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fff 10%, #cd313a 50%, #0047a0 50%, #fff 100%)" '''{{{#fff {{{+1 김선태}}}[br]金善台 | Kim Sun T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선태 중국 감독.jpg|width=100%]]}}} || || '''출생''' ||[[1976년]] [[5월 11일]] ([age(1976-05-1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문고등학교(서울)|광문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 ([[체육교육과|체육교육학]] / 학사)}}} || || '''수훈''' ||[[2001년]] [[대한민국 훈장#s-4.11|체육훈장 청룡장]]|| ||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신체''' ||176cm, 72kg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 現 쇼트트랙 코치이다. == 선수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선태 선수시절.jpg|width=100%]]}}} || 1993년 부터 국가대표 및 상비군으로 활약하면서, 팀의 메달에 기여하였다. [[https://isu.html.infostradasports.com/cache/TheASP.asp@PageID%3D302071&SportID%3D302&CompetitionID%3D14137&SeasonID%3D4&GenderID%3D1&ClassID%3D1&EditionID%3D2449&EventID%3D10138&EventPhaseID%3D9721&Phase1ID%3D0&PhaseID%3D9721&TaalCode%3D2&StyleID%3D0&Cache%3D2.html?777294 |1993년 ISU 팀 선수권 명단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3806132|1994년 뉴스 기사]]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4007526|1995년 뉴스 기사]] 고려대학교 재학 당시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계주 후보 멤버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무릎 부상으로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고 동료 선수들([[김동성]], 이준환, 이호응, [[채지훈]])이 [[중국]]과 부딪혀서 넘어졌는데도 은메달을 획득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 은퇴 이후 == 1999년에 선수 생활을 은퇴하고 한때 직장 생활과 바도 운영했다. 대표팀의 상비군 코치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0052249 |장비 담당 지도자]]를 맡았다. 그는 한때 전 세계에서 스케이트 날을 가장 잘 다루는 사나이로 통했다.[* 부상으로 선수로서 큰 활약은 하지 못하였으나, 지도자 활동으로 인해 2022년 언론보도에 의하면 연금순위 8위에 랭크되어 있다.] == 지도자 시절 == === 중국 창춘시 쇼트트랙 감독 (2004~2007) === 2004년 11월부터 [[전명규]]의 추천으로 중국 창춘시 동계 스포츠 관리 센터 청소년 팀의 감독을 맡았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0&aid=0000386041|뉴스자료]]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jky&x_csa=%7B%22fromUi%22%3A%22kb%22%7D&pkid=1&os=141010&qvt=0&query=김선태%20프로필 | 네이버 프로필]] [[https://baike.baidu.com/item/%E9%87%91%E5%96%84%E5%8F%B0/23564637| 중국 바이두 프로필]] === 한국 대표팀 코칭스태프 (2007~2008) === 2007-2008 시즌에는 한국 대표팀 코칭 스태프로 일하였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2168132 |뉴스자료]]. 빅토르 안 [[안현수]]의 2008년 부상 당시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494130|KBS뉴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14&aid=0000058990|MBC뉴스]]에 등장하기도 한다. === 일본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2008~2010) ===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일본 선수들과 세계정상권 선수들의 기량 차가 커서 메달을 따지는 못했지만, 그의 지도는 일본 선수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서 한 일본 선수는 스케이트를 타는 방식 자체가 바뀌었다고 말할 정도였다. === 중국 창춘시 쇼트트랙 감독 (2010~2014) === 창춘 동계 스포츠 관리 센터와 4년 계약을 체결 하였다. [[https://baike.baidu.com/item/%E9%87%91%E5%96%84%E5%8F%B0/23564637| 중국 바이두 프로필]] === [[대한민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감독(2014~201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선태한국.jpg|width=100%]]}}} ||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남자팀 코치이자 쇼트트랙 대표팀 총감독에 선임됐다. 