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민성(동명이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김민성의 2023년 시즌, rd1=김민성/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LG 트윈스/간략(내야수))] ---- || '''{{{#fff 김민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김민성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Champion_LG.pn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한국시리즈|{{{#ffffff 2023}}}]]''' || ---- ||
[[파일:2014 인천 아시안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14 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d4af37 금메달}}}''' || || '''[[류중일호/2014년|{{{#fff 2014}}}]]''' || ---- ||<-2>
{{{#fff 보유 기록}}} || || 개인 한 경기 최다 아웃카운트 || '''9아웃'''[* 2016년 6월 25일 잠실 LG전에서 뜬공–[[병살]]–[[삼중살]]–땅볼–[[병살]]로 기록. 김민성 혼자서 3이닝(…)을 책임지는 동안 팀은 연장 10회 승부 끝에 8–6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서는 '''투수''' [[김택형]]이 대타로 나와 볼넷으로 출루하는 명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주장)] ---- [include(틀:LG 트윈스 주장)] }}} || ---- || '''{{{#fff 김민성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4번}}}''' || || 박상흠[br](2006) || {{{+1 →}}} || '''{{{#fff 김민성[br](2007)}}}''' || {{{+1 →}}} || [[김이슬(야구선수)|김이슬]][br](2008~200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0번}}}''' || || [[문규현]][br](2007) || {{{+1 →}}} || '''{{{#fff 김민성[br](2008)}}}''' || {{{+1 →}}} || [[양종민]][br](200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이원석(1986)|이원석]][br](2008) || {{{+1 →}}} || '''{{{#fff 김민성[br](2009~2010.7.19.)}}}''' || {{{+1 →}}} || [[황재균]][br](2010.7.20.~2010) || ||<-5> '''{{{#fff [[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3번}}}''' || || [[황재균]][br](2008~2010.7.19.) || {{{+1 →}}} || '''{{{#fff 김민성[br](2010. 7.20.~2018)}}}''' || {{{+1 →}}} || [[김혜성]][br](2019.4.1.~)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25번}}}''' || || [[김재민(야구선수)|김재민]][br](2018) || {{{+1 →}}} || '''{{{#fff 김민성[br](2019)}}}''' || {{{+1 →}}} || [[구본혁]][br](2020)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16번}}}''' || || [[김재율]][br](2019) || {{{+1 →}}} || '''{{{#fff 김민성[br](2020~)}}}'''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류중일호/2014 아시안 게임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민성 프로필 LG.png|width=100%]]}}} || ||<-2> '''LG 트윈스 No.16''' || ||<-2> '''{{{+2 김민성}}}[br]金珉成 | Kim Min-Sung''' || ||<|2> '''출생''' ||[[1988년]] [[12월 17일]] ([age(1988-12-17)]세) ||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 스톡킹에서 김민성과 허도환 동시 출연분에 대해 본인입에서 강동에 삼익1차아파트를 언급한적이 