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 현대/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상록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d0210 0%, #eb1a31 20%, #eb1a31 80%, #7d0210)" [[상주 상무|[[파일:상주 상무 FC 엠블럼.svg|align=center&height=30]]]]{{{#ffffff '''상주 상무 코치 (2016)'''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a03 0%, #EE2E23 20%, #EE2E23 80%, #8f0a03)" [[부산 아이파크|[[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align=center&height=30]]]]{{{#ffffff '''부산 아이파크 코치 (2017)'''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064f 0%, #4f1b87 20%, #4f1b87 80%, #29064f)" [[FC 안양|[[파일:FC 안양 로고.svg|align=center&height=30]]]]{{{#ffffff '''FC 안양 코치 (2018)'''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B4333 0%, #00703C 20%, #00703C 80%, #2B4333)"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align=center&height=30]]]]{{{#ffffff '''전북 현대 모터스 스카우트 (2019~202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B4333 0%, #00703C 20%, #00703C 80%, #2B4333)"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align=center&height=30]]]][[전북 현대 모터스/2020년|{{{#ffffff '''전북 현대 모터스 2020 시즌 매니지먼트 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직책}}} || {{{#fff 이름}}} || {{{#fff 영문 이름}}} || {{{#fff 국적}}} || {{{#fff 생년월일}}} || || '''감독''' || [[주제 모라이스]] || José Morais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1965년 7월 27일 || || '''수석코치''' || [[김상식(축구)|김상식]] || Kim, Sang Si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6년 12월 17일 || || '''코치''' || [[안재석]] || Ahn, Jae Seo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7년 10월 6일 || || '''GK 코치''' || [[이광석(축구)|이광석]] || Lee, Gwang Seo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5년 3월 5일 || || '''피지컬 코치''' || [[주앙 쿤햐]] || João Pedro Cunha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1986년 4월 4일 || || '''스카우트''' || 김상록 || Kim, Sang Ro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9년 2월 25일 || || '''의무''' || 김재오 || Kim, Jae Oh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5년 5월 29일 || || '''의무''' || 김병선 || Kim, Byeong Se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8년 5월 6일 || || '''의무''' || [[지우반 올리베이라]] || Gilvan Oliveira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1981년 8월 26일 || || '''통역''' || 김민수 || Kim, Min Su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6년 6월 8일 || || '''통역/분석''' || 김규범 || Kim, Gyu Beo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 '''장비''' || 이민호 || Lee, Min H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 '''물리치료사''' || 송상현 || Song, Sang Hyu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5> '''의료자문단''' : 송하헌, 문성헌, 정몽룡, 태형진, 신준호, 백현선, 최광석, 고광재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qvuSX.jpg|width=100%]]}}} || ||<-3> {{{#white '''울산 현대 코치 '''}}} || ||<-3> '''{{{#003F98 {{{+1 김상록}}}}}}''' [br] '''{{{#003F98 {{{-2 金相綠 | Kim Sang-Rok}}}}}}''' || ||<-2><|2> '''출생''' ||[[1979년]] [[2월 