀시어]][* [[서상민|Myunb0ng]]&[[강남진(프로게이머)|GangNamJin]]. 그러나 뉴욕은 정작 루시우 메타가 찾아오자 매인 힐러에 익숙치 않은 강남진을 루시우로 기용하다가 면봉이 상대 돌진에 폭사당하는 대참사가 자주 나오며 결국 힐러 라인의 붕괴와 함께 팀 역시 최하위권으로 추락하고 만다. 결국 뉴욕은 면봉을 방출하고 [[전호원|호원]]과 [[안순재]]를 데려온다.], [[휴스턴 아웃로즈]][* [[김승현(2000)|ir1s]]&[[문정원(프로게이머)|Lastro]]], [[샌프란시스코 쇼크]][* [[박민기(프로게이머)|Viol2t]]&[[오세진(프로게이머)|FiNN]]] 세 팀이며, 서브힐러가 둘 존재하는 팀은 [[워싱턴 저스티스]][* [[정영훈(프로게이머)|Krillin]]&[[김준(2004)|vigilante]]. 메인힐러 [[안기범|OPENER]]. 다만 vigilante는 나이제한으로 7월 1일부터 출전 가능], [[보스턴 업라이징]][* [[윌리엄 에르난데스|Crimzo]]&[[이정호(프로게이머)|MCD]]. 메인힐러 [[김홍규(프로게이머)|Faith]]], [[상하이 드래곤즈]][* [[김민철(2000)|IZaYaKI]]&[[윤희창|BEBE]]. 메인힐러 [[이재곤(프로게이머)|LeeJaeGon]]. 다만 LeeJaeGon이 리그 최상급 브리기테에 바티스트 실력도 준수해서 투섭힐 대비보다는 백업 멤버의 느낌이 강하다.], [[밴쿠버 타이탄즈]][* [[로버트 룹사|Skairipa]]&[[박정수(프로게이머)|Aztac]]. 메인힐러 [[페트야 칸타넨|Masaa]]], [[플로리다 메이헴]][* [[마제드 알래쉬드|SirMajed]]&[[박영서(프로게이머)|KariV]]→[[루폴 자만|Rupal]]. 메인힐러 [[정태성(프로게이머)|Anamo]]]으로 총 9팀이 투 서브힐러 조합을 완성시켜 글래디에이터즈처럼 다음 시즌에 유연한 힐러 조합에 대한 준비를 미리 했다. 이처럼 단순히 영웅폭이 넓은 서브힐러를 넘어서 리그의 힐러 조합에 대한 선수 기용의 판도를 바꾼 시발점이 된 선수다.[* 그러나 여기서 재미있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오버워치 2의 뚜껑을 열어보니 투 서브힐러 메타는 커녕 오히려 관짝에 있었던 루시우가 갑자기 부활하면서 루시우&아나 조합이 주류가 되어버렸다. 현재 투 서브힐러 혹은 브리기테 메타를 대비한 팀들은(특히 서브힐러로만 로스터를 꾸린 뉴욕, 휴스턴, 쇼크) 전문적인 루시우 플레이어 없이 시즌을 진행했다. --다만 뉴욕빼고 성적이 다 준수한게 함정-- 일단 킥오프 클래시 진행 이후 아나와 솔저가 너프되고 소전 등이 상향되면서 메타가 바뀜에 따라 투섭힐도 간간히 튀어나오기 때문에 투섭힐이 아주 틀린 선택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이후 2023년 3월 4일, [[서울 인페르날]]에 이적했다는 소식이 밝혀졌다. 입단 후에 본 포지션인 서브힐러에서는 어떤 폼을 보여줄까 하는 팬들의 기대감이 매우 컸다. 그리고 그 기대에 부응하듯 동부 스프링 스테이지 퀄리파이어에서 인페르날의 4연승에 기여했는데, 그 중 무려 3번의 POTM에 선정되었다. 현재까지도 동부 최상급 서브 힐러의 폼을 보여주며 자신의 가치를 올리고 있다.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21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2021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 서부 ]] 우승''' || || ''출범''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5>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우승''' || || [[서울다이너스티]][br]'''LA 글래디에이터즈'''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상하이 드래곤즈]][br][[댈러스 퓨얼]]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코리아컵 11월]] 준우승''' || || [[Gen.G Esports/오버워치/연습생|Gen.A]] || → || '''GEEKSTAR''' || → || LFT MOIM || == 장비 == |||||||| '''마우스 설정'''[br]'''(Mouse Settings)''' || || '''마우스''' || '''eDPI''' || '''DPI''' || '''감도''' || || '''Logitech G403 hero''' || '''3200''' || 800 || 4.00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6일}}} [*수정일 [dday(2023-08-26)]일 지남.] || |||| '''장비'''[br]'''(Hardware)''' || ||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 Logitech G403 hero ''' || '''Zowie G-sr''' || || '''모니터''' || '''주사율''' || || '''ASUS ROG SWIFT XG248Q''' || 240hz || || '''키보드''' || '''헤드셋''' || || '''Realforce R2TL''' || '''EPOS Sennheiser GSP600'''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6일}}} [*수정일 [dday(2023-08-26)]일 지남.] || == 여담 ==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2001년 출생]][[분류:강릉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