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코칭스태프))] ---- ||
'''{{{#ffffff 김수경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현대 유니콘스 1차 지명선수)] ---- [include(틀:현대 유니콘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김수경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5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4.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8년 한국시리즈|{{{#fab93d 1998}}}]]''' || '''[[2000년 한국시리즈|{{{#fab93d 2000}}}]]''' || '''[[2003년 한국시리즈|{{{#fab93d 2003}}}]]''' || '''[[2004년 한국시리즈|{{{#fab93d 2004}}}]]''' || ---- ||
[br][[파일:NC_Dios_2020_KoreanSeries_Champions.pn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2020년 한국시리즈|{{{#ffffff 2020}}}]]''' || ---- ||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c63 동메달}}}''' || || '''[[김응룡호/2000년|{{{#ffffff 2000}}}]]''' || ---- ||
[[KBO 리그 신인왕 역대 수상자#s-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98 KBO 리그 신인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2000 KBO 리그 다승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99 KBO 리그 탈삼진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6|[[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98 KBO 리그 승률왕}}}''' ||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30번}}}''' || || 양윤기[br](1996~1997) || {{{+1 →}}} || '''{{{#fab93d 김수경[br](1998~2007)}}}''' || {{{+1 →}}} || 팀 해체 || ||<-5> '''{{{#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우리 / 서울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30번}}}''' || || 팀 창단 || {{{+1 →}}} || '''{{{#fff 김수경[br](2008~2012)}}}''' || {{{+1 →}}} || [[조중근]][br](2013) || ||<-5> '''{{{#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83번}}}''' || || [[최상덕]][br](2010~2011) || {{{+1 →}}} || '''{{{#fff 김수경[br](2013)}}}''' || {{{+1 →}}} || [[김석연]][br](2014~2016)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98번}}}''' || || [[이민준(1992)|이민준]][br](2016~2017) || {{{+1 →}}} || '''{{{#00275a 김수경[br](2018~)}}}'''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응룡호/2000 시드니 올림픽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수경2023프로필.png|width=100%]]}}} || ||<-2> '''NC 다이노스 No.98''' || ||<-2> '''{{{#00275a {{{+2 김수경}}}[br]金守經 | Kim Soo-Kyung}}}''' || ||<|2> '''출생''' ||[[1979년]] [[8월 20일]] ([age(1979-08-20)]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서화초등학교|서화초]] - [[인천재능중학교|대헌중]]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 '''신체''' ||183cm,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s-2|1998년 고졸우선지명]] ([[현대 유니콘스|현대]]) || ||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1998~2007)''' [br][[우리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서울]]-[[넥센 히어로즈]] (2008~2012) [br][[고양 원더스]] (2014) || || '''지도자''' ||[[넥센 히어로즈]] 1군 불펜코치 (2013) [br][[NC 다이노스]] 재활군 투수코치 (2018)[* ~6월 3일] [br][[NC 다이노스/2군|고양 다이노스]] 투수코치 (2018)[* 6월 4일~] [br][[NC 다이노스]] 1군 불펜코치 (2019~2021) [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투수코치 (2022)[* ~5월 12일][br][[NC 다이노스]] 1군 투수코치 (2022~)[* 5월 13일~] || || '''프런트''' ||[[NC 다이노스]] 스카우트 (2016~2017)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1군 투수코치.