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t wiz/간략(코칭스태프))] ||
'''{{{#fff 김연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0년 한국시리즈|{{{#fff 2010}}}]]''' ||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9번}}}''' || || [[김민철(야구)|김민철]][br](2001~2006) || {{{+1 →}}} || '''{{{#f01e23 김연훈[br](2007~2008.5.4.)}}}''' || {{{+1 →}}} || [[김형철(야구선수)|김형철]][br](2008.5.5.~2010)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37번}}}''' || || [[김형철(야구선수)|김형철]][br](2004~2008.5.4.) || {{{+1 →}}} || '''김연훈[br](2008.5.5.~2008)''' || {{{+1 →}}} || [[이승호(1976)|이승호]][br](2009~2014)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2번}}}''' || || [[김성현(1987)|김성현]][br](2006~2008) || {{{+1 →}}} || '''김연훈[br](2009~2011)''' || {{{+1 →}}} || [[박승욱]][br](2012~2013) || || [[박승욱]][br](2012~2013) || {{{+1 →}}} || '''김연훈[br](2014)''' || {{{+1 →}}} || [[이대수]][br](2015~2016)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10번}}}''' || || [[박상현(야구)|박상현]][br](2014) || {{{+1 →}}} || '''김연훈[br](2015)''' || {{{+1 →}}} || [[최승준]][br](2016~2019) || ||<-5> '''{{{#fff [[kt wiz|{{{#fff kt wiz}}}]] 등번호 14번}}}''' || || [[김병희]][br](2014~2015) || {{{+1 →}}} || '''김연훈[br](2016~2017)''' || {{{+1 →}}} || [[김병희]][br](2018~2023) || ||<-5> '''{{{#fff [[kt wiz|{{{#fff kt wiz}}}]] 등번호 86번}}}''' || || [[박성기(야구)|박성기]][br](2016~2017) || {{{+1 →}}} || '''김연훈[br](2018~2020)''' || {{{+1 →}}} || [[정수성]][br](2021) || || [[정수성]][br](2021) || {{{+1 →}}} || '''김연훈[br](2022~)'''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연훈2023.jpg|width=100%]]}}} || ||<-2> '''kt wiz No.86''' || ||<-2> '''{{{+2 김연훈}}}[br]金淵訓 | Kim Yeonhun''' || ||<|2> '''출생''' ||[[1984년]] [[12월 23일]] ([age(1984-12-23)]세) || ||[[전라북도]] [[전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군산초 - [[군산남중학교|군산남중]] -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 || '''포지션''' ||[[유격수]], [[3루수]], [[2루수]], [[1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 드래프트#s-3.2|2007년 2차 2라운드]] (전체 16번,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07~2008) [br] [[SK 와이번스]] (2008~2015) [br][[kt wiz]] (2016~2017) || || '''지도자''' ||[[kt wiz/2군|kt wiz 2군]] 작전·주루코치 (2018) [br][[kt wiz/2군|kt wiz 2군]] 수비코치 (2019~2020) [br][[kt wiz]] 1군 주루·외야수비코치 (2022)[br][[kt wiz/2군|kt wiz 2군]] 수비코치 (2023)[br][[kt wiz/2군|kt wiz 2군]] 주루·작전코치 (2024~) || || '''프런트''' ||[[kt wiz]] 전력분석원 (2021) || || '''응원가''' ||SK 시절 : Lou Sern - Swiss Boy[* SK 김연훈 김연훈~ SK 김연훈 김연훈~ SK 김연훈 김연훈~ 날려라~날려버려~] 돌브레인 -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s-2.2|더위 먹은 갈매기]][* 연훈 (안타!) 