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김세영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V-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 || || '''{{{#ffffff 2005 }}}''' || '''{{{#ffffff 2010 }}}''' || '''{{{#ffffff 2012 }}}''' || || '''{{{#ffffff 2016 }}}''' || '''{{{#ffffff 2019 }}}''' || ---- ||<-5>
[[V-리그|[[파일:V_League_Logo.png|width=40]]]] '''{{{#fff 2005 KOVO V-리그 공격상}}}''' || || 리그 출범 || → || '''김세영''' [br]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 → || [[김연경]]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5> [[V-리그|[[파일:V_League_Logo.png|width=40]]]] '''{{{#fff 2005-06 KOVO V-리그 블로킹상}}}''' || || [[정대영]] [br] ([[GS칼텍스 서울 KIXX|인천 GS칼텍스]]) || → || '''김세영''' [br]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 → || 안드레이아 [br] ([[GS칼텍스 서울 KIXX|인천 GS칼텍스]]) || ||<-5> [[V-리그|[[파일:V_League_Logo.png|width=40]]]] '''{{{#fff 2008-09 KOVO V-리그 블로킹상}}}''' || || [[정대영]] [br] ([[GS칼텍스 서울 KIXX|인천 GS칼텍스]]) || → || '''김세영''' [br]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 → || [[양효진]] [br]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수원 현대건설]]) || ---- }}} || ---- ||<-2> '''{{{+1 김세영}}}[br]金洗瑩 | Kim Se-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세영_흥국_2020.jpg|width=100%]]}}} || ||<|2> '''{{{#000 출생}}}''' ||[[1981년]] [[6월 4일]] ([age(1981-06-04)]세)|| ||[[부산광역시]] [[중구(부산광역시)|중구]] || || '''{{{#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000 학력}}}''' ||부산동광초 - [[남성여자중학교|부산남성여중]] - [[남성여자고등학교|남성여고]] - [[대덕대학교|대덕대]]|| || '''{{{#000 가족 관계}}}''' ||남편 이화일, 아들 이경원|| || '''{{{#000 포지션}}}''' ||센터[* 미들 블로커]|| || '''{{{#000 신체}}}''' ||190cm / 73kg|| || '''{{{#000 점프 높이}}}''' ||스파이크 높이 309cm / 블로킹 높이 300cm|| || '''{{{#000 배구 입문}}}''' ||중학교 1학년|| || '''{{{#000 프로 입단}}}''' ||2000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대전 KGC인삼공사|(한국담배인삼공사)]]|| || '''{{{#000 소속 구단}}}'''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아리엘즈 - KGC인삼공사]] (2000~2012)''' [br]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014~2018)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18~2021)|| || '''{{{#000 별명}}}''' ||엄마센터, 세영사마[* 2018-19 올스타전에서 이 별명을 달고 출전했다.]|| || '''{{{#000 응원가}}}''' ||인삼공사 시절 : [[코요태]] - [[Passion]] [br] 현대건설 시절 : Quiet Riot - Cum on Feel the Noize[* [[삼성 라이온즈]] 팀 응원가이자 [[황재균]] 세컨 응원가이다. 