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 [[고양 원더스]] 소속의 투수였다. 팀 선배 [[정민태]], [[이숭용]]과 함께 현대 왕조의 탄생-중흥-멸망에 이르기까지 영광과 시련의 순간을 경험했고[* 현대가 첫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뒀던 1998년에 데뷔해 10승 이상을 거두며 팀의 투수진에 안착했고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했던 2000년에는 공동 다승왕의 영예를 안았으며 세번째와 네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했던 2003년, 2004년에도 팀의 에이스급 투수로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2004년 마지막 이후 구단 운영난이 급속화되면서 팀의 전력이 망가지는 모습을 그대로 지켜봐야 했다. 그리고 유니콘스 역사의 종지부를 찍던 그 경기에 선발 투수로 나서 26년 구단 역사의 마지막 승리투수라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그 역사의 중심에 있던 핵심 선수 중 한 명이며 [[삼청태현]]이 배출한 2명의 개인 통산 100승 이상 투수 중 한 명이다.[* 다른 한 명은 통산 124승을 기록한 [[정민태]].]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 || ||<-4>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2|'''{{{#fab93d {{{-2 아마추어 시절}}}}}}''']]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1|'''{{{#fab93d 1998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2|'''{{{#fab93d 1999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3|'''{{{#fab93d 2000년}}}''']] ||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4|'''{{{#fab93d 2001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5|'''{{{#fab93d 2002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6|'''{{{#fab93d 2003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7|'''{{{#fab93d 2004년}}}''']] ||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8|'''{{{#fab93d 2005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9|'''{{{#fab93d 2006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1.10|'''{{{#fab93d 2007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2.1|'''{{{#FFF 2008년}}}''']] ||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2.2|'''{{{#white 2009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2.3|'''{{{#white 2010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2.4|'''{{{#white 2011년}}}''']] ||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3.2.5|'''{{{#white 2012년}}}''']] || ||<-4>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4|'''{{{#white 고양 원더스 시절}}}''']] || ||<-4>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 || ||<-4> [[김수경(야구)/선수 경력#s-5.1|'''{{{#fff 2000년}}}''']] || 개인 통산 112승을 올려 [[2011년]] '''[[김원형]]'''[* 두 선수는 서로 다른 팀이였으나 자신들이 속한 팀의 최후의 에이스였었다.]이 은퇴한 이후 현역 최다승 투수 타이틀을 갖고 있었다.[* 김원형의 통산 승수는 134승.] 