연훈 (안타!) 연훈 (안타!) 아\~\~ 연훈이다][* '여름~ 여름~ 여름~ 여름~ 아~ 여름이다'가 '연훈~ 연훈~ 연훈~ 연훈~ 아~ 연훈이다'[[몬더그린|처럼 들리는 것]]에서 착안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도 삼성 시절 같은 원곡을 응원가로 사용했다.][br]kt 시절 : Alan Silvestri - I'm Forrest... Forrest Gump (Forrest Gump OST)[* kt wiz 승리위해 날려라 김연훈~ 안타! kt wiz 멀티내야 김연훈 워어어~ 안타! kt wiz 승리위해 날려라 김연훈~ 안타! kt wiz 멀티내야 안!타!김!연!훈!] [* 훗날 이 응원가는 kt wiz 권동진의 응원가로 쓰인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KIA 타이거즈]], [[SK 와이번스]], [[kt wiz]] 소속 내야수. 現 [[kt wiz/2군|kt wiz 2군]] 수비코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군산초등학교 재학 시절 야구를 시작했고 전북 지역의 전통 강호인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출신이지만 왜소한 체구 때문에 고교 졸업 후 프로 팀의 지명을 받지 못했다. 야구를 그만둬야 할 위기에 처했으나 이연수 감독의 도움으로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에 진학해 선수 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고, 대학 시절 기량이 향상해[* 이 때 성균관대 야구부에 인스트럭터로 온 사람이 당시 야인으로 있던 [[김성근]]이었다. 이후 SK 시절 선수와 감독으로 재회하게 되면서 이 인연이 재조명받았다.] 졸업반 시절이던 200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KIA 타이거즈]]의 2차 2라운드라는 꽤나 높은 순번에 지명을 받을 수 있었다. ===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news.naver.com/200706152201451101_1.jpg|width=100%]]}}}|| 성균관대 졸업 후 계약금 1억 원을 받고 [[KIA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데뷔 첫 해였던 2007년에는 백업 내야수로 1군에서 꽤 얼굴을 보였다. === [[SK 와이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150725194330_1.jpg|width=100%]]}}}|| 2008년 5월, [[전병두]]와 함께 KIA와 SK의 2:3 트레이드를 통해 SK 유니폼을 입게 된다.[* 이때 SK에서 넘어간 선수는 [[채종범]],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 [[김형철(야구선수)|김형철]]이다.] 이후 [[나주환]], [[정경배]]의 백업 요원 정도로 근근히 등장했으나. 2009년에는 잠시 2군에 내려간 [[최정]]을 대신해 3루수로 출전하여 멋진 수비 실력을 자랑하였다. 타격은 시원치 않지만 수비는 '''내야 전체'''에서 한국 야구 최고의 수비로 통하는 SK에서 내야 각 포지션의 주전선수들과 비슷한[* 더 뛰어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었다.] 실력을 보이는 스페셜리스트로 많은 구단에서 백업요원으로 탐냈다. 1루수로는 출장한 적이 없지만 2루, 3루, 유격수에서의 활약상으로 볼 때 무난할 듯했다. ==== 2010 시즌 ==== 주전급으로는 자주 나오지 못하고 주로 백업 요원으로 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9월 22부로 [[페넌트 레이스]] 우승이 확정되자, 주전급 멤버보다는 백업 요원들이 선발 출장했는데, 이 덕택에 9월 23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2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신들린 듯한 호수비를 두 번이나 하면서 팀내 주전 2루수인 [[정근우]]의 자리가 무색해질 만큼의 활약을 보여, 이날 [[김성근]] 감독이 정근우보다 좋았다는 칭찬까지 했다. 이날 도루 1위를 노리던 [[이대형]]은 김연훈 때문에 1루를 제대로 밟지도 못했다. 