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3년 출생]][[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한국계 미국인]] ||<-2> '''{{{+2 김병주}}}[br]金秉奏 | Michael ByungJu Ki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BK 김병주.jpg|width=100%]]}}} || ||<|2> '''출생''' ||[[1963년]] [[10월 8일]] ([age(1963-10-08)]세) ||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기업인]] || || '''현직''' ||[[MBK파트너스]] {{{-2 (CEO / 2005년~ )}}}[br]MBK장학재단 {{{-2 (이사장 / 2007년~ )}}} || || '''경력''' ||[[골드만삭스]] [[미국]] [[뉴욕]] 본사[br][[골드만삭스]] [[홍콩]] 지사[br]살로만스미스바니[br]칼라일 그룹 || || '''학력''' ||해버퍼드 칼리지 {{{-2 (영문학)}}}[br][[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2 (MBA)}}}[br][[파슨스 디자인 스쿨]] || || '''배우자''' ||박경아[* [[포스코]] 초대 회장 [[박태준]]의 4녀.] || || '''자녀''' ||2명 || || '''재산''' ||96억 달러[* [[포브스(기업)|포브스]] 기준. 2021년 기준으로 [[MBK파트너스]] 지분 20.24%를 보유하고 있다.[[https://www.forbes.com/profile/michael-kim/?sh=15c6d046764e|#]]] {{{-2 (2023년 10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병주는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회장이자 장학 재단인 MBK장학재단의 이사장이다. == 생애 == [[1963년]] [[10월 8일]] [[경상남도]] [[진해시]][* 현 [[창원시]] [[진해구]]]에서 출생하였으며, 10대 시절에 홀로 [[미국]] 유학을 떠나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영문과를 전공한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이후 [[미국]] [[파슨스디자인스쿨]]에서 공부하던 중 [[포스코]]의 초대회장 [[박태준]]의 넷째 딸 박경아와 만나 결혼했다. 결혼 후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입사하여 [[미국]] [[뉴욕]] 본사와 [[홍콩]] 지사에서 근무하다 살로만스미스바니로 직장을 옮겼고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40억 달러 규모의 외평채 발행작업에 참여했다. [[1999년]], 세계적인 [[사모펀드]] 운용사인 칼라일 그룹에 입사해 한국 사무소 대표로 일하다 [[2000년]] [[한미은행]] 인수를 주도하면서 4년 뒤에 한미은행을 매각하여 7천억 원대 차익을 거두어 사모펀드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5년]] 3월, 칼라일 그룹에서 나와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를 설립한 뒤 [[대우정밀]]을 시작으로 수많은 인수입찰에 참여했고 굵직한 인수전에서 성과를 거뒀다. 이때 'MBK'의 뜻은 김병주의 영어 이름 'Michael ByungJu Kim'의 약자이다. [[2007년]], 장학 재단 MBK장학재단을 설립하였다. [[2020년]] 3월에는 라는 제목의 소설을 내며 작가로도 이름을 올렸다. [[2021년]]과 [[2022년]]에는 미국 경제지 [[포브스(기업)|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의 대표 자선가로 뽑히기도 했다. [[2022년]], 포브스 한국인 재산 순위에서 3위, 77억 달러(9조 570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대비 대폭 상승한 순위인데, 77억 달러 기업가치를 평가받은 MBK의 최대주주는 김병주 회장이 아닌 윤종하 부회장과 김광일 대표이기 때문에 해당 인덱스에서는 김병주 회장이 운용보수, 성과급으로 수령하는 금액, 본인의 펀드에 GP로 투자한 금액을 대거 반영시킨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김병주 회장은 현재 미국 국적자이지만 한국에 거주하고 있어 [[포브스(기업)|포브스]]에서 [[한국인]] 순위에 편입했다.[* [[쿠팡]]의 오너인 [[김범석(기업인)|김범석]] 역시 [[미국인]]이지만 포브스에서는 한국 부자 순위에 편입시켰다.] [[지주회사]]를 기반으로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는 [[재벌]] 그룹 총수들보다 영향력이 적다고 평가받긴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의 재산이 산하 계열사들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처분을 하지 못한다.[* 내부경영진은 한 주라도 팔면 공시를 해야 한다. 또한 대주주가 주식을 청산하기 시작한다면 주가가 당연히 하락하게 된다. 팔면 팔수록 하락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결국 실질적인 현금은 현재의 평가액에 한참 못 미치게 쥐게 될 것이다. 이 것은 대다수의 부호 리스트에 오른 사람들에게 공통되는 사항. 다만, 이러한 인덱스는 유가증권 공시 자료를 위주로 평가하기 때문에 부동산과 비상장기업 등 정보공개가 폐쇄적이며 가치감정이 힘든 자산군은 정확한 액수를 파악하기 힘들다.] [[2023년]]에는 [[포브스(기업)|포브스]] 한국 자산가 순위에서 자산 97억 달러로 80억 달러를 기록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