당시 32세의 젊은 나이여서 [[송진우(야구)|송진우]]의 역대 최다승 기록에 도전할 수 있을 거의 유일한 후보로 손꼽혔으며 동시에 불가능에 가까운 [[성구회]] 가입 요건인 선발 200승을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불과 1년 후인 만 33살을 끝으로 프로에서 은퇴하였다. == 피칭 스타일 == [[파일:1998김수경.gif]] [[파일:attachment/김수경(투수)/1.gif]] [[현대 유니콘스]] 시절(1998년 / 2007년) [youtube(l9q5ld7ZB8c)] 히어로즈 초기(2008년) [[파일:attachment/김수경(투수)/WG.gif]] 넥센 히어로즈 시절(2011년) 와인드업 투구 폼이 상당히 특이한데, 와인드업할 때 왼다리를 거의 직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용수철 튕기듯 하이키킹한 뒤에 던진다. [[박찬호]]의 하이키킹처럼 다리를 쫙 뻗지 않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지만 세트포지션의 투구 역시 무릎이 엄청나게 높게 올라가는 하이키킹 투구 폼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41&aid=0002050562|입단 당시엔 지금보다 더 특이했다고 한다.]] [[SK 와이번스]]의 투수 [[임치영]][* [[2017년]] 시즌 이후 방출되었다.]의 투구폼이 김수경과 닮은 꼴. 왼다리와 엉덩이 쪽에 부담이 크게 오는 투구폼이라 2001년 이 투구폼을 수정하려 했는데, 적응에 실패하여 꽤 오랫동안 고전했다. [[파일:99김수경종슬라이더.gif]] > "'''슬라이더'''는 조용준과 '''김수경'''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 >- [[박경완]] [[https://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3&aid=0005776519|인터뷰]][* 박경완은 조용준과 1년간 현대에서 함께한 적이 있고, 김수경이 현대에 입단한 그해 트레이드로 현대에 와서 4년반 동안 같이 했다.] 주무기는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실제로 전성기 시절 잘 나갈 땐 최고 140km 후반대의 빠른 패스트볼 - 120km 초중반대에 최고 130km 중반대의 종슬라이더 투피치만으로도 타자를 [[삼진(야구)|삼진]]으로 돌려세웠을 정도. 그러나 2011년도 이후엔 패스트볼의 구위가 떨어져 슬라이더 이외의 변화구도 많이 구사하기 시작했다. == 은퇴 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18/2015/11/17/PS15111700123g_99_20151117151422.jpg|width=100%]]}}} || 2015년 11월 [[NC 다이노스]]의 [[스카우트]]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3397513|영입되었다.]] 이후 2017년까지 NC의 스카우트로 재직했다. 2017년 스카우트로 자리잡은 그의 현 모습과 야구 인생을 인터뷰했다.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1065381&rrf=nv|1부]][[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1065647&rrf=nv|2부]] == 지도자 경력 == === [[넥센 히어로즈]] 불펜코치 === 은퇴 후 곧바로 [[넥센 히어로즈]]의 1군 불펜코치로 선임되면서 2013년 1시즌간 있었다. 시즌 후 선수 복귀 선언과 동시에 [[고양 원더스]]에 입단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코치직을 내려놓았다. === [[NC 다이노스]] 투수코치 === 2018년부터는 [[NC 다이노스]]의 재활군 투수코치로 선임되면서 현장으로 되돌아왔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21442|#]] 등번호는 98번.[* 김수경이 신인으로 데뷔한 해가 1998년이다 보니 98번을 등번호로 선택한 걸로 보인다.] 이후 6월 4일자로 [[김경문]] 감독의 경질과 동시에 [[유영준]] 감독대행 체제에서 코칭스태프가 개편되면서 2군(고양)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 [[이동욱(야구)|이동욱]] 감독이 부임한 2019년부터는 1군 불펜코치로 올라왔다. 1군 메인 투수코치는 [[손민한]] 수석코치가 겸직하면서 함께 투수 코칭을 담당하게 되었다. 2019년 선발 5승을 챙긴 NC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를 발굴했다는 [[https://gall.dcinside.com/ncdinos/3453671|팬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김영규 역시 슬라이더 각이 좋은 선수. 2020 시즌에는 [[김진성]]의 부활에 기여했다. 