시즌 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도 들며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0년 한국시리즈]] 1, 2, 3차전은 결장하고 4차전에 대주자로 출장하여 한 타석도 들어서지 못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4승으로 우승하며 커리어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시즌 후 주전 유격수 [[나주환]]의 군입대로 자리를 차지하면 좋겠지만 나주환과 동갑이라 그 역시 군대를 가야하고 결국 오프 시즌에 [[박진만]]이 영입되면서 앞길이 험난해졌다. 그나마 군 문제는 경찰청, 상무 불문하고 나주환에게 군침을 흘리는 상황으로 볼 때 그와 비슷한 수비 실력을 보이는 김연훈 역시 남는 한 곳에 무난히 입성할 가능성이 컸다. ==== 2011 시즌 ==== [[박진만]]의 2군행에 따라서 당당히 주전이 되는 줄 알았는데, 주전이 되자마자 공수에서 흔들리는 데다 솩빠들도 타격 능력 때문에 기대를 하지 않았던 [[최윤석]]이 공수에서 치고 올라와서 입지가 위험해졌다. 결국 5월 8일 KIA전에서 무사 1, 3루 상황에서 [[끝내기(야구)|끝내기]] [[삼중살]]의 단초를 제공하며 팀은 패배했고 김연훈은 결국 2군으로 내려갔다. 6월 2일 두산전에서 팀이 스코어 5:4로 지고 있던 9회말 1사 2루 상황에서 [[정재훈(1980)|정재훈]]을 상대로 '''끝내기 홈런'''을 쳤는데 개인 통산 두 번째 홈런이었다. 그야말로 레알 뜬금포. 오죽하면 해설가가 첫 홈런을 누구 상대로 쳤는지를 묻고 홈런을 몇 개 안 치니까 "누구한테 홈런 쳤는지 기억하잖아요."라고 개드립을 시전했다.[* 여담으로 이 홈런을 중계한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캐스터는 저서에서 이 경기가 자신이 스포츠캐스터로 한 발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했다.] 참고로 첫 홈런은 2009년 6월 18일 목동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전에서 [[이현승]]을 상대로 쳤다. 그리고 이날 관련 기사에 최고 공감글에 있었던 김연훈의 2년 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9&oid=022&aid=0002079852|편지]]가 회자되면서 그의 집안 사정을 모르고 까기만 하던 누리꾼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그런데 김연훈이 하이데어를 한다는 것과 새벽 1시에 나랑 놀 사람 드립을 한 것이 드러나면서 겁나게 까였고, 2년 전의 그 편지는 뭐냐며 [[SK 와이번스 갤러리]]에서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kwyverns&no=1887795|분노가 일어났다.]] 7월 26일 [[정근우]]가 왼쪽 늑골이 결리는 문제 때문에 선발 2루수로 출장했고, 3안타 1타점을 기록 하면서 하데의 분노는 가시는 상황이 되었다. 그런데 정근우가 1군 말소된 이후 김연훈이 성적이 귀신같이 내려가기 시작했고, 결국 8월 6일 [[권용관]]이 2루수로 선발 출전하게 된다. [[KIA 타이거즈]]와의 [[KBO 준플레이오프/2011년|준플레이오프]]에선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3승 1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롯데 자이언츠]]와의 [[KBO 플레이오프/2011년|플레이오프]] 1, 2, 5차전에 대주자로만 출장하여 1득점을 올렸고, 팀은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한 경기도 나오지 못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 군복무 ==== 시즌 후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군 입대를 하였다. 84년생으로 2012년이면 한국 나이로 29세가 되기에 하루빨리 군 복무를 마쳐야 하는 상황. [[상무 피닉스 야구단]]이나 [[경찰 야구단]]에 갈 수 있었으나 중학교 때부터 고질적으로 허리가 좋지 않았던 관계로 인해 공익 복무를 선택했다고 한다. ==== 2014 시즌 ==== 시즌을 앞두고 소집 해제되어 팀으로 복귀했다. 퓨처스리그에서 0.301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활약했으나, 결국 2014시즌 내내 단 한 번도 1군으로 콜업되지 못하고 시즌을 마쳤다. ==== 2015 시즌 ==== 시즌 전 1차, 2차 스프링캠프를 모두 완주하였으나 개막전 엔트리에 들지 못하였다. 