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수혁}}}[br]Kim Soohyu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컬링 김수혁.jpg|width=100%]]}}} || ||<|2> '''출생''' ||[[1984년]] [[5월 5일]] ([age(1984-05-05)]세) || ||[[경상북도]] [[의성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의성중학교 {{{-2 (졸업)}}}[br][[의성고등학교]] {{{-2 (졸업)}}}[br][[경북과학대학교]] {{{-2 (경찰경호행정과 / 학사)}}}[br][[한양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2 (체육학전공 경호비서과정 / 재학)}}} || || '''종목''' ||[[컬링]] || || '''소속''' ||경북도청 {{{-2 (2004~2005)}}}[br]부산컬링협회 {{{-2 (2006~2008)}}}[* 비실업팀. 부산컬링협회 소속 당시 국가대표가 된 적이 있기에 비실업팀 경력을 따로 기재하지 않는 다른 선수들의 사례와 달리 추가.][br][[강원도청 컬링팀|강원도청]] {{{-2 (2009~2017)}}}[br][[서울시청 컬링팀|서울시청]] {{{-2 (2018~2020)}}}[br][[경북체육회 컬링팀|경상북도체육회]] {{{-2 (2021~현재)}}}|| || '''병역'''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병역특례]][*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하면서 병역특례를 받았다. 현역 남자 컬링 실업팀 선수 중 유일한 병역특례자이다.]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남자 [[컬링]] 선수다. 주니어 시절을 포함해 한국 컬링 국가대표로서 최다 대회 출장 및 최다 경기 출장 기록을 갖고 있는, [[김창민(컬링)|김창민]]과 더불어 대한민국 남자 컬링을 대표하는 스킵이다. == 선수 경력 == 중학교 시절인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이 중계됐을 때 규칙도 모르는 컬링 경기를 1시간이나 보면서 컬링에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나가노 올림픽이 끝나고 몇 달 후 아버지의 지인인 [[김경두]]의 권유로 또래 친구들과 함께 컬링을 시작했다. 2004년에 고교 후배인 [[김창민(컬링)|김창민]], 박종덕 등과 함께 한국 주니어 컬링 사상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에 출전했다. 그동안 즐기자는 마음으로 해왔던 컬링이었지만, 이 때 4위를 하면서 컬링을 본업으로 삼아도 괜찮겠다고 생각하였다. 이후 경북도청 컬링팀 선수로 활동하다 2000년대 중반 스킵 이동건과 함께 돌연 부산으로 둥지를 옮겼다. 부산에는 실업팀이 없어 국가대표가 되지 않는 한 사실상 급여가 없는 셈인데,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지만 2018년 [[경북체육회 컬링팀 지도부 폭로 사건]] 때 이동건이 밝힌 바로는 당시 [[김경두]]의 선수들에 대한 인권 침해가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이동건과 박종덕, 부산에서 한 팀이 된 남윤호와 함께 [[강원도청 컬링팀]]에 스카우트됐다. 2010-2011 시즌 후 이동건이 은퇴하면서 강원도청의 스킵을 맡게 됐고, 2013 한국선수권 때부터 4년 연속 한국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강원도에서 열리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도 국가대표가 되리라는 기대를 받았지만 막상 평창 올림픽 대표팀을 뽑는 [[2017 KB금융 한국컬링선수권대회|2017 한국선수권]]에서는 [[경북체육회 컬링팀|경북체육회]]에 국가대표를 내주었다. 하필이면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첫 동계올림픽이면서 소속팀인 강원도에서 열리는 올림픽이었기에 그만큼 중요한 순간에서 국가대표를 내줘 한동안 방황했지만, [[이재호(컬링)|이재호]]의 권유로 다시 마음을 잡고 이재호가 감독으로 있는 [[서울시청 컬링팀|서울시청]]으로 이적했다. 최소 띠동갑인 어린 선수를 이끌며 [[2018 KB금융 한국컬링선수권대회|2018 한국선수권]]에서 우승하며 다시 국가대표를 꿰찼다. 