선수가 여러 차례 김수경 불펜코치를 언급하며 고마움을 표시했을 정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96&aid=0000566483|[SW인터뷰] ‘반전 쓴’ 김진성의 진심 “동료들에게 미안했어요”]]] [[2020년 한국시리즈]]에서도 불펜 코치로서 소임을 다했고, 결국 개인 다섯 번째이자 '''코치 커리어 첫 번째 반지'''를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232315|끼게 되었다.]] 2022 시즌은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해 시즌을 시작했다가, 5월 13일 [[이동욱(야구)|이동욱]] 감독 경질 후 [[강인권]] 대행 체제로 바뀜과 동시에 코칭스태프 개편 과정에서 [[손민한]]과 보직을 맞바꿔 1군 투수코치로 올라왔다. 1군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한 뒤에는 평가가 좋은 편인데, 투수들에게 공격적인 피칭을 주문하는 방식으로 투수진을 이끌고 있다. 시즌 초반만 해도 팀 평균자책점 4.70으로 전체 9위였고, 팀 피안타율 0.271, 피OPS 0.743으로 투수진이 거의 황폐화됐으나, 김수경 코치가 1군으로 올라온 5월 13일 이후로는 순식간에 팀 평균자책점 2.68, 팀 피안타율 0.221, 피OPS 0.639로 확연히 낮아졌다. 특히 6월 한 달 동안 월간 평균자책점 2.19로 10개팀 중 유일하게 2점대를 유지하는 중. 시즌 후 [[강인권]]이 정식 감독으로 부임한 뒤에도 투수코치 자리를 유지하면서 2023년에도 1군 투수코치를 맡는게 확정됐다. 2023 시즌에도 개막 초에는 투수진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으나 4월 말부터 팀 투수진이 선발, 불펜 가릴것 없이 서서히 망가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평가가 급격하게 나빠졌다. 그 와중에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cdinos&no=6449912|5월 21일 경기에서 류진욱이 5회부터 11회까지 '''7번이나 몸을 푸는걸 봤다는''' 직관러의 증언]]이 나오면서 김수경에 대한 여론이 더욱 나빠지기 시작했다. 참고로 이 당시 류진욱은 이두근에 피로가 와서 잠시 1군에서 이탈했다 복귀한지 얼마 안 된 상태에서 이런 일이 또 벌어진 것이다.[* 심지어 이 날 멀티이닝을 돌았으며, 실책성 수비로 인해 자책점까지 떠안으며 패전투수가 됐다.] 해당 글에 댓글로 달린 다른 직관러들의 증언들을 보면 류진욱 뿐만 아니라 다른 불펜 투수들도 비슷한 상황으로 추정되고 있다. 류진욱 외에도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와 [[김진호(야구선수)|김진호]] 역시 부상으로 1군에서 이탈한 지라 단순 이닝 수치로만 혹사가 아닐 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불펜진의 혹사가 매일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군에 처음 올라온 [[임지민(야구선수)|임지민]]도 단 2경기만에 오른팔 골절로 1군에서 말소되면서 이러한 추측에 강한 힘을 불어 넣어주고 있다.[* 다만 임지민의 경우 투수 전향을 늦게 한 여파도 이러한 부상의 원인으로 꼽히는 케이스라 구단에서도 손을 쓰기 힘들긴 했다. 투수 전향을 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선수의 경우 어깨가 상대적으로 싱싱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역설적으로 이러다 보니 상체 의존도가 높아서 어깨나 팔로만 던지는 선수들이 꽤 많은 편이라, 부상의 위험이 오히려 더 높다고 한다. 임지민도 이런 부류 중 운없게 걸렸던 케이스.] 그래도 그 이후에는 이러한 이슈가 한 번도 나오지 않은 것을 보면 내부적으로도 어느 정도 피드백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상황속에서도 6월 초까지 구단 평자책 1위를 기록하고, 신인선수들과 젊은 선수들의 압도적인 호투와 고참이 된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 [[이재학]]이 전성기를 능가하는 좋은 성적과 실력를 보여주고 있어서 김수경 코치에 대한 신뢰도와 이미지가 다시금 올라가고 있다. 그러나 6월 말부터 선발 투수들의 연이은 부상과 그로 인한 불펜의 과부하 속에서 투수 운용에 아쉬움이 드러나며 강인권과 함께 또다시 평이 내려가고 있다. 이견이 있을 수는 있으나 바로 전년도에 손민한보다 훨씬 낫다며 무한 찬양을 받았던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여론이 나빠진 편. 특히 불펜진은 안정적으로 1이닝을 막는 투수가 사실상 전무하고 나올때마다 블론만 일삼으며 상태가 매우 심각해졌는데, 김수경이 호평 받은 이유가 불펜진의 안정화였던 만큼 불펜이 다시 안 좋아지자 그 많던 호평도 거의 다 사라져버리고 비판만 남은 것. 그나마 8월 들어 불펜진의 기복은 어느정도 줄어들었으나 필승조인 [[류진욱]]과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를 큰 점수차에서도 종종 쓰는 막장 운용[* 정확히는 [[김시훈(야구선수)|김시훈]] 등 다른 투수를 먼저 썼다가 제대로 아웃 카운트를 잡지 못 하면 류진욱이나 김영규에게 똥치우기를 시키는 상황이 은근히 자주 나오고 있다. 물론 이런 경우의 가장 큰 문제는 코칭스태프가 가장 많이 기대를 했던 김시훈이 기회를 부여받을 때마다 못 던지고 게임을 쫄깃하게 하는게 가장 큰 이유지만.]