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mminwoo.jpg|width=100%]]}}} || ||<-2> '''모아이 GYM''' || ||<-2> '''{{{#000 {{{+2 김민우}}}[br]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코리안 모아이}}}}}} | Kim Min-Woo}}}''' || || '''출생''' ||[[1993년]] [[7월 21일]] ([age(1993-07-21)]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 ||'''키''' 177cm, '''체중''' 61kg || ||'''리치''' 183cm || ||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tapology.com/fightcenter/fighters/25765-min-woo-kim| 13전 11승 2패]] || || '''승''' ||{{{-1 3 KO, 3 SUB, 5 판정}}} || || '''패''' ||{{{-1 2 판정}}} || || '''스타일''' ||쿠라쉬 || || '''등장곡''' ||TJR - Ode To Oi || || '''주요 타이틀''' || '''【 [[Road FC]] 5대 밴텀급 챔피언 】''' [br] '''【 [[블랙컴뱃]] 페더급 국가대표 】''' [br] '''【 [[주짓수]] 블랙벨트 】''' || || ''' SNS ''' ||[[https://www.instagram.com/korean_moai/|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쿠라쉬]]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 [[Road FC]] 밴텀급 챔피언, [[블랙컴뱃]] 딥 대항전에도 페더급 대표로 참전하는 등 국내 밴텀-페더에서 탑급 기량을 보여주는 선수다. UFC 입성이 기대되는 수준의 기량을 갖추었다고 평가받는, 국내 최상위 수준 기량을 갖춘 선수중 한명. == 파이팅 스타일 == 국내에서 보기 드문 수준의 웰라운드한 기량을 갖춘 선수로 그라운드 능력, 타격 능력 모두 출중하여 두 부분에서 모두 국내 탑급 기량을 보여준다. 게다가 밴텀급에서 굉장히 크고 페더에서도 먹히는 피지컬, 리치를 갖추고 있어서 상당히 이점으로 작용한다. 그라운드의 경우 국내 최연소 블랙벨트 수여자였던만큼 굉장히 우수하다. 얼마나 출중하면 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마저 경기를 보고 정말 인상적인 기량이라며 UFC 수준의 그라운드라고 칭찬했다. [[타격]]에서는 [[무에타이]] 느낌이 묻어나오는 스타일의 공격이 보인다. 정석적으로 가드를 두텁게 올리고 파워 잽, 앞손 훅, 카프 킥 등을 통해 거리 싸움을 하고 묵직한 공격을 먹이는 것이 주 전략이다. 주 특기인 로우킥, 카프킥은 특히나 상당히 강력한 듯하다. 또한 긴 리치를 이용한 빠르고 강한 벽돌같은 잽은 김민우의 시그니처 기술 중 하나이다. == 커리어 == [[쿠라쉬]] 베이스의 선수로 사촌형인 샤밀 자브로프의 세컨으로 ROAD FC 052 대회에 참석했던 [[UFC]] 라이트급 챔피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가 ROAD FC 밴텀급 챔피언에 오른 김민우를 이 대회에서 가장 인상깊은 선수였다고 말하며, 김민우의 그라운드 스킬은 UFC 레벨이라고 평했다. 2018년에 [[주짓수]] 블랙벨트로 승급하였다. 2022년 6월 9일 Road to UFC에서 중국인 파이터 샤오 롱과 맞붙을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인하여 상대 선수가 빠졌고 대체 선수를 구하지 못하여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올라갔다. 하지만 Road to [[UFC]] 준결승에서 계체량에 실패하여 탈락하였다. 결국 한 경기도 못 뛰고 허무하게 [[탈락]]했다. 2023년 2월 4일 블랙컴뱃 05 대회에서 페더급으로 한 체급 상향했고 Deep 2001의 전 라이트급 챔피언 나카무라 다이스케와 맞붙어 3라운드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서브미션 승을 거두었다. === 주요 전적 === * 주요 승리: 이동진, 송창현, 사토 쇼코, [[문제훈]](2회), 네즈 유타, [[장익환]], 나카무라 다이스케 * 주요 패배: [[문제훈]], [[김수철(종합격투기)|김수철]] == 여담 == 친[[형제]]도 격투기 [[선수]]다 [[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9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