당시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 남자대표팀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이후 12년 만에 노메달의 수모를 당했다. 또한 2014년 6월 부터 2018년 12월까지 화성시청 쇼트트랙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jky&x_csa=%7B%22fromUi%22%3A%22kb%22%7D&pkid=1&os=141010&qvt=0&query=김선태%20프로필 | 네이버 프로필]] 그러나 2016년 12월 대장암 초기 진단을 받고 쉬었다가 수술 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했으며, 한국 남자 대표팀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이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직전 당시 쇼트트랙 대표팀은 [[조재범]] 코치의 [[심석희]] 폭행 사실이 드러났고, 이를 방조한 당시 김선태 총감독에게 한국에서 [[https://www.hankyung.com/sports/article/2022020879887|자격정지 1년]]의 중징계를 받았다. 1년 동안 한국에서 활동할 수 없게 되자 결국 그는 도피처를 찾다 중국 대표팀으로 자리를 옮겼다. ===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감독(2019~202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선태중국.png|width=100%]]}}} || [[2019년]] 6월 [[중국]]빙상경기연맹 쇼트트랙 총감독 겸 여자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04년]]부터 8년 간 [[중국]] [[창춘시|창춘]]에서 쇼트트랙 감독을 맡았었기 때문에 [[중국어]]가 유창하다. 뿐만 아니라 [[저우양]]에게 "너는 언젠가 세계선수권 우승자가 될 것이다. 내가 너를 돕겠다"는 메시지가 적힌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220207/111623008/2|손편지]]까지 써준 것이 중국 매체에서 조명을 받았다. “저우양은 대회 때마다 손편지를 가지고 다녔고, 지금도 지갑에 지니고 있다”면서 “스케이팅에 대한 질문이 있을 때마다 김선태 감독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로 귀화한 [[빅토르 안]]도 중국 코치진으로 함께했다. 그런데 중국이 혼성 계주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자, "판정은 심판이 하는 것"이라고 발언해서 논란이 생겼다. 또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이후 국내 취재진들의 인터뷰를 거부해서 논란이 되었다. 현재 중국의 쇼트트랙 감독인 동시에 (중국 입장에서) 외국인이라는 점이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 현재 그에 대해 국내 여론은 최악 수준으로 매우 나빠졌다. 논란이 많은 혼성 계주 금메달과 남자 1000m 금,은메달을 제외하고는 여자 계주 동 1개만 추가하면서 지도력에 의문이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메달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는 선수의 기량이므로 이를 김선태 감독의 지도력 부족으로 재단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무엇보다 김선태 감독은 한국이 쇼트트랙에서 다량의 메달을 획득해 우수한 성적을 냈었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대표팀 감독이었다.] 올림픽이 끝난 후 재계약은 하지 않고 곧바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41526632231832&mediaCodeNo=258|귀국했다.]] 귀국한 이후 한 언론사를 통해 본인의 심경을 밝혔으나 [[https://sports.news.nate.com/view/20220311n02777#md-emotion-view|여론]]은 좋지 않다. 김선태의 후임으로 前 헝가리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장징]]이 중국 대표팀의 지휘봉을 잡았다.[* 여담으로 장징 측에서는 헝가리가 재정 위기로 계약된 연봉을 제대로 지불하지 못한 것이 중국 감독직을 수락한 이유 중 하나라고 밝혔으나, 헝가리 빙상연맹은 연봉 지불 관련해서 전혀 문제가 없었으며 심지어 더 좋은 조건을 제시했음에도 이를 거절하고 중국행을 택한 것이라는 상반되는 답을 했다.] 중국과 계약 종료 후 귀국한 이후로 한동안 근황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2023년 1월 12일에 올라온 기사에 따르면 [[빅토르 안]]과 같이 성남 쇼트트랙팀 코치에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11217192911662|지원]]한 사실이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감독시절 이미지가 많이 실추되었기 때문에 빅토르 안과 마찬가지로 여론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최종 합격자는 1월 말 발표 예정이나, [[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468/0000917832|1월 30일에 올라온 기사에 의하면]] 빅토르 안과 같이 최종 배수에도 들지 못하고 탈락하였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 성남시청 쇼트트랙 코치(2023~) === 2023년 5월 1일, 성남시청 빙상팀 코치에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21&aid=0006780574|합격했다.]] 