과 아쉬운 타이밍의 투수교체 등으로 강인권 감독과 함께 평이 썩 좋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던 등 호불호가 꽤 갈리고 있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불펜진에 강속구 투수의 비율이 늘어난 데다가 저연봉의 젊은 새 얼굴들을 위주로 불펜진을 안정적으로 재편하는 데에 성공했으며, 그러면서 1점차의 접전 경기에서의 승리가 늘어나거나 운용 미스가 났을 때 선수들이 이 위기를 넘겨주고 그대로 경기를 지키는 빈도가 9월까지 전 시즌 대비 꽤 늘어났다는 점만큼은 호불호에 상관없이 인정을 받기도 하고 있다.[* 특히 후반기를 기점으로는 7회와 8회에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와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로 완전히 필승조 라인이 정착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류진욱]]도 주로 6~7회에 대기하면서 연투 등의 문제로 유사시에만 8회에 등판하는 식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운용이 가능한 건 두 선수가 모두 좌투수더라도 스터프와 팔의 각도, 릴리스 포인트와 던지는 구종 등에서 차별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좌투수더라도 타자들이 타이밍을 맞추기가 힘들며 실제로도 그런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분석팀과 함께 근거로 꼽고 있다.] 9월 중순 이후 타선의 부진이 심해지면서 상대적으로 투수 운용에 실패했을때의 임팩트도 더 커져 강인권과 김수경의 이미지가 더 안 좋아지는 면도 있다. 특히 전년도에 비해 기량이 크게 떨어진 [[김시훈(야구선수)|김시훈]]을 필승조급으로만 안 쓸 뿐 계속 1군에서 쓰는 것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결국 KIA와의 더블헤더 이후 1군에서 말소시켰으나 이마저도 얼마 안 가 바로 1군에 다시 올렸고, 시즌 말의 투수운용은 모든 NC팬들이 한마음 한 뜻으로 깔 정도로 최악이였다. 투수운용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부분에서 문제가 심각했던 만큼 강인권이 집중적으로 까이긴 했으나 투수운용에 관해서는 투수코치인 김수경 역시 비판을 피하지 못 하게 되었다. 전임자인 [[손민한]]과 다른게 뭔지 모르겠다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로 이미지가 밑바닥으로 추락해버렸다. 결국 시즌 막판에는 그렇게 좋은 소리를 듣기 힘든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정규시즌을 끝마쳤는데, 포스트시즌에는 접신이라도 한 것인지 아쉬운 타이밍도 몇 차례 있긴 했지만 신들린 투수교체 타이밍을 보여주며 전승으로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하는 이변을 보여주기도 했다. == 기타 == * 별명은 수경언니 혹은 [[닥터 K]]. '''수경[[언니]]'''는 '''[[김창희(야구)|김창희]]''', '''[[송신영]]'''과 비슷하게 [[여자]]같은 이름 때문에 생긴 별명이고 닥터 K는 탈삼진 능력이 유독 뛰어나서[* 통산 1370탈삼진으로 삼청태현 프랜차이즈 역대 투수 중 탈삼진 1위다.] 붙은 별명이다. 다른 별명은 '마지막 [[황태자]]'. [[이숭용]]의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본래 주인은 김수경이다. 현대 왕조가 해체하기 전에는 순백의 '''[[유니콘]]'''이라는 별명이 있었다. * 데뷔 초기에는 [[안경]]을 쓰고 마운드에 올랐다 보니 안경을 썼던 이미지가 강하지만 2002년 초 [[시력교정술|라식수술]]을 한 뒤 안경을 벗었다. 안경을 벗은 후에는 배우 [[감우성]]과 비슷한 호남자 이미지가 되었다. 그러나 게임인 [[마구마구]]에서는 여전히 '''안경남'''. * 스승인 [[김시진]] 감독이 늘 고맙다고 인사를 하는 선수 중 한 명이며, 김시진은 늘 안타까워하는 타자나 투수를 고를 때 주저하지 않고 김수경을 꼽는다. 김수경 본인도 개인적인 목표가 124승이었다고 하는데, 이는 김시진 감독과 [[정민태]] 코치가 똑같이 통산 '''124승'''을 기록했기에 이제 본인 차례 아닌가 하는 얘기였다. 다시 복귀했었지만 결국 예전 구위를 회복하지 못하고 은퇴한 터라.... * 1998년 신인 입단 때부터 과감하게 뽑고 훈련도 철저히 시키는 등 김시진이 김수경에게 쏟은 애정은 타 선수들에 비해 보통이 아니어서, 김수경은 김시진의 [[양아들]]이라는 소리를 늘 들었고 김시진 스스로도 김수경 만큼은 누구보다 본인이 잘 안다고 하면서 재활 훈련, 수술 등에 관하여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한 때 투수코치 시절 마운드에 올라가면 늘 김수경을 보면서 웃어주었다고. 그런데 김수경의 은퇴설이 나돌았을 때는 감독이 울먹이면서 인터뷰를 했다고 한다. * [[현대 유니콘스]]의 해체 직전 최후의 선발 투수로 승리를 거두었다. 마지막으로 등판하여 마무리 투수로서의 세이브는 [[황두성]]이 했다. 당시, [[한화 이글스]] vs 홈경기 2:0으로 승. * 현재까지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최연소 승리투수(19세 2개월 10일) 및 [[세이브(야구)|세이브]](19세 2개월 4일)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연도별 성적 == ||<-17>