25일]] ([age(1979-02-25)]세) || ||[[서울특별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조건''' ||172cm, 65kg || ||<-2> '''학력''' ||동국대부속중학교 (1991~1994)[br][[중앙고등학교]] (1994~1997)[br][[고려대학교]](1997~2001) || ||<-2> '''프로입단''' ||2001년 [[포항 스틸러스]][* 2001년 드래프트 1순위] || ||<-2> '''직업''' ||前 축구선수([[미드필더]]/^^은퇴^^)[* 리그, 281경기 32골 23도움][br]現 [[코치(스포츠)|축구코치]][br]前 [[스카우트]] || ||<|2> ''' 소속 ''' || ''' 선수 ''' ||[[포항 스틸러스]] (2001~2005) [br] [[광주 상무]] (2004~2005, 군입대) [br] [[제주 유나이티드 FC]] (2006) [br]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7~2009)''' [br] [[부산 아이파크]] (2010)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2011~2012) [br] [[부천 FC 1995]] (2013) || || ''' 감독 '''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축구부 (2014)/^^코치^^ [br] [[상주 상무]] (2016)/^^코치^^ [br] [[부산 아이파크]] (2017)/^^코치^^ [br] [[FC 안양]] (2018~2019)/^^코치^^ [br] [[전북 현대 모터스]] (2019~2020)/^^스카우트^^[br][[울산 현대]] (2021~ )/^^코치^^ || ||<-2> '''국가대표''' ||1998년 U-20 국가대표[br]2000년 시드니 올림픽대표 상비군[br]2001년 동아시아컵 국가대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이자 현 축구 코치. 현역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했다. == 경력 == === 프로 데뷔 전 === 김상록은 프로에 오기 전부터 자신의 주가를 높여 온 선수이다. [[고려대학교]] 시절에 특유의 돌파 능력과 위협적인 왼발로 각광받았고, 청소년 대표팀에서도 모습을 드러낸 바 있었다. 시드니 올림픽에 참가에는 실패했으나, 상비군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 [[포항 스틸러스]]와 입대 === [[파일:2090722609.jpg]] 2001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 지명권 중에서도 거의 첫 순위의 지명권을 얻은 포항은 재빠르게 김상록을 지명하여 그를 영입하였다. 그리고 첫 시즌부터 팀의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기대에 부응했다. 그는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50m 돌파에 이은 데뷔 골을 기록하여 이목을 집중시켰고, [[자심]]을 밀어내는 기염을 토했으며, 마침내 국가대표에도 잠시나마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시즌 중반부가 지나면서 활약세가 꺾이면서 김상록의 데뷔 시즌은 무난히 종료되었다. 그런데 김상록의 활약은 그 이후 더욱 떨어지기 시작했다. 공격진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김상록도 자신의 몫을 하지 못했고, 여기에 포지션도 주 포지션이 아닌 윙으로 이동하기도 하면서 경기력이 부침에 빠졌다. 그에 따라 출장 기회 역시 이전보다 떨어졌다. 그러자 김상록은 반전을 위해 상무 입대를 택했고, 상무에서도 초반에는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내려왔지만 제 포지션을 찾은 이후 기량을 끌어올려 2005년 5골 5도움을 기록하는 등 부활의 징조를 보여주었다. === [[제주 유나이티드 FC]] === 김상록은 전역 이후 [[고기구]]와 트레이드되어 제주로 이적했다. 그러나 이 이적은 김상록 본인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이적이었고, 이에 김상록은 큰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시즌 내내 불만은 해결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활약은 그간 보여 준 모습 중 가장 뛰어났다. 김상록은 32경기에서 6골 3도움을 기록하며 제주의 공격진을 이끄는 선수로 자리잡았지만, 끝내 제주를 떠나기로 결정했다. === [[인천 유나이티드 FC]] === [[파일:2007122621473.jpg]] > '''김상록! 김상록! 오오! [br] 너의 왼발을 보여줘! [br] 김상록!''' > ---- > 김상록 인천 시절 응원가 결국 김상록은 [[이요한(축구선수)|이요한]]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본인이 원한 수도권의 구단 인천으로 이적했다. '''그리고 이 시즌, 김상록의 포텐이 폭발하였다.''' [[장외룡]] 감독이 유학을 떠나 한 시즌을 대행으로 맡은 [[박이천]] 감독은 상당히 공격적인 전술을 사용했는데, 그 중심이 김상록 - [[데얀 다미아노비치]] - [[방승환]]의 쓰리톱이었다. 그리고 이 셋은 모두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펼쳤다. 