다른 거 없다. '''현대 김세영~ 현~대 김세영~'''][br] 흥국생명 시절 : [[핫플레이스]] - T.M.I|| [목차] [clearfix] == 소개 == 前 [[대전 KGC인삼공사]],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소속 미들 블로커, 그리고 2000년부터 시행한 여자배구 드래프트에서 가장 먼저 불리고 20년간 선수생활을 한 여자배구의 산증인. == 선수 생활 == ||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10122190914002.jpg|height=250]] ||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407201841770766_53cb8f1e22bc1.jpg|height=250]] || [[파일:0000304_1.jpg|width=250]] || || 인삼공사 시절 || 현대건설로 복귀했던 시절 || 흥국생명 시절 || [[파일:김세영 드래프트.jpg|width=500]] 부산 남성여중 - 남성여고를 졸업하고 2000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로 인삼공사에 입단했다. 고등학교 3학년을 2년동안 다녀서 1981년생이지만 또래들에 비해 1년 늦게 성인 무대에 입문하였다.[* 한 때는 동갑인 [[김사니]]에게 언니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대전 KGC인삼공사|담배인삼공사]]에 입단한 후 2012년까지 한 팀에서 줄곧 뛴 프랜차이즈 플레이어였다. 데뷔 때부터 홍지연, [[장소연(배구)|장소연]], [[김향란]],[* 전직 농구선수 [[김주성(농구)|김주성]]의 동생이다.] [[정대영]] 등 국제무대에 통할 장신 미들블로커가 부족했던 국내 여자배구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190cm의 초장신 미들블로커이고, 괜찮은 공격력과 높이를 앞세운 강력한 블로킹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래서 국제전에서 매우 중요한 전력으로 센터와 라이트(아포짓)을 겸할 수 있었고, 2000년대 중반 국제전에서 공포의 대상이었던 [[러시아]]의 206cm 여제 [[예카테리나 가모바]]같이 전위에 있을 때 전담마크를 하기도 했다. 블로킹 능력은 은퇴 전까지 V-리그 통산 1위 블로킹 기록 보유[* 2013-14 시즌 현재 [[양효진]]과 [[정대영]]이 김세영의 통산 블로킹 기록을 넘어서 멀찌감치 격차를 벌리고 있다. 그 양효진은 고교 선배를 뛰어넘어 600개를 넘겼다.]가 말해 주듯 국내 최강. 하지만 키 때문인지 기동력에는 약점을 보였고 그리고 잦은 부상 때문에 국내리그의 활약이 생각보다는 부족했던 편. 특히 쿠세(손버릇)형 세터와 잘 맞는다는 점 때문에 공격력이 매우 들쭉날쭉해 데뷔 초기의 기대치에 못미쳤던 평가가 많다. 세터와의 정확도 문제도 이슈였고, 타법도 한국 여자배구 특유의 연타위주 환경의 끝물급 선수다보니 원래도 이동공격 아니면 장신공격수의 강타가 쉽게 안 나오는데 발이 느려서 이동공격 활용도가 높지도 않은 편이라 제대로 된 정타를 보기가 손에 꼽을 정도라 여배 팬들이 대놓고 '[[효자손]]' 혹은 '먼지털이'라고 할 정도. 공을 때리는 게 아니라 긁거나 턴다고. 국제전에서는 센터로서 좋은 블로킹 능력과 함께 센터치고는 수비 가담도 괜찮아 국가대표로 뽑혔다. 정대영과 함께 2000년대 국가대표 센터라인을 굳건히 지키며 [[2004 아테네 올림픽]] 8강을 일궈내기도 했고 2000년대 중반 국가대표팀의 암흑기를 지켜냈으며 사실상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 2010 시즌에 국제전의 강행군을 이겨내며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을 이끌기도 했다. 그리고 2010년을 기점으로 고교 후배 센터 [[양효진]]에게 자리를 넘겨 주었다. 2005년 반년 시즌, 2009-10시즌,[* 이 시즌 종료 후 5월 30일에 결혼을 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volleyball&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022791|관련 기사]]] 2011-12 시즌 소속 팀인 인삼공사의 모든 우승을 함께했고, 2011-12 시즌을 끝으로 인삼공사에서 은퇴했다. 이후 출산으로 잠시 배구계에서 떠나고, 2013-14 시즌 종료 이후 2011-12시즌 당시 같은 팀 동료인 [[한유미]]와 같이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현대건설]]에 복귀했다. 2014 안산 우리카드배 코보컵에서 이전 소속팀인 인삼공사를 상대로 블로킹 4점 포함 6점으로 성공적인 복귀전을 치렀다. 