{{{#fab93d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1998 ||<|10> [[현대 유니콘스|현대]] || 32 || 160 || 12 || 4 || 2 || - || '''{{{#red,#ff0000 0.750}}}''' [br] (1위) || 2.76 || 112 || 6 || 73 || '''168''' [br] (3위) || 56 || 49 || 1.125 || || 1999 || 40 || 184⅔ || 10 || 11 || 1 || - || 0.476 || 4.14 || 180 || 18 || 115 || '''{{{#red,#ff0000 184}}}''' [br] (1위) || 98 || 85 || 1.565 || || 2000 || 29 || '''195''' [br] (4위) || '''{{{#red,#ff0000 18}}}''' [br] (1위) || 8 || 0 || 0 || '''0.692''' [br] (5위) || 3.74 || 167 || 16 || 94 || '''172''' [br] (2위) || 87 || 81 || 1.323 || || 2001 || 20 || 97 || 6 || 6 || 0 || 0 || 0.500 || 5.20 || 101 || 15 || 52 || 59 || 60 || 56 || 1.557 || || 2002 || 27 || 151⅓ || 12 || 10 || 0 || 0 || 0.545 || 4.88 || 155 || 25 || 60 || 130 || 84 || 82 || 1.407 || || 2003 || 29 || 167 || 10 || 9 || 0 || 0 || 0.526 || 4.63 || 184 || 14 || 74 || '''121''' [br] (4위) || 96 || 86 || 1.521 || || 2004 || 26 || 152⅔ || 11 || 8 || 0 || 0 || 0.579 || 4.01 || 151 || 14 || 65 || 100 || 74 || 68 || 1.395 || || 2005 || 17 || 90⅔ || 7 || 7 || 0 || 0 || 0.500 || 5.76 || 106 || 17 || 42 || 70 || 60 || 58 || 1.599 || || 2006 || 17 || 85⅔ || 4 || 7 || 0 || 0 || 0.364 || 3.78 || 96 || 5 || 40 || 64 || 41 || 36 || 1.541 || || 2007 || 30 || '''176⅓''' [br] (5위) || '''12''' [br] (5위) || 7 || 0 || 0 || 0.632 || 3.88 || 170 || 19 || 63 || 127 || 85 || 76 || 1.31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 26 || 106⅔ || 3 || 6 || 0 || 0 || 0.333 || 3.88 || 110 || 7 || 47 || 63 || 54 || 46 || 1.425 || || 2009 ||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 || 25 || 117⅓ || 6 || 11 || 0 || 0 || 0.353 || 6.67 || 142 || 29 || 58 || 66 || 93 || 87 || 1.662 || || 2010 ||<|3> [[키움 히어로즈|넥센]] || 1 || 3⅓ || 0 || 1 || 0 || 0 || 0.000 || 13.50 || 9 || 1 || 3 || 4 || 5 || 5 || 3.600 || || 2011 || 18 || 69 || 1 || 2 || 0 || 0 || 0.333 || 3.39 || 65 || 6 || 24 || 37 || 27 || 26 || 1.261 || || 2012 || 9 || 12⅔ || 0 || 1 || 0 || 0 || 0.000 || 2.13 || 19 || 0 || 5 || 5 || 3 || 3 || 1.816 || ||<-2> '''[[KBO 리그|KBO]] 통산''' [br] (15시즌) || 346 || 1769⅓ || 112 || 98 || 3 || 0 || 0.533 || 4.29 || 1767 || 192 || 815 || '''1370''' [br] (8위) || 923 || 844 || 1.433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79년 출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인천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고양 원더스 은퇴/이적]][[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KBO 신인상]][[분류:KBO 다승왕]][[분류:KBO 탈삼진왕]][[분류:KBO 승률왕]][[분류:1998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