특히 김상록은 '''10골 6도움'''을 기록, 국내 선수 중에는 [[이근호]]와 함께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했고 공격포인트를 기준으로 [[우성용]] 바로 다음이었다. 이 때의 활약에 대해 김상록 본인은 데얀과 방승환의 연계 플레이가 워낙 좋았고, [[드라간 믈라데노비치]]의 후방 지원도 좋았기 때문에 미드필더라 득점이 많지 않았던 본인이 많은 득점을 할 수 있었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2007년의 빛나는 활약에도 불구하고, 김상록은 자신의 기량을 인천에서 더 이상 온전히 펼치지 못했다. 2008 시즌을 앞두고 박이천 대행이 나가고 장외룡 감독이 돌아왔고, 데얀은 [[FC 서울]]로 이적했고, 최전방에서 합을 맞출 선수는 [[제난 라돈치치]]로 바뀌었다. 이 변화는 장외룡의 전술에서 김상록이 맞지 않는 선수라는 점으로 인해 그의 입지를 좁게 만들었고, 출장 시간도 급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했다.장외룡 감독이 J리그로 건너가고 [[일리야 페트코비치]]가 부임한 이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한 해 동안 기회가 줄어들은 김상록의 컨디션도 별로였고, 페트코비치의 전술도 장외룡과 큰 차이가 있지 않았기에 2009년에도 김상록은 팀에서 걷도는 자원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김상록은 결국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었고, 이적을 결정한다. 하지만 인천 시절 눈부신 활약으로 인해 훗날 인천 창단 역대 베스트 11를 꼽을때 항상 언급되는 선수 중 하나이다. === 선수 생활 말년 === 2010 시즌을 앞두고 김상록은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했다. 하지만 나이도 꽤 찼고, [[황선홍]]의 신뢰를 얻는 데 실패하여 시즌 내내 후보로 지내며 부산에서 실패를 맛본다. 시즌 종료 후 이번에는 내셔널리그의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에서 다시 뛰게 됐는데, 노쇠화로 인해 여기서도 두드러지는 활약을 보이지는 못했다. 김상록은 이 당시 본인의 부족함을 인정했고, 그래도 마무리를 K리그에서 하고 싶었는데 다시 돌아가기는 힘들 것 같아서 안타깝다고 이야기했다. 그런데... [[파일:2013060201000066500004661.jpg]] 2013 시즌을 앞두고 승강제가 생기면서 프로로 진출산 [[부천 FC 1995]]가 베테랑 김상록을 원했고, 프로에서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었던 김상록은 부천에 합류한다. 부천에서 김상록은 조커 자원으로 기용되었고, 득점도 한 차례 기록하는 등 나이에 비해서는 적당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체력적 한계를 느낀 그는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였다. [[2020년]] 기준, 대한민국 5부리그인 [[K5리그]] 인천권역의 [[인천 송월 FC]]에서 뛰는것이 확인되었다. == 코치 경력 == 은퇴 이후 2014년 4월에 영등포공고의 코치로 부임하였다. 2016년에 [[조진호]] 감독의 부름을 받고 [[상주 상무]]의 코치로 합류하여 상주 돌풍에 기여했고, 조진호가 [[부산 아이파크]]로 자리를 옮기면서 본인도 한 때 자신이 소속되었던 부산의 코치가 되었다. 시즌 중에 조진호 감독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은 이후, 김상록은 [[FC 안양]]으로 다시 자리를 옮겼다. 2019년 전북 현대 모터스 스카우트로 부임해 전북의 리그 2연패에 공헌하였다. 2021년 [[홍명보]] 감독의 부름을 받고 울산 현대의 코치로 부임하였고 코치 직함은 그냥 코치고 홍명보 감독의 울산 현대에 수석코치라는 직함은 없지만 경기에서 홍명보 감독의 바로 옆에 앉아있는것으로 보아 사실상 수석코치이었다. 하지만 2022년 [[이케다 세이고]] 코치가 수석코치로 부임하면서 일반 코치로 밀려났다. 이 코치의 최대 장점이라고 한다면 육상부 훈련급으로 선수들 주력이 조금이나마 눈에 띄게 빨라지는걸 확인할수 있는데 상무시절부터 부산까지는 눈에 보일정도 였다기보다는 [[박준태(축구선수)]], [[임상협]], [[이동준(1997)]] 등과 같은 원래 발이 빠른 선수들과 함께했고 스카우터로서의 성과도 썩 나쁜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해서 좋다고 일반화하긴 애매하다. == 플레이 스타일 == 테크닉에서 호평을 받았던 미드필더. 드리블 능력과 왼발 킥력은 물론, 시야도 갖춘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였다. 또 인천 시절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임을 가져가려고 시도하면서 득점력도 향상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약점은 피지컬이 부족하고 다소 몸싸움을 피하는 경향이 있는 점, 수비적인 기여가 부족한 것이 꼽힌다. [각주] [[분류:197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미드필더]][[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은퇴, 이적]][[분류:부천 FC 1995/은퇴, 이적]][[분류:울산 현대/코치]][[분류:2001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