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북도|{{{#cfa547 경상북도}}}]] [[고령군|{{{#cfa547 고령군}}}]])'''}}} || ||<:>''제헌 헌법 공포''||<:>→||<:>'''초대[br]김상덕'''||<:>→||<:>제2대[br][[곽태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상덕}}}'''[br]'''金尙德[* 金'''{{{+1 商}}}'''德이라고 표기한 문헌도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상덕.jpg|width=100%]]}}} || || '''이명''' ||김상철(金相徹)·김재두(金在斗) || || '''자''' ||현여(玄汝) || || '''호''' ||영주(令洲 또는 令州) || || '''본관''' ||[[경주 김씨]][* [[http://goryeong.grandculture.net/goryeong/toc/GC02900925|출처]]. 분파는 판도판서공파라 한다.] || ||<|2> '''출생''' ||[[1892년]] [[12월 10일]] || ||[[경상도]] [[고령군|고령현]] 내곡면 저전동[br](현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저전리) || ||<|2> '''사망''' ||[[1956년]] [[4월 28일]] (향년 63세) || ||[[북한]] || || '''학력''' ||고령공립보통학교 {{{-2 (중퇴)}}}[br][[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 {{{-2 (졸업)}}}[br]세이소쿠영어학교 {{{-2 (졸업)}}}[br][[와세다대학]] {{{-2 ([[정치경제학]] / 중퇴)}}} || || '''가족''' ||아들 김정륙 || || '''의원선수''' ||'''1''' || || '''의원대수''' ||'''[[제헌 국회의원|1]]''' || || '''묘소''' ||[[재북인사릉]]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전 [[정치인]]. 해방 이후에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서 [[친일반민족행위자|친일파]] 청산에 처음으로 앞장섰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상덕은 1892년 12월 10일 [[경상도]] [[고령군|고령현]] 내곡면 저전동[* 현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저전리]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김성옥(金聲玉)과 어머니 김경익(金敬益) 사이에서 5남 1녀[* 김상홍(金尙弘), 김상휘(金尙徽), 김상권(金尙權), 김덕련(金德蓮), 김상덕(金尙德), 김상학(金尙學).] 중 4남(다섯째)으로 태어났다. 5살 때 아버지의 권유로 고향 저전동 근처 내상리 소재 내산서당(乃山書堂)에 들어가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의 문하에서 19살 때까지 한학을 수학했다. 21세가 되던 1912년 4월 뒤늦게 고령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이듬해 중퇴하고 상경해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17년 3월 경신학교를 졸업한 그는 곧 [[일본]]에 유학, 세이소쿠(正則) 영어학교를 거쳐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정치경제학부]]에 입학하였다. 그러던 중 1919년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0693|최팔용]](崔八鏞)·[[백관수]]·[[김도연(1894)|김도연]] 등과 함께 조선독립청년단 대표로 [[2.8 독립 선언]]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그해 3월 21일 [[도쿄]]지방재판소에서 금고형을 선고받고 공소하였으나 2심에서 공소가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20년 3월 [[중화민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1922년 1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동방혁명대표자대회에 한국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가하였고, 1923년 2월에는 [[상하이]]에서 개최된 [[국민대표회의]]에서 개조파로서 선언서 수정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6월 국민대표회의의 폐회 선언이 이뤄지면서 결렬되자, 1924년 봄 [[길림성]] 길장도(吉長道) 반석현(磐石縣)[* 현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린시]] [[판스시]](磐石市).]으로 가 [[김동삼]] 등과 재만농민동맹(在滿農民同盟)을 조직하고 집행위원으로서 기관지 《농민보(農民報)》를 간행하였다. 이후 정의부에 참가했으나, 1928년 정의부·[[참의부]]·신민부의 통합회의가 결렬되자, 김동삼을 따라 혁신의회(革新議會)에 참여해 집행위원을 맡았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상덕(독립운동가).png|width=100%]]}}} || || 1925년 12월 15일 작성된 모 경찰부 고등형사과 수배대상 인물카드[* [[http://db.history.go.kr/id/ia_0844_0641|#]]] || 1932년 [[한국독립당]] 소속 군대인 한국독립군 참모를 거쳐, 1933년 한국독립당 중앙대회의 결정에 따라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00|신숙]](申肅)과 함께 [[난징]]에 파견되어 한중연합군을 조직하기 위해 중국 [[국민정부]]와 교섭하기도 했다. 1934년 3월에는 [[난징]]에서 [[신한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여 당무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창당에 참여하여 서기부원 및 중앙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42년 조선민족혁명당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자 같은 해 11월 [[임시의정원]] 경상도의원에 선임되었으며, 1943년 4월 임시정부에서 구성한 선전위원회 위원 15인 중 한 사람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44년 4월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에 취임하였으며, 그해 6월부터는 학무부가 문화부로 개편되면서 문화부 차장에 취임하였다. 1945년 3월에는 문화부장에 취임하여 활동하던 중 [[8.15 광복]]을 맞았다. 그해 11월 23일 제1차 임시정부귀국단으로 귀국하였고, 이후 비상국민회의 대의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총무부장, 민족통일총본부 총무부장 등을 역임하였고, 1947년부터 1948년까지는 모교인 [[경신중학교]] 교장에 취임하기도 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민족통일본부 후보로 [[경상북도]] [[고령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던 중 반민특위를 해체하려는 이승만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궁극적으로 이승만에 의해서 반민특위가 해체됐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곽태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 때 [[납북]]되어 1956년 4월 28일 별세하였다. 사후 [[재북인사릉]]에 안치되었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6월 2일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으로 뽑혔다.[* [[류성갑]], [[김옥주]], [[김준연]], [[오석주(독립운동가)|오석주]], [[윤석구]],[[신현돈(정치인)|신현돈]], [[백관수]], [[오용국]], [[최규옥]], 김명인,[[이종린(1883)|이종린]], [[이훈구(1896)|이훈구]],[[류홍렬]], [[연병호]], [[서상일]], [[조헌영]], [[김익기]], [[정도영]], 김상덕, [[이강우(독립운동가)|이강우]], [[허정]], [[구중회]], [[박해극]], [[김효석(1894)|김효석]], [[김병회]], [[홍익표(1910)|홍익표]], 서성달, [[조봉암]], [[이윤영]], [[이청천]]. ] * 1948년 10월 11일 [[반민특위]] 경상북도 조사위원으로 호선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고령군) || '''[include(틀:민족통일본부)]''' || '''13,049표 (54.50%)''' || '''당선 (1위)'''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고령군) || [include(틀:민주국민당)] || 5,733표 (22.64%) || 낙선 (3위) || || == 대중매체에서 == 1966년 영화 《[[남북천리]]》에서 배우 송일근이 연기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민주국민당)]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상덕, version=120, paragraph=1)]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민족통일본부 국회의원]][[분류:고령군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분류:1892년 출생]][[분류:1956년 사망]][[분류:납북자]][[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이달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