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FFFFFF {{{+1 '''Machìna'''}}} [br] 김여희}}} || ||<-2>
[[파일:machinaprofile.png|width=100%]] || || {{{#FFFFFF '''본명'''}}} || 김여희 || || {{{#FFFFFF '''출생일'''}}} || [[1988년]] [[10월 4일]] ([age(1988-10-04)]세) || || {{{#FFFFFF '''출생지'''}}} || [[광주직할시]](現 [[광주광역시]]) || || {{{#FFFFFF '''신체'''}}} || 키 : 162cm || || {{{#FFFFFF '''혈액형'''}}} || B형 || || {{{#FFFFFF '''최종학력'''}}} || [[백제예술대학]] 실용음악과 재즈전공 || || {{{#FFFFFF '''데뷔'''}}} || [[2010년]] || || {{{#FFFFFF '''활동'''}}} || ''{{{-2 김여희 (2010)}}} [br] {{{-2 → Yeo-Hee (2012)}}}'' [br] → '''Machìna''' (2018)[* 현 활동명] || || {{{#FFFFFF '''공식홈페이지'''}}} || [[https://www.machina.link/|mαchìnα]] || || {{{#FFFFFF '''트위터'''}}} || [[https://twitter.com/YeoHeeMusic|YeoHeeMusic]] || || {{{#FFFFFF '''유튜브''' }}} || [[http://www.youtube.com/user/YeoHeeMusic|YeoHeeMusic]] [br] ''[[http://www.youtube.com/user/applegirl002?feature=watch|applegirl002]]'' [* 과거 '김여희' 활동 시절 ] || || {{{#FFFFFF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YeoHeeMusic|YeoHeeMusic]] || || {{{#FFFFFF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yeoheemusic/|yeoheemusic]] || [목차] == 소개 == ||
[[파일:attachment/yeohee.jpg|width=100%]]||[[파일:/image/015/2010/07/09/201007098639g_2010070999851.jpg|width=100%]]|| |||| {{{#WHITE '''과거 '김여희' 활동 시절'''}}} |||| 前 [[K-POP]] [[싱어송라이터]] [[가수]] '''김여희'''는 [[대한민국]]의 [[일렉트로닉]] [[여자]] [[싱어송라이터]] [[가수]]이다. [[https://www.machina.link/|공식홈페이지]] == [[가수]]활동 == === 김여희 === ||[[파일:external/bntnews.hankyung.com/70083a6d2832004a597dc86775960a19.jpg|width=220]]|| || {{{#WHITE '''아이폰녀로 [[유튜브]]에 출연한 장면'''}}} || 데뷔 전 2010년 3월 15일, [[유튜브]]에서 [[iPhone]]으로 [[비욘세]]의 Irreplaceable를 열창했다. 이어 3월 23일에 [[레이디가가]]의 Poker Face를 열창하였다. 이 동영상으로 인해 한동안 여희는 언론에서 아이폰녀라고 불렸다. 이후 2010년 남자의 자격 합창단에서 활동, ㈜드림하이이엔티 소속 뮤지션으로 계약을 맺고, 5월 27일 싱글앨범 ''''나의 노래''''로 데뷔했다. === Yeo Hee === ||
[[파일:yeoheeteaser.jpg|width=100%]]||[[파일:in_1211_yeohee_l_full.jpg|width=100%]]|| || {{{#WHITE '''『You & I』'''}}} || {{{#WHITE '''『Green or Red?』'''}}} || 이전 국내 활동을 모두 정리하고, 2012년도부터 'Yeo Hee'라는 이름으로 [[일본]] [[도쿄]]를 거점삼아 주 무대로써 모델 및 음악활동을 이어나갔으며, 유니버셜 뮤직 재팬과 계약을 맺고 같은해 10월에 첫 디지털 싱글인 ''''You & I''''를 발표하였다.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접하기 힘들었던 한국 활동때와 다르게 일본에서 크게 눈을 넓혀갔으며, 그를 발판 삼아 '''Machìna'''라는 새로운 음악 아이덴티티를 내걸고 음악적 도전을 할 수 있게 된다. === Machìna === ||
[[파일:52869040_251280252488119_7338329768753917261_n.jpg|width=100%]]|| ||[[파일:39597753_326686244544491_6565737932987039744_n.jpg|width=100%]]|| > '''"Take root steadily, green notes sway slow in the breeze, amidst the chaos of time"''' 2016년도부터 [[Machìna]]라는 이름의 솔로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하였고 이전 작곡의 범위를 더욱 넓혀서 작사, 작곡, 편곡을 모두 홀로 맡는 셀프 프로듀스의 도전을 시작했다. 