비록 세계선수권에서 13위로 꼴찌를 기록했지만,[* 한국 남자 컬링팀은 세계선수권에서 2018년 [[경북체육회 컬링팀|경북체육회]]의 4위를 빼면 최다 승리가 2승일 정도로 줄곧 하위권이었다.] 세계남자컬링선수권에서 스포츠맨십을 가장 잘 보여주는 선수에게 수여되는 콜리 캠벨 메모리얼 상을 [[https://worldcurling.org/awards/men|수상했다.]] 한국 선수로서는 처음이다. 2020년 말 경북체육회로 이적했는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은 고향 팀에서 마무리하고 싶었다고 한다.[* 자신을 서울시청으로 이끈 [[이재호(컬링)|이재호]] 감독이 [[이재호(컬링)#s-5|황당한 사유]]로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한동안 코치 역할까지 겸해야 해서 그에 따른 부담감도 컸을 것이다.] 경북체육회 소속으로 활동하는 건 2021년부터인데, 고교 후배이면서 오랜 기간 라이벌 관계였던 [[김창민(컬링)|김창민]]과는 2005년 주니어 국가대표팀 이후로 무려 16년만에 한솥밥을 먹게 됐다. 팀 재편 과정에서 김창민의 양보로 경북체육회에서도 스킵을 맡았다가 아르민 하더 총감독을 비롯한 선수들과의 상의 끝에 다시 김창민이 스킵을 맡고 김수혁은 포스를 맡았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출전이 불발되면서 김수혁이 스킵으로, 김창민은 서드를 맡았다가 [[2022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22 세계선수권]] 중 김수혁은 포스로, 김창민은 스킵 겸 서드로 다시 포지션을 바꿨다. == 수상 기록 == ||<-3>
[[아시안 게임|{{{#ffffff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2003 아오모리]] || 단체전 || || 동메달 ||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2017 삿포로]] || 단체전 || ||<-3>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ffffff 아시아태평양선수권}}}]] || || 금메달 || 2002 퀸즈타운 || 단체전 || || 금메달 || 2015 알마티 || 단체전 || || 금메달 || 2021 알마티 || 단체전 || || 은메달 || 2010 의성 || 단체전 || || 동메달 || 2013 상하이 || 단체전 || || 동메달 || 2014 카루이자와 || 단체전 || || 동메달 || [[2016 아시아 태평양 컬링선수권 대회|2016 의성]] || 단체전 || || 동메달 || 2018 강릉 || 단체전 || ||<-3> [[유니버시아드|{{{#ffffff 유니버시아드}}}]] || || 동메달 || 2003 타르비시오 || 단체전 || ||<-3> {{{#ffffff 주니어 아시아-태평양선수권}}} || || 금메달 || 2005 토코로 || 단체전 || == 역대 월드 컬링 투어 랭킹 == ||
시즌 || 순위 || 포인트 || || 2010-2011[br](국가대표) || 121위 || 17.750 || || 2011-2012 ||||<|2> - || || 2012-2013 || || 2013-2014[br](국가대표) || 68위 || 27.450 || || 2014-2015[br](국가대표) || 48위 || 40.503 || || 2015-2016[br](국가대표) || '''22위''' || 137.405 || || 2016-2017[br](국가대표) || 60위 || 67.137 || || 2017-2018 || 78위 || 49.751 || || 2018-2019[br](국가대표) || 51위 || 89.839 || || 2019-2020 || 84위 || 54.450 || || 2020-2021[* 2020-2021 시즌은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랭킹포인트를 집계하지 않았고, 팀원의 변화가 없는 한 2019-2020 시즌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었다.] || 75위 || 54.450 || == 역대 팀원 == ||