후배들의 기량이 올라오기 전까지 멘토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이며, 예전에 비해 블록만 전담하는 것으로 역할이 줄어들지만 큰 키에서 나오는 '통곡의 벽'은 여전히 V-리그에서 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리고 2014-15시즌 양효진(0.92), 김희진(0.58) 다음으로 가장 많은 세트당 블로킹 스탯(0.57)과 168 득점(전체 22위)을 찍으며 복귀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냈다. 이로 인하여 5월 FA 시장 최대어[* 본인 포함 8명인데, 미계약 4인방인 최윤옥, 윤혜숙, 한은지, [[김민지(배구선수)|김민지]]는 기대치가 낮고 김선영은 [[문정원(배구선수)|문정원]], [[고예림]] 등에 밀려 가치가 낮은데다, [[한수지]]와 이소진은 아무리 세터가 급하다고는 해도 각각 항암 치료 전력, 허리 문제로 인해 하드웨어가 좋다는 이유로 준수한 백업으로 평가받는 수준이다.]로 거듭난 것은 덤. 우선협상기간에 유일하게 1억 3천만 원에 재계약했다. 2017년 2월 8일 [[GS칼텍스 서울 KIXX|GS칼텍스]]전에서 무려 13개의 블로킹을 기록하며 자신이 지난해 10월 25일 기록한 V리그 최다 기록(10개)을 경신했고, 팀은 승리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8/0200000000AKR20170208192400007.HTML|관련기사]]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원 소속팀 현대건설과 1차 협상이 결렬되어 연봉 1억 5천만 원에 흥국생명으로 이적했다. 김세영의 이적에 관한 뒷이야기가 재밌는데, 사실 김세영의 나이가 부담스러웠던 현대건설은 그를 전력 외로 분류하고 다른 선수로 그 자리를 메우기로 했다. 이에 김세영은 영입을 제안해온 흥국생명과 협상을 하고 있었는데, 현대건설이 [[한수지|영입 직전까지 간 선수]]가 [[대전 KGC인삼공사|원 소속팀]]의 파격적인 대우(일명 '한삼억' 사건)에 마음을 돌리면서 현건만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다. 다급해진 현건이 김세영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약속하며 재계약을 제시했지만, 단단히 기분이 상한 김세영은 전년도보다 '한 장'을 더 주겠다는 현건의 제안을 걷어차고 예정대로 흥국에 가버렸고, 오프시즌을 말아먹은 현대건설 프런트는 아주 영혼까지 까였다. --- 김세영이 빠진 공백을 메꾸지 못하고 5위로 추락했지만 그 구슬으로 이다현을 데려와서 이젠 마냥 화나지만은 않은 결과--- 이렇게 김세영은 흥국생명으로 터를 옮겼고 보상선수로 정시영이 현대건설로 갔다. 2017-18시즌 김수지의 이적 이후 센터난을 겪었던 흥국생명이기에 주전으로 많은 경기를 소화할 것으로 보였고, 컵 대회에서 흥국생명의 낮은 높이를 완벽히 보완해내는 활약상을 선보이며 나이와 무관하게 본인의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18-2019 시즌 베테랑의 투혼을 보여주며 흥국생명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에 공헌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328039700007?input=1195m|'경원이 엄마' 김세영의 땀방울, 흥국생명 우승 원동력]](2019. 03. 28). 이 시즌 1라운드부터 챔피연결정전(34경기 127세트)까지 서브 338번 시도(8득점)했는데, 범실 하나 나오지 않았다. 이는 역대 최초로 기록한, 시즌 중 서브 무범실이다. 2019 VNL 대회 국가대표 자격도 반납하고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했다.[* 물론 본인이 거절하고 대표팀 은퇴선언을 했지만, 나이 40 가까이 되어 실력으로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는 자체가 인간승리의 표본이다.] 2020년 11월 27일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와의 경기에서 통산 블로킹 950점을 달성하였다. 2021년 2월 28일 GS칼텍스와의 경기에서 오른쪽 손가락 부상을 입었고, 수술을 하면서 사실상 은퇴 수순에 들어갔다. 그리고 은퇴 의사를 밝히면서 FA 미계약 상태로 은퇴하게 되었다. == 여담 == * [[김연경]] 다음으로 역대 국내 선수 한 경기 최다득점 3위에 랭크되어 있다.