있다. [[https://youtu.be/eNa8mXEnZJE|링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고명초등학교|고명초]] - [[잠신중학교|잠신중]]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정보고]] - ([[영남사이버대학교|영남사이버대]]) || || '''신체''' ||181cm, 94kg ||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내야 유틸리티]]'''^^('''[[3루수]]''', '''[[2루수]]''')^^[* 주로 3루수로 출전하며 내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2022년 후반에는 2루수로, 2023년에는 시즌 초반 오지환의 부상으로 인해 주전 유격수로 출장하다가 오지환의 복귀 후에는 내야 전 포지션을 돌고 있다. 그 결과 2023년 단일시즌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에서 모두 100 수비이닝을 기록한 최초의 야수가 되었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s-3.2|2007년 2차 2라운드]] (전체 13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07~2010)[br]'''[[넥센 히어로즈]] (2010~2018)''' [br]'''[[LG 트윈스]] (2019~)''' || || '''병역''' ||[[예술체육요원]][br]{{{-2 ([[류중일호/2014년|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ffa500 '''금메달'''}}})}}} || || '''연봉''' ||1억 8,000만원 (동결, 2023년) || ||<|2> '''등장곡''' ||[[블락비]] - 《난리나》[* 넥센 히어로즈 시절부터 쓴 등장곡으로 2023년 정규시즌 말에 다시 이 곡을 사용하고 있다.]|| ||{{{#gray,#ffffff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마마무]] - 《[[딩가딩가 (Dingga)]]》 [[리쌍]] - 《Yes OK》 }}}}}}}}}|| ||<|2> '''응원가''' ||구단 자작곡 (2019~)[* 무적LG 승리를 위해~ 날려버려 날려버려 김민성~ X3 무적LG 승리를 위해~][* 응원단장이 외주를 준 응원가며 원래 가사는 '''날려버려 날려버려 김민성 x2 무적LG 승리를 위해 x2 날려버려 날려버려 김민성x3 무적LG 승리를 위해'''였지만 평이 워낙 최악이어서 순서 변경을 했고 떼창도 잘 이루어지면서 나름 괜찮은 응원가가 되었다.][* [[정형돈]] - 이러고 있다'를 원곡으로 하는 [[강동우]]의 한화 시절 응원가와 느낌이 비슷하다.]|| ||{{{#gray,#ffffff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롯데 자이언츠 시절'''[br][[라이온 킹]] [[OST]] - 《[[The Lion Sleeps Tonight]]》 [* 오~오~오~오~오~오~ 롯데 김민성~x2 안타치고~도루하고~도루하고~안타치고~x2][br]'''넥센 히어로즈 시절'''[br]노라조 - 《사랑가》 (2010~2013)[* 김민성! 김민성! 오~ 오~ 히어로즈 김민성! X2][br][[ABBA]] - 《Waterloo》 (2014~2016)[* 김민성 안타 안타 날려줘요 김민성 (김! 민! 성!) 김민성 안타 안타 날려줘요 김민성 오~ (X2)][* 저작인격권 사태로 인하여 2017년부터 폐기.][br][[크라잉 넛]] - 《여름》 (2017~2018)[* 김민성 안타 날려라 안타 김민성 홈런 날려라 홈런 우리의 영웅 넥센의 김민성 워어 승리를 위해 X2 김민성! X4][br] }}}}}}}}}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내]] 박다은^^(2015년 12월 12일 결혼)^^ [br] 딸 김다미^^(2017년생)^^ || || '''종교''' ||[[기독교]] ([[개신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잊고있었던 김민성의 존재감! 김민성이 뛰던 팀이 KBO리그의 강팀이었습니다! >---- >SPOTV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캐스터[* 그가 뛰었던 롯데-히어로즈-LG가 우승도 못했는데 강팀이 맞냐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포스트시즌은 꾸준히 나가는 강팀들이었다. 김민성이 데뷔하고 2년 후, 롯데는 지긋지긋한 [[8888577]]를 끊어내고 그 후 3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히어로즈는 김민성이 뛰던 9시즌 동안에 [[2014년 한국시리즈|1번의 준우승]] 포함 5번의 포스트시즌에 진출을 성공하였고, LG는 김민성 입단 후 2019년~2022년 통산 팀 승률합계 1위를 달리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LG가 '''29년만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해내며 엔트리에 승선한 김민성과 LG 모두 부끄럽지 않은 멘트가 되었다.] [[LG 트윈스]] 소속 내야수. 포지션은 3루수, 2루수, 1루수, 유격수 모두 소화하는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이다. 2018년 시즌 이후 FA 선언을 하였고 2019년 3월 4일 [[LG 트윈스]]와 [[키움 히어로즈]]간의 사인&트레이드 방식으로 [[LG 트윈스]]로 이적하였다. == [[김민성/선수 경력|선수 경력]] == ||