시즌 || 스킵 || 서드 || 세컨드 || 리드 || 핍스 || || 2001-2002 || 이동건(경북도청)[br]김수혁(WJBCC) || 김수혁(경북협회)[br]고승완(WJBCC) || 최민석(경북도청)[br][[김창민(컬링)|김창민]](WJBCC) || 박재철(경북도청)[br]황군현(WJBCC) || 홍준표(경북도청)[br]김현철(WJBCC) || || 2002-2003 || 이동건(경북도청)[br]김수혁(WJBCC) || 김수혁(경북협회)[br][[김창민(컬링)|김창민]](WJBCC) || 박재철(경북도청)[br]양창윤(WJBCC) || 최민석(경북도청)[br]김현철(WJBCC) || 고승완(경북도청)[br][[박종덕(컬링)|박종덕]](WJBCC) || || 2003-2004 || 이동건(경북도청)[br]김수혁(WJCC) || 김수혁(경북도청)[br][[김창민(컬링)|김창민]](WJCC) || 박재철(경북도청)[br][[박종덕(컬링)|박종덕]](WJCC) || 최민석(경북도청)[br]김현철(WJCC) || 고승완(경북도청)[br]서석재(WJCC) || || 2004-2005 || 이동건(경북도청)[br]김수혁(WJCC) || 김수혁(경북도청)[br][[김창민(컬링)|김창민]](WJCC) || 박재철(경북도청)[br][[박종덕(컬링)|박종덕]](WJCC) || 최민석(경북도청)[br]박진오(WJCC) || 고승완(경북도청)[br]하진혁(WJCC) || || 2005-2006 ||<|6> 이동건 ||<|6> 김수혁 || 박재철 || 최민석 || 고승완 || || 2006-2007 || 이규빈 ||<|8> [[남윤호(컬링)|남윤호]] || 박장수 || || 2007-2008 ||<|2> [[박종덕(컬링)|박종덕]] || 황봉경 || || 2008-2009 || 이규헌 || || 2009-2010 ||<|2> [[김태환(컬링)|김태환]] || 이재문 || || 2010-2011 ||<|4> 이예준 || || 2011-2012 ||<|9> 김수혁 ||<|3> [[김태환(컬링)|김태환]] ||<|3> [[박종덕(컬링)|박종덕]] || || 2012-2013 || || 2013-2014 || || 2014-2015 || [[박종덕(컬링)|박종덕]] || [[김태환(컬링)|김태환]] || [[유민현]] || [[남윤호(컬링)|남윤호]] || || 2015-2016 ||<|3> [[김태환(컬링)|김태환]] ||<|3> [[박종덕(컬링)|박종덕]] ||<|3> [[남윤호(컬링)|남윤호]] ||<|3> [[유민현]] || || 2016-2017 || || 2017-2018 || || 2018-2019 ||<|2> [[이정재(컬링)|이정재]] || 황현준 || [[정병진]] || 이동형 || || 2019-2020 || 황현준[br]↓[br][[정병진]] || [[정병진]][br]↓[br][[김태환(컬링)|김태환]] || 이동형[br]↓[br]공석 || || 2020-2021 || [[김창민(컬링)|김창민]] || [[이기정]][br]↓[br]김수혁 || [[이기복]][br]↓[br][[성세현]] ||<|2> [[김학균]] || 공석[br]↓[br][[전재익]] || || 2021-2022 || 김수혁[br](포스)[br]↓[br][[김창민(컬링)|김창민]][br]↓[br]김수혁[br](포스) || [[김창민(컬링)|김창민]][br](스킵)[br]↓[br]김수혁[br]↓[br][[김창민(컬링)|김창민]][br](스킵) || [[전재익]][br]↓[br][[성세현]] || 공석[br]↓[br][[전재익]] || == 기타 == * 한국 컬링 1.5세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시청 시절 다른 팀원과 나이 차가 10살이 넘어서 다른 팀원들은 김수혁을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장난삼아 놀렸다고 한다. || [[파일:김수혁 애로우.jpg|width=400]] || * 투구시 항상 스테빌라이저[* 왼손에 잡고 있는 것으로, 크러치(Crutch)라고도 불린다. 스테빌라이저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김수혁이 사용하는 스테빌라이저는 그 모양 때문에 [[애로우|애로우(Arrow)]]라는 별칭이 있는 제품이다.]를 사용한다. 스테빌라이저는 투구시 균형을 잡기 쉽도록 만들어진 것인데, 개인차가 있겠지만 오히려 균형을 잡는데 스테빌라이저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인지 전문 선수 중에서 스테빌라이저를 항상 쓰는 경우는 드물다.[* 유명선수 중 스테빌라이저를 쓰는 선수로는 캐나다 매니토바의 리드 카루더스가 있는데, 카루더스 본인이 디자인해 만든 것이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컬링 선수]][[분류:의성군 출신 인물]][[분류:병역특례자/스포츠]][[분류:1984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의성 김씨]][[분류:의성고등학교 출신]][[분류:경북과학대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