후술하겠지만 코치 재공고를 낼 즈음에 이미 개인 코치 자격으로 성남시청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었기에 김선태의 코치 내정은 사실상 확정이었다. == 수상 기록 == * 2001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75141|체육훈장 청룡장]] * 2016년: 제62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지도부문 우수상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97 나가노 || 5000m 계주 || || 은메달 || 1998 비엔나 || 5000m 계주 || || 동메달 || 1996 헤이그 || 5000m 계주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 팀선수권}}} || || 금메달 || 1997 서울 || 단체전 || || 은메달 || 1996 레이크플래시드 || 단체전 || || 은메달 || 1998 보르미오 || 단체전 || || 동메달 || 1993 부다페스트 || 단체전 || ||<-3>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25]]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1996 하얼빈]] || 5000m 계주 || || 동메달 ||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1999 강원]] || 5000m 계주 || ||<-3> [[파일:FISU 로고.svg|width=25]]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 무주·전주]] || 5000m 계주 || == 여담 == * 김선태의 수상기록은 [[https://www.olympedia.org/athletes/1005105|올림피아드]]에서 모두 확인 가능하다. * 일부분이지만 [[https://isu.html.infostradasports.com/cache/TheASP.asp@PageID%3D302037&SportID%3D302&Personid%3D349844&TaalCode%3D2&StyleID%3D0&Cache%3D2.html?839397 |ISU 프로필]] 에서도 수상기록이 확인 가능하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감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문서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발생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으로 인해 개인 문서가 개설되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내내 경기장에서 마스크를 쓰고 껌을 씹는 모습이 카메라에 자주 잡혔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전후 빙상계에서 터진 여러 사건으로 인해 열렸던 문체부의 빙상연맹에 대한 특정 감사를 통해 대표단 관리 책임이라는 사유로 한국에서 자격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정황상 일련의 사건을 보고 코치진을 [[중국]] 측에서 스카웃한 것으로 보인다. * [[심석희]]와 조항민 코치의 뒷담화 대상 중 한 명이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여자 3000m 계주에서 한국이 1위로 들어오자 김선태 감독이 [[최민정]]과 [[김아랑]]을 껴안고 환호했는데 이를 두고 조항민 코치가 카톡으로 심석희에게 “선태는 아랑 민정이랑 사랑을 나누던” “[[성추행]] 아님?” 이라면서 조롱했고 심석희도 이에 동조했다. 2022 베이징 올림픽이 끝나고 귀국 후 [[https://www.nocutnews.co.kr/news/5722451|단독 인터뷰]]에서는 파문에 대해 잘잘못을 떠나 안타깝다는 말을 남겼다. * [[마기꾼|마스크 착용 전, 후의 인상이 정말 다르다.]] 이는 여러 커뮤니티에서 언급이 됐었다. * 2023년 4월 15일 [[JTBC]]는 다음과 같이 단독 보도하였다. 김선태는 2022년 [[대한빙상연맹]]의 지도자 연수를 받지 않아 현재 지도자 자격이 없지만, 성남시청 선수들의 코치 역할을 하고 있어 논란이 됐다.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관계자는 계속 부인하다 말을 바꿨다. 빙상장의 대관은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명의로 빌렸는데, 무자격자가 사설로 들어와 코치를 한 것이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22454 |기사 전문 ]] >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관계자> 김선태 감독이 우리 빙상팀 선수들 코치한다고 저희한테 신청한 것도 없고… > ---- > {근데 오늘 가니까 하고 계시던데요.} > ---- >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관계자> 봤어요? [각주] [[분류:1976년 출생]][[분류:광문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쇼트트랙]][[분류:1999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