{{{#fff '''김민성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김민성/선수 경력]]'''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58220 20%, #820024 25%, 75%, #c30452 80%)"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김민성/선수 경력#s-2|'''{{{#000 롯데 시절}}}''']] || [[김민성/선수 경력#s-2.1|'''{{{#FFFFFF 2011년}}}''']] || [[김민성/선수 경력#s-2.2|'''{{{#FFFFFF 2012년}}}''']] || [[김민성/선수 경력#s-2.3/|'''{{{#FFFFFF 2013년}}}''']] || || [[김민성/선수 경력/2014년|'''{{{#FFFFFF 2014년}}}''']] || [[김민성/선수 경력/2015년|'''{{{#FFFFFF 2015년}}}''']] || [[김민성/선수 경력/2016년|'''{{{#FFFFFF 2016년}}}''']] || [[김민성/선수 경력/2017년|'''{{{#FFFFFF 2017년}}}''']] || || [[김민성/선수 경력#s-2.8|'''{{{#FFFFFF 2018년}}}''']] || [[김민성/선수 경력/2019년|'''{{{#FFFFFF 2019년}}}''']] || [[김민성/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김민성/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 [[김민성/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김민성/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 || == [[김민성/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민성/플레이 스타일)] 김민성의 야구 인생은 웨이트 트레이닝 전과 후로 나눌 수 있다. == 기타 == * [[샤다라빠]]가 연재하는 '[[꼴데툰]]'에서 김민성 선수를 [[원숭이]]로 주로 묘사해, '''우끼'''가 되어버렸다. 김우끼, 우끼끼 등의 [[http://lezhin.com/356|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샤다라빠 본인은 특징을 그리기 쉬운 선수라서 많이 그린다고. 이적 후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넥센 히어로즈 갤러리]]에선 어느 롯데팬이 '우끼'는 롯데팬의 별명이니 쓰지 말라는 주문이 떨어진 후 생긴 별명이 '김민성씨 발느린분'[* 보통 이 두 별명을 띄어쓰기 없이 이어서 쓰는데 그렇게 되면 [[씨발|발음은]]…]그래도 2013시즌 좋은 활약을 해주면서 거의 안쓰이고 있…긴 하지만 가끔씩 별명의 이유를 알려주는 발느린 플레이가 나온다. 2011년에 나름의 노력을 보여준 후에는 원숭이라는 의미와 현재 소속 팀이름을 동시에 살려 '넥숭이', 혹은 좀 더 평범하게 그냥 '민숭이'라고 부른다. 2013시즌부터 [[손오공]], 오공신 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하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은 위의 우끼다. 사실 선수의 별명이 그 팀 팬만 쓸 수 있는 거라는 게 말이 안 되기도 하고. LG로 오고나서는 쥐끼라고도 불린다. 잘하면 우리끼 킹끼 갓끼지만 병살치면 어김없이 X끼가 된다. * 상기했듯 타석 대비 [[몸에 맞는 공]] 숫자가 다른 타자들에 비해 많은 편인데 본인이 투지가 강해 웬만해선 공을 맞으며 출루하려는 경향이 있다보니 생기는 현상이다. 덕분에 '몸에 자석이 달린거냐' 같은 드립이 흥하면서 '마그넷숭' 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 나름 멀끔한 외모 덕분에 롯데의 [[빅뱅|BIGBANG]] 소리를 들었었다…. 사실 극 초창기에는 챔피언 나이트 목격설이 들리면서 욕을 무척이나 많이 먹었었다. 