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제5군단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fff 제44대 제5군단장[br]{{{+1 김성민}}}[br]金成敃 | Kim Sungm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군단장 중장 김성민.jpg|width=100%]]}}} || ||<|2> '''{{{#fff 출생}}}''' ||[[1969년]] || ||[[서울특별시]] || || '''{{{#fff 학력}}}''' ||[[한영고등학교(서울)|한영고등학교]] {{{-2 ([[졸업]])}}}[br]미국 해군대학원 {{{-2 ([[국제안보학|국가안보학]] / [[석사]])}}} || || '''{{{#fff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안드레아]])}}} || ||<-2> '''{{{#fff 군사 경력}}}''' || ||<|2>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92년]] ~ 현재 || || '''{{{#fff 임관}}}''' ||[[육군사관학교]] {{{-2 (48기)}}} || || '''{{{#fff 현재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fff 현재 보직}}}''' ||[[제5군단]]장|| || '''{{{#fff 주요 보직}}}''' ||[[국방부]] 정책기획관[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전작권전환추진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차장[br][[제3군단]] 참모장[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미국정책과장[br][[제73보병사단]] [[제206보병연대]]장[br][[제12보병사단]] [[제37보병연대]] 1대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현재 계급은 [[중장]]이며, [[제5군단]]장이다. == 생애 == 서울 [[한영고등학교(서울)|한영고등학교]] 졸업 후 1988년 [[육군사관학교]](48기)에 '''수석 입학'''하고[[https://www.joongang.co.kr/article/2161855|#]] 1992년 졸업 당시에도 '''수석 졸업'''하여[[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1992030200621|#]]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육사 선배 중 김성민 장군과 동일하게 수석으로 입학/졸업한 이들로는 [[김성진(1931년 11월)|김성진]](육사 11기) 전 과기처 장관[[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29981|#]], [[김동진(군인)|김동진]](육사 17기) 전 국방부 장관[[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030218/1/ATCE_CTGR_0020050094/view.do|#]], [[김병관(군인)|김병관]](육사 28기) 전 연합사 부사령관[[https://www.mk.co.kr/news/politics/5445256|#]], [[정승조]](육사 32기) 전 합참의장[[https://www.yna.co.kr/view/AKR20111009043300043|#]]이 있다. 여타 졸업 순위가 높은 장교들과 비슷하게 전략/정책통의 커리어를 쌓으며 주로 국방부 정책실과 합참 전략기획본부에서 근무했다. 동기생인 [[정진팔]] 소장(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은 국무총리상(차석졸업), 하범만 준장(국군의무사령관)은 국방부장관상(3등), [[손광제]] 소장(국가위기관리센터장)은 임관 당시 대표화랑[* 전체 학과성적이 가장 우수한 생도에게 수여하는 대통령상(수석 졸업)과 다르며 일반학 성적과 훈육‧체육‧동기생 평가 등 제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다. 2008년 3월 64기 임관 당시 개교 최초로 대통령상과 대표화랑을 모두 수상한 생도(조홍래 생도)가 나왔다.]에 뽑혔다. == 주요 직위 == * '''대위''' *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경비중대장 * '''중령''' * [[제12보병사단]] [[제37보병연대]] 1대대장[* 現 [[12사단 신병교육대]]]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정책실 국제정책관실 미국정책과 실무자[*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120716/5/ATCE_CTGR_0010010000/view.do|미국 육군표창훈장 수훈]] ] * '''대령''' * [[제73보병사단]] [[제206보병연대]]장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정책실 국제정책관실 미국정책과장[* 국방부의 대미정책과 현안을 담당하는, 한미동맹 유지에 중요한 부서이다. 미국정책과장은 전략 분야의 [[요직]]으로 준장 진급률이 최상위권이며 10년간 6명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특히 육사 수석졸업자인 대통령상 수상자들이 자주 맡는 직책인데 이들이 대부분 정책, 전략형으로 분류된 데에서 기인한다. 육사 44기 수석 [[김현종(군인)|김현종]] 중장, 육사 48기 수석 김성민 중장, 육사 51기 수석 [[곽태신]] 준장 등이 역임하였다. 