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207102021560063164_1.jpg|width=100%]]}}} || || '''이름''' || 김선기(Sun-ki, Kim) || || '''생년월일''' || [[1982년]] [[3월 12일]] ([age(1982-03-12)]세) || || '''신체''' || 174cm, 72kg, [[O형]] || || '''가족''' || 2남 중 둘째 || || '''학력''' || [[서울고등학교]] {{{-2 ([[졸업]])}}}[br][[국민대학교]] {{{-2 (수료)}}}[br][[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2 ([[경제학]] / [[학사]])}}}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한빛 스타즈]]''' → [[공군 ACE]] → 은퇴 || || '''주 종목''' || [[스타크래프트]] || || '''종족''' || [[테란]] || || '''ID''' || Qoo)SuNnY || || '''별명''' || 특공테란 || || '''팬카페''' || [[http://cafe.daum.net/qoosunny]] || || '''미니홈피''' || [[http://www.cyworld.com/thesunny]]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스타 선수 중 드물게 공부를 잘 했고, 미국 [[대학]]까지 가는 등 좋은 학업을 가진 인물.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전북대학교 대학원|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박신영(프로게이머)|박신영]][*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졸업.]과 함께 역대 스1 선수들 중 매우 드문 인텔리다. 프로게이머 커리어로는 큰 족적을 남기진 못했으나 [[선기도]]라는 전략을 방송에서 최초로 사용하여 자신의 이름을 딴 전략으로 남겼다. == 주요 성적 == * [[2003년]] [[7월]] [[온게임넷]] [[듀얼 토너먼트]] 진출 * [[2003년]] [[10월]] 대구 게임 페스티발 우승 * [[2004년]] TIC 라이코스 대회 개인전 우승 * [[2004년]]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전 MVP (김선기, [[나도현]]) * [[2005년]]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 우승 * [[2007년]]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256강 * [[2008년]] TG삼보 인텔클래식 시즌2 128강 == 전적 == ||<-4> '''{{{#ffffff 김선기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4전 1승 3패 (25.0%) || 전적없음 || 4전 1승 3패 (25.0%) || || vs 저그 || 5전 1승 4패 (20.0%) || 10전 4승 6패 (40.0%) || 15전 5승 10패 (33.3%) || || vs 프로토스 || 2전 1승 1패 (50.0%) || 4전 2승 2패 (50.0%) || 6전 3승 3패 (50.0%) || || 총 전적 || 11전 3승 8패 (27.3%) || 14전 6승 8패 (42.9%) || 25전 9승 16패 (36.0%) || == 선수 시절 == [[한빛 스타즈]] 시절에는 주로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에 출전하여 괜찮은 성적을 거뒀다. [[한빛 스타즈]]가 처음으로 우승을 이루었던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전에서 [[나도현]]과 함께 [[MVP]]에 올랐으며, 3라운드 그랜드 파이널 결승전에서 [[조형근]]과 함께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며 팀에 최종 우승을 안겼다. 특히 3:1로 밀린 SKY 프로리그 1라운드 결승전에서 5세트에 출전해 '''[[임요환]]'''을 잡아 한빛 팀의 드라마틱한 대 역전극의 발판을 만든것은 그의 게이머 인생의 하이라이트라 할만하다. 여담으로, 김선기는 임요환과의 공식 상대전적에서 이 경기 포함 3:0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한건 임요환과 같은 소속팀의 제자인 [[최연성]]에게는 역으로 김선기가 0:3으로 전적에서 밀린다.] 그러나 이후에는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했고, [[공군 ACE]]에 입대한 뒤에도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공군 에이스]] 입단 후 개인전 성적은 '''1승 15패 승률 6.3%'''로 [[차재욱]]보다도 낮은 수준.[* 실제로 차재욱이 공군에 입단한 이후 프로리그에서 패배만 적립하던 시절에 차재욱은 김선기와 엮여서 비판을 받은 적이 많았다.][* 이 때문에 한때는 차재욱과 더불어서 공군 역사상 최악의 선수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었지만, 먼 훗날 [[차명환]]이 이들보다 더 저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그런 타이틀은 차명환이 가져가면서 이들은 그래도 차명환보다는 낫다는 평이 있다.] 저 유일한 1승은 [[2008년]] [[5월 31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에서 [[신상문]]을 상대로 거둔 것이다. 맵은 [[오델로(스타크래프트)|오델로]]. [[https://www.youtube.com/watch?v=s-Eu2lwXWQQ|#]] 이는 [[2005년]] [[11월 23일]] 이후 921일만의 프로리그 개인전 승리였다.(...) 팀플전에서도 [[조형근]]&[[이재훈(1981)|이재훈]] 아니면 [[조형근]]&[[김환중]] 조합에 밀려 전과 같은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제대 직전인 [[2009년]] [[2월 11일]]에 [[이제동]]을 상대로 여러 번 날카로운 공격을 가해 승기를 잡았으나, [[사이언스 베슬]] 관리를 제대로 못해 결국 패배. 그리고 이제동과의 대결이 그의 마지막 공식전이 되었다. 그래도 당시 김선기의 경기력은 비록 지긴 했지만 공군 시절에 보여준 이전 경기들에 비하면 많이 좋았던 편이다. 여담으로, 공군 에이스에서 상당히 [[꼬인 군번]]이다. 김선기는 4기이며, 후임으로 5기들인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과 [[박대만]]이 있었지만, 그들이 상말까지 막내였고, 김선기는 이재훈과 김환중과 함께 6기 [[박정석]], [[한동욱]], [[오영종]]이 [[병장]] 달고 나서 왔기 때문에 병장까지 막내라인이었다.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에서 벌어진 [[김환중]]과의 경기에서 그 유명한 [[선기도]] 사건의 시초가 되었다. [[2009년]] [[4월 17일]], [[공군 ACE]] 제대 후 학업을 계속 하기 위해서 [[은퇴]]를 했다. [[http://esports.dailygame.co.kr/news/read.php?id=9598|#]] 반면 동기들인 김환중과 이재훈은 그들의 원래 소속 팀이던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의 [[코치(스포츠)|코치]]들로 복귀했다. == 은퇴 이후 == [[2012년]]에 근황이 공개되었는데, 다니던 [[국민대학교]]를 [[휴학]]하고 [[미국]]에 3개월 동안 [[어학연수]]를 거친 뒤,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세칭 [[UC 버클리]]) [[경제학과]]에 편입했다고 알려졌다. [[http://esports.dailygame.co.kr/news/read.php?id=63164|#]], [[http://esports.dailygame.co.kr/news/read.php?id=63657|#]] 그리고 [[7월 10일]], [[tving 스타리그 2012]] 4강전에서 한빛 후배 [[김명운]]을 응원하기 위해 대회 현장을 방문하여 오랜만에 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김명운은 [[허영무]]와 풀세트 접전 끝에 2:3으로 아쉽게 패배했다. UC 버클리 졸업 후 [[페이스북]] 한국지사, [[엔씨소프트]]를 거쳐 퍼포먼스 마케팅 전문 대행사인 애드 이피션시(Ad Efficiency)에서 페이스북 전문가로 근무했으며, 메이크어스(MakeUs)에서는 사업 개발부서에서 근무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카카오페이지]] 글로벌 마케팅 팀 리더로 근무하다가 현재 IT 스타트업인 하이퍼커넥트(hyperconnect)로 이직해 [[아자르]] 총괄 부사장으로 재직 중에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선기, version=24)]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1982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공군 출신]][[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UCB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