부각되진 않지만 벌크업 후에도 잘생겼다고 하기에는 애매해도 못생긴 외모는 아니긴 하다. * 2013년 대활약을 펼치며 '갓민성' '갓우끼' '갓숭이' 등에 이어 원숭이에서 진화하여 '손오공' '갓오공'등으로 불리는 중이다. * 2014년 초 부진의 원인이 밝혀지면서 [[치질]]과 우끼를 합친 '치끼'라는 별명이 생겼다. 그밖에 벌크업을 하는 과정에서 얼굴이 후덕해지는 바람에 '얼포남'(얼굴을 포기한 남자)[* 얼굴을 포기했다해서 엄청 못생겨진 얼굴은 아니고 과거에 비해 포동포동해졌다.], 위의 질병으로 인한 '엉포남'(엉덩이를 포기한 남자)등의 별명도 있다. * 2014년 8월 18일 은사인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정윤진]] 감독의 인터뷰가 실렸는데 김민성의 트레이드 당시 [[이장석]]이 매우 주목하고 있으며 2~3년 안에 연봉 2억을 받을 거라는 덕담을 해주었다고 한다. 물론 당시엔 거짓말이었는데, 그후 세월이 흘러 2014년 김민성의 연봉은 1억 8천만원, 2015년 연봉은 딱 2억원. 정감독의 선의의 거짓말이 빛을 발했다며 팬들은 놀라고 고마워했다. [[http://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0557173|기사]] * 혀갤에서 인기 있었던 짤방이다. 따지는 듯한 김민성의 표정과 뒤에서 야리는 [[박병호]]가 어우러져 마법의 짤로 온갖 곳에 응용되었다. 현재는 사진에 나온 모두가 팀을 떠났다. ex) ??? : 형 아직도 안 갔어요?[br] [[파일:IUmAE0a.jpg]] * 놀랍게도 50명의 선수가 뽑은 미남 순위 4위에 랭크되었다!!! [[https://www.facebook.com/sportkh/photos/pcb.867582243313967/867581663314025/?type=1&theater|스포츠경향 페이스북]] [br] [[파일:Q8XsrwS.jpg]] 과거에 미남이었던 것이 이런 결과로 이어지게 영향을 준 듯 하다. * 혀갤러들이 뽑는 차기 주장감 1순위. 가뜩이나 어린 선수들이 많아 목소리를 크게 내기 힘든 팀 특성 상 팀원이 요상한 일을 당했을 때 보이는 다양한 표정들이 차기주장감 할 만하다며 사랑(?)받는 중이다. 실제로 2006년 고3때 [[덕수고등학교 야구부]]시절 [[주장]]을 맡은 적이 있다고 한다. 하다못해 서건창이 없을때도 세살 위의 윤석민이 있어서 임시주장도 못맡았다. 그래도 결국 서건창의 공백이 길어지자 2018년부터 주장의 중책을 맡게 됐다. * 파도파도 미담만 나오는 선수다. 특히 후배들이 유독 많이 언급한다. 넥센의 어린 선수들에게 어떤 선배가 잘 챙겨주냐고 물으면 거의 빠지지 않고 들어있을 정도. 김민성을 언급한 선수만 해도 [[송성문]], [[김하성]], [[임병욱]], [[허정협]] 등 상당히 많다. 본인도 인터뷰에서 남을 챙겨주는 걸 좋아한다고 밝혔다. 이런 성격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듯 하다. * 그래서인지 혀갤에 후배들이 김민성을 언급한 인터뷰를 모아놓은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http://gall.dcinside.com/sh/6772003]] * 남양주 유소년 야구단에서 레슨을 해주는 등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11150100188040011635&servicedate=20141114|봉사활동을 한다고 한다.]] [youtube(4IhoU_10MSA)] * 2016년 [[한국야구위원회|KBO]]의 사회공헌사업으로 [[대한적십자사]]와 손을 잡고 구단별로 적십자사 홍보대사를 뽑았는데 넥센에서는 김민성이 뽑혔다. * [[고종욱]]과 상당히 절친한 사이다. 과거 영상을 보면 고종욱을 [[채태인]]과 함께 놀리고 있기도. 고종욱은 김민성을 남자로서 매력적이고 책 같은 남자라고 칭찬했다. 김민성도 고종욱에게 원하는거 있으면 다해주는 착한 성격이며 천재과라고 칭찬했다. 같은 동갑인 [[김대우(1988)|김대우]]와 야구 이야기를 많이 한다.[* 고종욱은 빠른 89년생으로 88년생들과 동기이다.] * 2017년 5월 말에 득녀했다고 한다. * [[LG 트윈스]]로 이적할 때 인터뷰에서 어릴 때 LG의 팬이었는데 이렇게 LG의 일원으로 뛰게 되어서 영광이라고 밝혔다. 성공한 덕후인셈이다. * 유독 [[LG 트윈스]]와 인연이 많다. 일단 어릴때부터 LG 팬이었고 [[넥센 히어로즈]]에 있을 당시에 한경기 최다 아웃카운트 신기록, KBO 포스트시즌 최다 타점 신기록을 세운 상대팀이 바로 [[LG 트윈스]]이다. 2018 시즌 종료 후 FA계약을 맺은뒤 싸인 앤 트레이드[* +현금 5억원]으로 이적한 팀이 [[LG 트윈스]]이다. 현 소속팀도 [[LG 트윈스]]이다. 첫 우승 역시 [[LG 트윈스]]에서 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키움 히어로즈/선수단]] * [[LG 트윈스/선수단]] [각주] [[분류: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