이외 육사 37기 [[전인범]] 중장, 45기 [[허태근]] 준장, 50기 [[최병옥]] 소장 등이 미국정책과장 출신이다.] * '''준장''' {{{-2 2018년 12월 1차 진급}}} * [[제3군단]] [[참모장]] {{{-2 (2018.12 ~ 2019.11)}}}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전략기획부 차장 {{{-2 (2019.11 ~ 2020.12)}}}[* 전임자 [[김규하(육사47기)|김규하]], 후임자 [[김수광(군인)|김수광]]] * '''소장''' {{{-2 2020년 12월 1차 진급}}}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전작권전환추진단장[* 1차 진급자임에도 사단장 대신 합참 참모가 되었고 이 보직에서 1년 반 이상 있었으며 결국 사단장을 해보지 못하게 되었다. 참고로 전임 단장이었던 [[최인수]] 장군도 육사 46기 수석 졸업자였고 후임 단장인 [[정진팔]] 장군은 육사 48기 차석 졸업자이다. 미국정책과장 탭에서 서술했듯 전략통 군인은 대다수가 졸업 석차가 높아 초급 장교 시절부터 정책/전략자원으로 육성된 인원이기 때문이다.] {{{-2 (2020.12 ~ 2022.06.)}}}[* 전임자 [[최인수]], 후임자 [[정진팔]]]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 2023년 연초 [[KTV 국민방송]]에 출연하여 [[https://m.ktv.go.kr/program/again/view?content_id=667757|국방부 업무보고]] 내용 인터뷰를 진행했다.] {{{-2 (2022.06. ~ 2023.04)}}}[* 전임자 [[김봉수(군인)|김봉수]], 후임자 [[김수광(군인)|김수광]]] * '''중장''' {{{-2 2023년 4월 1차 진급}}} * [[제5군단]]장[* 사단장 미역임자로서 중장으로 진급한 것과 더불어 받은 보직도 군단장급 중 가장 중요한 자리에 해당하는 5군단장인 등 여러모로 이례적이다. 최근의 사단장 미역임 중장 진급자인 [[김도균(1965)|김도균]](육사 44기)과 [[이정웅]](육사 45기)은 그나마 받은 보직이 각각 서울을 방어하는 수방사령관과 경기도 후방을 방어하는 수도군단장이라 국군 최일선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5군단은 예나 지금이나 야전의 상징과 같은 부대이며 특히 최근엔 6군단을 흡수합병하여 휘하에 전방사단만 4개(3,5,6,28사단)를 두고 중부전선을 홀로 방어하는 최주요 부대가 된 상태이다. 이런 부대의 장을 전방의 주요지휘관 경력이 없고 사단장도 거치지 않은 전략통을 임명했다는 것은 이진삼 육군참모총장이 정착시킨 전방 보병지휘관 우선의 진급문화가 다소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임 군단장 [[이규준]] 장군도 37사단에서 대대장, 31사단에서 연대장을 했고 인천을 방어하는 17사단장 출신이라 전방 출신이 아닌 건 매한가지다.] {{{-2 (2023.04 ~ 현직)}}}[* 전임자 [[이규준]]] == 여담 == * 생도 4학년 시절, 졸업을 앞두고 취침시간에 생활관에서 바둑을 두다가 [[고성균]] 장군 (당시 소령, 훈육관)에게 걸렸는데, 고 장군이 "너 마지막에 왜 그러냐" 하고 물으니 "생도 4년간 너무 빈틈없이 살았다. 나도 인간으로서 빈틈을 보이고 싶었고 친구들과 동질감을 느끼고 싶었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 [[천주교]] 신자며 세례명은 [[안드레아]]다. [[73사단]] 근무 당시 사목회장[* 천주교 본당/공소 내에서 신자들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며 각종 행사를 주관 및 진행한다.]을 맡았다.[[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273448|#]] * 소장 시절 [[사단장]]을 역임하지 않고 정책/전략분야 참모직만 역임했으나 2023년 4월 육사 48기 중 홀로 중장 1차 진급을 하면서 중부전선의 핵심 요직인 5군단장에 임명되었다. 이어 2023년 11월 48기 중장 2차 진급자로 [[이진우(군인)|이진우]]가 [[수도방위사령관]], [[박후성]]이 2군단장, [[주성운]]이 1군단장에 보임되었고, 이들과 대장 진급 경쟁을 하게 된다. 한편 [[여인형]] 방첩사령관은 군단장으로 보직되지는 않았지만 임기제 진급이 아니고, 여러모로 정형화된 인사 관행을 깨트리는 현재의 군 인사 동향을 볼 때 차후 다크호스로 부상할 여지가 있다.[* 특정 직위에 있다고 진급한다는 전례가 깨지고, 일반적 관점에서 진급할 만한 자리에 있지 않는 사람을 진급시키며, 기수 파괴 인사도 여럿 나오고 있다.] * 2023년 10월 대장 인사에서 [[강신철]] 장군이 군단장 미역임으로 인해 지워진 작전지휘 역량에 대한 우려를 국군 작전을 총괄하는 요직인 합참 작전본부장을 1년 반 동안 수행함으로써 불식시켰다는 이유로 대장 진급에 성공했듯이, 김성민 장군도 사단장 미역임을 중부전선 핵심 5군단장직의 무난한 수행으로 커버한다면 대장 진급에 핸디캡이 없다. 특히 육사 48기 중 가장 먼저 군단장이 되었기에 24년 전반기 인사에서 2차 직위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 군단장급 중장 공석의 확보를 위해서다. 現 작전사령관들과 동기인 [[고현석(군인)|고현석]]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의 후임으로 영전할 가능성이 높다.] ||[[파일:김성민중장대통령보고경례.jpg|width=400]]|| * 5군단 관할의 [[승진훈련장]]에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화력 격멸훈련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훈련 시작및 종료 보고를 하였다. ||
[youtube(GnCkU3ZJi6c,start=3639)] || || 2023년 화력 격멸훈련 ||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48기]][[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1969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