그리고 2017년도부터 전문적인 [[일렉트로닉]] [[장르]]로 전향, 마침내 오랜 음악적 방황을 마침표 찍고 자신만의 색깔을 찾은 [[전자음악]] 뮤지션이 되어 다음해 2018년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독학으로 음악의 길을 개척해 왔기 때문에 자신 찾기가 조금은 늦어졌지만, 전자 음악에 만난 것으로, 드디어 자신이하고 싶은 것을 발견 실감하고 있습니다." >---- >i-D Magazine 인터뷰 중 [[https://i-d.vice.com/jp/article/wjbvdq/yeo-heemachina-interview| ]] 문화적 폭이 좁아 극소수에게만 집중되는 매우 제한적인 기회 및 선호도를 가진 [[한국]][*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한국의 일렉트로니카]] 활동은 그야말로 처참한 수준의 대우와 관심, 인정을 받고 있다. 사실 이러한 상황은 [[전자음악]]계 뿐만 아닌 다양한 장르에 걸쳐 거론되는 심각한 문제점이고, 음악계가 '''특정 대상''''''(예: K-POP, 아이돌 그룹, 메이저 소속사-특히 3대 기획사 중심 등)'''에만 집중 편향되는 '''기형적 현상'''으로 인해 그 발전과 비전은 성장하지 못한 체 날이 갈수록 나락으로 떨어져가고 있다. 물론 이와 별개로 K-POP도 EDM을 수용했지만, 트렌드세팅을 위해 해외에서 히트가 검증된 주류 EDM향을 첨가한것 뿐이다.][* Machìna 역시 전형적인 '해외 나가서야 인정받은 케이스'로서, 그 문제점에 빗대어 얼핏보면 대한민국 고질병인 '''해외 인재유출'''과 비슷한 케이스로 보는 시각도 있다.]과 다르게 문화계의 오랜 국제적 위상으로 인한 음악적 다방면의 발전으로 관심의 폭이 넓은 [[일본]] 장점으로 인해 음악성을 인정받아 국내 활동 때와 다르게 평판 및 인지도가 활동 대비 크게 상승해나갔으며, 주 무대가 [[일본]] 및 기타[[외국]]인 탓에 국내에는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비슷한 케이스로는 Aiobahn등이 있다. Aiobahn은 일본에서의 어느정도 입지를 갖춘후, [[Monstercat]]에도 한자리 꼈다.], 해외 언론 및 잡지에도 소개되는 등 국제적으로 높은 지지를 얻고 있으며 SXSW, MUTEK.JP 등 세계를 주 무대로 다양한 국가 및 장소에서 공연을 뻗어나가고 있다. 그녀의 음악은 모듈러 시스템(Modular System)으로 빚어진 아날로그 사운드와 시적 감각의 보컬을 중심으로 기술과 시간, 그리고 감정의 조화를 모색한다고 평가받고있다.[[https://visla.kr/news/music/102353/| ]] 2016년 2월, 대중에게 Machìna라는 뮤지션을 처음 선보이게 되는 첫 앨범인 'Hear Me'(EP)가 공개되었으며, 2019년 3월, 이후 새로운 모습을 잡은 일렉트로닉 뮤지션으로써의 첫 앨범 ''''Archipelago''''을 발표, 피치포크 미디어(Pitchfork Media)에서 소개되기도 하였다. 뒤이어 같은해 10월에 신보''' 'Willow'''' 발표하였으며, 일본의 유명 아트 디렉터 요시로텐(Yoshirotten)이 앨범 커버를 맡는 등 매우 좋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 음반 == === 김여희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앨범'''}}} ||<#660000> {{{#WHITE '''타이틀 곡'''}}}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2> [[2010년]] ||[[파일:80144176_1_600x600.jpg|width=70]]|| '''나의 노래''' || 하지마 || 5월 27일 || {{{#WHITE Single}}} || ||[[파일:80201022_1_600x600.jpg|width=70]]|| '''Beautiful Day''' || Beautiful Day (Feat.길미) || 11월 3일 || {{{#WHITE Single}}} || ||<|2> [[2011년]] ||[[파일:80266505_1314170997478_1_600x600.jpg|width=70]]|| '''반쪽''' || 반쪽 || 8월 25일 || {{{#WHITE Single}}} || ||[[파일:80277322_1323851197962_1_600x600.jpg|width=70]]|| '''December''' || December (Feat. Paloalto) || 12월 15일 || {{{#WHITE Single}}} || || [[2012년]] ||[[파일:80295951_1338275944158_1_600x600.jpg|width=70]]|| '''Netural Note''' || 밥먹자 || 5월 30일 || {{{#WHITE Single}}} || ==== 참여 음반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참여 앨범'''}}} ||<#660000> {{{#WHITE '''곡 명'''}}}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2> [[2010년]] ||[[파일:80187165_1_600x600.jpg|width=70]]|| '''정글 피쉬 시즌2 OST (KBS 특집드라마)''' || 슬픈 예감 || 11월 4일 || || ||[[파일:80214842_1_600x600.jpg|width=70]]|| '''D'light Part X-mas''' || Love Again (Rap. Burnt-P Big Size) || 12월 1일 || {{{#WHITE Single}}} || === Yeo-Hee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앨범'''}}} ||<#660000> {{{#WHITE '''타이틀 곡'''}}}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 [[2012년]] ||[[파일:600x600youandi.png|width=70]]|| '''You & I''' || You & I || 10월 17일 || {{{#WHITE Single}}} || || [[2012년]] ||[[파일:600x600bfyeohee.png|width=70]]|| '''Green or Red?''' || Raindrop || 11월 7일 || || || [[2014년]] ||[[파일:waltz-steps.jpg|width=70]]|| '''Waltz-steps''' || Waltz-steps || 9월 7일 || {{{#WHITE Single}}} || ==== 참여 음반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참여 앨범'''}}} ||<#660000> {{{#WHITE '''곡 명'''}}}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 [[2014년]] ||[[파일:1200x630bbelieve.jpg|width=70]]|| '''Believe (JP Mix) - DJ KENKAIDA''' || Believe feat. Yeo Hee (JP Mix) || 4월 9일 || {{{#WHITE Single}}} || === Machìna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앨범'''}}} ||<#660000> {{{#WHITE '''타이틀 곡'''}}}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2> [[2016년]] ||[[파일:zaP2_G6297085W.jpg|width=70]]|| '''Hear Me''' || I Am You || 2월 17일 || {{{#WHITE EP}}} || ||[[파일:41-jKGyj9EL._AC_.jpg|width=70]]|| '''Color Me''' || Waltz-steps || 9월 7일 || {{{#WHITE EP}}} || |||||||||||| |||||||||||| ||<|2> [[2019년]] ||[[파일:artworks-000493063275-2sjd4r-t500x500.jpg|width=70]]|| '''Archipelago''' || Reboot || 2월 2일 || || ||[[파일:willow.png|width=70]]|| '''Willow''' || Mid-Tale || 10월 4일 || || 2018년 전후로 장르적 변화가 있는 관계로, 보통 현 스타일의 완성인 첫 정규앨범 ''''Archipelago''''부터 거론한다.[* 공식홈페이지에서 조차 18년도 이전 EP 앨범들은 소개하지 않고 있다.][* 국제적 활동에 대하여 18년도 이전 EP 앨범들은 대외적으로 내려 놓은 탓에 일본 지역 일부 음원 사이트 외에는 구하기조차 힘들다.] 최신작 ''''Willow''''에 대해 그녀는 “'시간, 공간, 불안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 개념적인 작품이다. 각 트랙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음악적이고 시적인 방법으로 연상시킨다. 단어와 소리가 동일한 척도를 유지하는 표현의 조화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기타 참여 === ||
<#660000> {{{#WHITE '''발매 연도'''}}} ||<#660000> {{{#WHITE '''커버'''}}} ||<#660000> {{{#WHITE '''참여 앨범'''}}} ||<#660000> {{{#WHITE '''곡 명'''}}} ||<#660000> {{{#WHITE '''날짜'''}}} ||<#660000> {{{#WHITE '''비고'''}}} || || [[2017년]] ||[[파일:COCX-39972.jpg|width=70]]||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다이노 댄스! || 4월 5일 || {{{#WHITE 공식활동 외 참여}}} || == [[방송]] 활동 ==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00324023707_sysy_1.jpg|width=220]] 데뷔 전 2009년 6월에 [[Mnet]]에서 방영한 Mnet Scandal에 [[이홍기]]의 상대 연인으로 출연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FT아일랜드]]의 [[빠순이]]들의 폭풍까임을 받은 적이 있다. 이후 2010년 7월에 방영된 [[매일 결혼하는 남자]][* 한 남자가 매 요일마다 부인을 바꾸는 ~~모든 남자라면 부러워할~~ 컨셉의 [[리얼 버라이어티]] 방송이었다. 여기서 남자로 캐스팅된 사람은 [[청림]].]에서 [[수요일]] 부인으로 출연하게 된다. 주 컨셉은 '세상의 룰은 싫다! 자유로운 영혼' [[파일:external/artsimg.mk.co.kr/1691_L_1282557008.jpg|width=220]] 제일 왼쪽에 있는 여자가 여희. 사실 그녀가 가수라는 직업으로서의 예술인이라는 점에 착안해서 저런 컨셉으로 나왔지만 사실 방송에 출연한 다른 여자들도 충분히 자유로워 보이는 데다가 더 개성이 있었기 때문에 화가 진행될수록 점점 [[일코|무난하고 평범]]해 지는 듯 했다. 이후 [[남자의 자격]]에서 '남자, 그리고 하모니'편에 출연하였다. [각주] [[분류:한국 여가수]][[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8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