[* 1, 2위가 김연경으로 44, 43점을 뽑았다고 한다. 그 다음이 본인과 [[김민지(배구선수)|김민지]]의 42점, 그 다음은 역시 김민지와 2014년 7월 22일 인삼공사와의 코보컵에서 [[황연주]]와 2015년 7월 16일 GS칼텍스와의 코보컵에서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이 세운 41점. 그 다음이 2012-13 시즌의 [[양효진]]의 40점. 단, 여기서 황연주와 김희진의 득점 기록은 코보컵 한정으로 최다득점이다. 여기서 [[양효진]]과 [[황연주]],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을 빼면 모든 최다 득점 기록이 외국인 선수가 없던 2005-06 시즌에 기록한 성적이다.] * 빠른 1982년 생인 [[한유미]]와 나이상으로 동갑이다. 하지만 김세영이 한유미보다 늦게 데뷔하여 한유미를 언니라고 불렀으나, 나중에는 그렇게 부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김세영'은 2003년 [[개명]] 후의 이름이며, 개명 전 이름은 '김향숙'이었다. 그래서 이를 아는 [[배빠]]들은 김세영을 '[[살인의 추억#s-4.3|향숙이]]'라고 별명처럼 부른다. 개명 사유는 프로 입단 후 [[유리몸|잦은 부상]]으로 결장이 잦았는데, 부모님이 향숙이라는 이름 때문에 잔병치레가 있다고 개명을 권유해서 개명한 것. * 평소에 과묵한 성격이라고 한다. 이렇기 때문에 최대한 미디어 출연을 자제하려 하며 인터뷰를 하는 경우가 많이 없다. 이 때문에 인터뷰를 너무 안 한다고 논란이 되었던 적도 있었다. 심지어 유튜브 역시 출연을 꺼린다.[* 한 에피소드로 [[한유미]]가 유튜브에 [[황연주]]와 김세영 세 명이서 식사를 하다가 [[https://youtu.be/aBXJ0KlBegQ|황연주의 청첩장을 받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그 당시 한유미와 황연주는 카메라를 보고 앉았지만 김세영만 카메라 반대편에 앉아 있었고 목소리만 출연했다. 팬들이 분량을 더 늘려달라 했지만 한유미가 직접 밝히길 본인이 원치를 않아서 힘들다고 말했다.] * 다른 선수들은 서브를 넣을 때 점프를 하는데 김세영은 드물게 점프서브를 하지 않는다. * 여자배구 드래프트에서 '''최초로 이름이 불린 선수'''이다. [[2000년]]부터 드래프트가 시작되었고 이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지명되었기 때문. 여자배구 드래프트가 처음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 여자배구 역사의 산 증인이다. * 2020-21시즌 흥국생명의 정신적 지주인 김연경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멘토 역할을 했다. 매 경기 거의 모든 순간마다 김연경을 다독여주는 모습이 보였다. 김연경이 개판인 팀 분위기 속에서도 멘탈을 잡고 있을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였다.[* 흥국생명이 3차전까지 간 끝에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기업은행]]을 꺾고 파이널까지 올라갔을 때, 김연경이 수훈선수로 김세영 선수를 언급할 정도이다.] == 관련 문서 == * [[배구 관련 인물]]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세영, version=57)]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중구(부산)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남성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2000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미들 블로커]][[분류: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은퇴, 이적]][[분류: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은퇴, 이적]][[분류: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은퇴, 이적]][[분류:대덕대학교 출신]][[분류:개명한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6 도하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