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강서구 을|{{{#cfa547 강서구 을}}}]])'''}}} || || 제15대[br][[이신범]] || → || '''제16대[br]김성호''' || → || 제17대[br][[노현송]] || ||<-2> {{{#ffffff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br]{{{+1 김성호}}}[br]金成鎬 | Kim Seong-h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dragon_151200_1[180529].jpg|width=100%]]}}} || ||<|2> '''출생''' ||[[1962년]] [[3월 3일]] ([age(1962-03-03)]세) || ||[[충청북도]] [[영동군]] || || '''학력'''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6대 국회의원|16]]''' || || '''약력''' ||한겨레신문 사회부기자, 정치부 기자[br]새언론포럼(참언론실천모임)발기인[br]신규장운동(도서기증과 책읽기 운동)추진위원[br]창조적개혁연대 결성(새천년민주당 386당선자모임)[br]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br]새천년민주당 대표비서실장[br]새천년민주당 원내부총무[br]국회 문화관광위원회 간사[br]열린우리당 중앙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62년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태어났다. 충북영동국민학교, 영동용문중학교,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 멤버로 합류하여 정치부 기자로 활동하였다. 한겨레신문 기자 시절 [[김영삼]] 대통령의 아들 [[김현철(1959)|김현철]]의 YTN 인사 개입을 특종 보도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 정치 활동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이신범]]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다만, 출마 과정에서 총선 2달 전까지 자민련 출입 기자로 일하면서 취재 윤리 논란이 한겨레신문 내부에서 발생하기도 했다. 2003년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고 열린우리당을 창당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열린우리당]] 경선에서는 위와 같은 여러 구설수 때문에 강서구청장 출신의 [[노현송]]에 밀려 패하였다. 당시 경선 탈락자의 본선 출마를 막는 이인제법은 없었지만 본인은 승복하고 2004년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그러나 2006년 [[이라크 파병]]과 [[대북송금 특검]] 등을 비판하며 열린우리당을 탈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0152588?sid=100|#]]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김성태]]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15년 정동영 전 민주평화당 대표와 함께 [[국민모임]]에 합류했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강서구 병]] 선거구에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그러나 20%를 상회하는 득표율을 보였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장으로서 [[국민의당 제보 조작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후 [[민주평화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5년간 피선거권이 정지되어 당적이 정리되었다. 2022년 1월 27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2023년 4월 13일 여의도연구원 제1부원장[* 정무 부문 담당]에 임명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서울 [[강서구 을|강서 을]]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9,180 (46.07%)''' || '''당선(1위)'''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9,018 (9.39%) ||<|2> 낙선(3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강서구 병|강서 병]]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8,920 (20.59%) || || == 소속 정당 == || ''' {{{#FFF 소속}}}''' || ''' {{{#FFF 기간}}}''' || ''' {{{#FFF 비고}}}'''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열린우리당]] 합류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6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6 - 201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10 - 2011 || 입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국민모임 합류를 위해 탈당.] || || [include(틀:국민모임)][br]([include(틀:무소속)]) || 2015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창준위 소멸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민주평화당 창당.]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201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2022 ||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당적 상실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 - 현재 || 입당 || == 논란 == 지난 2001년 재외공관 국정감사 기간중 현지에서 성매매를 하고, 상대 여성의 임신에 접촉을 피하는 태도로 일관하다가 물의를 일으켰다. [[https://m.khan.co.kr/politics/assembly/article/200102061919501]]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성호, version=44)] [[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영동군 출신 인물]][[분류:1962년 출생]][[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한겨레신문 관련 인물]][[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