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fff {{{+1 김상진}}}[br]金相辰 | Kim Sangji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상진예비후보.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6년]] [[10월 10일]][* 본인 피셜 진짜 생일은 음력 8월 26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 정보에 작성된 생년월일은 1967년 9월 29일이다.] ([age(1966-10-10)]세)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 || '''{{{#FFFFFF 거주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24길 || || '''{{{#FFFFFF 현직}}}'''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민소통 특별위원 [br] 광진구 청소년육성회 회장 || || '''{{{#FFFFFF 약력}}}'''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 사무관[br][[대통령비서실]] 행정관[br]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연구관[br] [[이강래]] 국회의원 보좌관 {{{-2 (4급)}}} [br] [[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책연구위원[br][[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 || || '''{{{#FFFFFF SNS}}}''' ||[[https://blog.naver.com/ksjknife|[[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kimsangjin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ngjinkwangjin, 크기=20)] | [[https://facebook.com/ksjknif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FFFFFF 학력}}}''' ||정읍고등학교 {{{-2 ([[졸업]])}}}[br][[건국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br][[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 (정치학 / [[석사]])}}} || || '''{{{#FFFFFF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1녀 || || '''{{{#FFFFFF 종교}}}''' ||[[기독교]]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생애 == [[1967년]]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태어났다. [[1984년]]에 정읍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3년]]에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국가정보원 5급 사무관으로 재직하다가 1998년 [[김대중 정부]] 청와대로 자리를 옮겼다. 1999년 [[김종필]] [[국무총리]] 직속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연구관을 맡았으며, 2000년부터 10년 간 고향 순창의 [[이강래]] 국회의원실에서 보좌관 생활을 하였다. 이후 국회로 자리를 옮겨 정책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다. == 정치 활동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서울 [[광진구 을]] 지역구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해당 지역구의 거물인 [[추미애]] 의원에 패배하였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진구 을]] 지역구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추미애]] 의원이 법무부 장관으로 취임하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광진구 을]] 지역구의 유력한 차기 국회의원 후보로 거론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지역구에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자유한국당]] 예비후보로 출마를 선언하면서, 일각에서는 '이름값이 밀린다'는 이유로 [[더불어민주당]] 전략 공천 지역구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나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가 전략공천 될 것이라는 설이 있었다. 이후 이낙연 전 총리는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 출마를 선언했고 이광재 전 지사는 본인이 고사해 본인이 학창시절을 보낸 강원 [[원주시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다. 이후에도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나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 등의 전략공천이 거론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김상진 예비후보 본인은 이 전략공천설에 대해 본인의 경쟁력을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였다.[[http://www.gwangjin.com/17316|#]] 실제로 [[2020년]] 1월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김상진 예비후보가 [[오세훈]] 예비후보에 앞선다는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1232|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결국 [[더불어민주당]]이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을 해당 지역구에 전략 공천하면서 김상진 예비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로서의 출마 기회를 잃게 되었다. 무소속으로 출마하라는 지지자의 요구가 있었으나 김상진 예비후보는 공천 결과를 수용하고 고민정 후보의 선대위원장 직을 맡겠다고 밝혔다.[* 사무실을 구하지 못하는 고민정 후보에게 본인이 쓰던 사무실을 내어주고 공천 결과에 불만을 갖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라는 지지자를 설득하는 등 해당 지역구에 기반이 없는 고 후보를 위해 본인이 닦아온 지역구 기반을 지원해주었다. 그러나 선거가 끝난 후에도 고민정 캠프에서는 감사의 인사는커녕 김상진에 대한 일언반구의 언급도 없었다고 한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광진구 을]]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 낙하산 인사 의혹 == [[2021년]] [[4월 16일]] [[기업은행]] 자회사인 [[IBK서비스]]의 신임 부사장으로 임명되었다. [[IBK서비스]]는 기업은행의 633개 영업지점 소속의 청소·경비·주차관리 등의 용역근로자를 직접 고용·관리하는 회사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IBK서비스]] 임원의 평균 연봉(성과급 포함)은 1억 1800만원 수준이며 법인카드 지출도 연간 700만~1000만원 정도 한다고 한다. 관련 기사에서 [[IBK서비스]] 노조는 '''"대개 모기업인 기업은행 고위 간부 출신이 자회사 임원으로 내려온 뒤 자회사 노동자들의 요구와 불만을 모기업에 전달하는 게 보통"'''이라며 '''"정치인 출신 임원은 처음이라 제대로 된 대화가 이뤄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상진은 청와대 행정관을 거쳐 국회정책연구위원과 국가정보원 사무관 등을 역임했기 때문에 이 회사의 임원으로써의 전문성과는 거리가 멀다. 낙하산 인사 의혹이 불거지는 이유다. 위 내용은 [[2021년]] [[4월 21일]] [[국민의힘]] [[강민국(정치인)|강민국]] 의원실에서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https://news.joins.com/article/24040390|#]]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순창군 출신 인물]][[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6년 출생]][[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