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김세진 열사 영정.jpg]] 1965년 2월 20일 ~ 1986년 5월 3일 (향년 21세) >'''계명산에서 내려온 푸른 구렁이가''' >'''밤마다 품안으로 기어드는''' >'''꿈을 꾸고서 김세진군을 낳았대서일까''' >······ >(중략) >······ >노루목이며 탄금대며 호암지에서 >내가 본 것은 푸른 구렁이들뿐이다. >온몸이 시커먼 독으로 덮여 >새파란 불을 뿜는 푸른 구렁이들뿐이다. > ><푸른 구렁이>, 신경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열사]]. == 일생 == === 유년시절 === [[1965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나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1983년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 합격했다. === 반전반핵 그리고 반미 === [[서울대학교]]에 들어가면서 김세진은 학생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1984년 자연대 학생회 부학생회장이 되었고 1986년에는 자연대 학생회 학생회장 및 서울대학교 단과대학 학생회장단 대표가 되었다. 그러는 동안 학생운동에 깊숙하게 빠져들었고 반전운동과 반핵운동 등에도 열성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이재호(열사)|이재호]]와 함께 [[반미]]시위에도 참여했는데 특히 [[교련#s-5|전방입소훈련]]에 대한 반대시위를 계획하고 있었다. 시위 날짜는 4월 28일로 잡혔다. 김세진은 이 시위의 모든 책임을 지기로 하면서 주변의 운동권 친구들과 작별인사를 하고 일종의 '정리'를 했다. 4월 28일[* 이날 벌어진 더 정확한 상황에 대해서는 [[김세진·이재호 분신사건]] 문서를 참조하라.] 시너를 준비한[* 친구 이정승의 증언에 따르면 김세진은 28일 아침 일찍 나가 시너를 사 왔다고 한다. 뭘 할거냐는 친구의 질문에 김세진은 '''"짭새들 겁 좀 주려고."'''라고 답했다.] 그는 이재호와 함께 신림사거리 부근의 한 건물 옥상으로 올라갔다. 곧 400여명의 학생들이 전방입소를 반대하는 시위를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경찰이 진압을 위해 몰려오자 둘은 접근하지 말라며 시너를 몸에 뿌리고 경고했다. 허나 경찰이 무시하고 달려들자 결국 [[분신|몸에 불을 질렀다.]] 그는 분신 후 한강성심병원으로 후송되어 입원했다. 소식을 들은 부모가 중환자실로 달려가니 몸은 온통 붕대로 감겨져 있었으며 새까맣게 탄지라 형체조차 알기 힘들었으며 그의 몸은 60% 이상이 3도 화상을 입은 상태였다. 의사는 '''"분신한 채로 구호를 외치며 팔을 강하게 흔들어서''' 그렇게 되었다"며 부모에게 일러주었다. 김세진은 부모에게 미안하다고 한 후 곧바로 친구 이재호의 상태를 물어보았지만 그 날 밤 혼수상태에 빠졌고 얼마 지나지 않은 5월 3일 오후 5시 30분에 세상을 떠났다. === 사후 === 사후 김세진은 화장을 요구하는 당국의 협박에도 불구하고 광주시 오포면 판교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 1988년에는 '김세진이재호열사추모사업회[* 현 김세진이재호기념사업회.]'가 세워졌고 2001년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되었다. 한편 그의 시신은 2014년 이천 민주공원묘지로 이장되었다. == 여담[* [[이재호(열사)|이재호]] 문서의 여담과 겹치는 것이 많으니 유의 바란다.] == * <[[벗이여 해방이 온다]]>가 그와 [[이재호(열사)|이재호]]를 추모하기 위한 노래다. * 한편 전방입소교육은 1987년에 선택과목이 되었고 1988년에야 폐지되었다. * 그와 이재호를 기리는 추모비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옆 잔디밭에 있다. * 서울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모여 그와 이재호의 추모식을 매년 거행하고 있다. * 그와 이재호를 기리는 추모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point.nhn?code=47043|<과거는 낯선 나라다>]]가 2008년 상영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07xaAcu1Tp8|#]] 다큐멘터리 형식인데 사실상 그와 김세진에 대한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인터뷰 영상을 모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별점이 좋지 못하다~~ * 그와 이재호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싶다면 [[https://klmemory.osasf.net/|김세진이재호기억저장소]]라는 사이트가 있으니 들어가 보길 추천한다. * 2006년 추모연대가 <통일뉴스>에 제공한 [[북한]] 민화협측 [[http://m.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206|문건에 의하면]] 북한이 민주열사 31명을 지기들 마음대로 북한 대학교에 명예학생으로 등록시키는 [[만행]]을 저질렀다. 참고로 김세진은 1987년 평양의과대학 기초의학부 기초의학과 4학년으로 등록되었고 [[이한열]] 열사도 동년도에 평양의과대학 의학부 의학과 2학년으로 등록되어 있다. == 참고자료 == [[http://legacy.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6/04/021003000200604260606025.html|무서웠어요, 미안했어요]] [[http://legacy.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6/04/021003000200604260606043.html|김세진, 이재호는 아직도 묻고 있다.]] [[분류:열사]][[분류:학생운동가]][[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1986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