지난 시즌 후 [[최정]]이 FA로 잔류했고, [[박진만]], [[이대수]], [[나주환]] 등 내야 자원이 많은 편인 지라 주전은커녕 백업 자리마저 경쟁해야 하는 상황. 6월 11일 독보적인 실책 1위를 기록하는 등 수비에서 슬럼프를 겪고 있는 [[김성현(1987)|김성현]]을 대신해 박철우와 함께 1군에 콜업되었다. 이로써 무려 4년 만에 1군 무대에 복귀하게 되었다. 7월 21일 두산전에서 시즌 첫 홈런을 때렸다! 2011년 6월 2일 인천 두산전에서 끝내기 홈런을 기록한 후 무려 1510일 만의 홈런. 그때와 마찬가지로 두산과의 홈경기에서 홈런을 쳤다. === [[kt wiz]]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연훈KT.jpg|width=100%]]}}}|| [[2016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서 kt에 지명되어 팀을 옮기게 되었다. 전천후 내야 백업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4월 1일 [[SK 와이번스]]와의 개막전 경기부터 [[김광현]]을 상대로 2점 홈런을 치며 팀의 첫 승에 큰 기여를 했다. 4월 3일 SK경기에서 2루타 2방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면서 친정팀에 비수를 던지고 있다. 중요한 시점마다 좋은 타격감을 보여주고 있으며 4월 8일 경기 종료시 기준으로 8타점을 올려 팀 내 타점 1위에 올라 있다. 그러나 시즌이 진행될수록 원래 자기 성적을 되찾는 중이다. 7월 22일 삼성과의 홈 경기에서는 8회에만 3실책을 저지르며 KBO 역대 두 번째 한 이닝 3실책 기록을 적립하였다. 참고로 이 기록 1호는 [[댄 블랙]]. 2017년에는 내야 백업으로 가끔씩 출장했지만 큰 활약상은 없었고, 이마저도 7월 이후로는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결국 시즌이 끝난 후 [[윤요섭]]과 함께 kt 구단의 코치직 제의를 받아들이고 은퇴를 선언하였다.[[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641405|#]]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곧바로 [[kt wiz]]의 2군 주루코치로 선임되며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2020년까지 2군에서 주루코치와 수비코치를 역임하였다. 2021년에는 전력분석팀으로 자리를 옮겨 1년간 전력분석원으로 일했다. 2022년부터는 1군 주루코치로 보직을 바꿔 다시 현장으로 돌아왔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 2007 || [[KIA 타이거즈|KIA]] || 52 || 61 || .148 || 9 || 0 || 2 || 0 || 3 || 9 || 2 || 4 || .213 || .194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 2008 ||<|8> [[SK 와이번스|SK]] || 19 || 36 || .111 || 4 || 0 || 0 || 0 || 0 || 4 || 0 || 1 || .111 || .135 || || 2009 || 68 || 141 || .319 || 45 || 9 || 0 || 1 || 17 || 25 || 4 || 10 || .404 || .357 || || 2010 || 73 || 136 || .243 || 33 || 4 || 1 || 0 || 4 || 20 || 8 || 3 || .287 || .259 || || 2011 || 84 || 149 || .188 || 28 || 3 || 0 || 1 || 13 || 15 || 2 || 13 || .228 || .250 || || 2012 ||<-13><|2> 군복무 || || 2013 || || 2014 ||<-13> 1군 기록 없음 || || 2015 || 49 || 60 || .267 || 16 || 1 || 0 || 1 || 3 || 4 || 0 || 7 || .333 || .338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 2016 ||<|2> [[kt wiz|kt]] || 103 || 166 || .217 || 36 || 10 || 0 || 1 || 18 || 13 || 2 || 7 || .295 || .244 || || 2017 || 19 || 24 || .167 || 4 || 2 || 0 || 0 || 3 || 1 || 0 || 0 || .250 || .160 || ||<-2> '''[[KBO 리그|KBO]] 통산'''[br](8시즌) || 467 || 773 || .226 || 175 || 29 || 3 || 4 || 61 || 91 || 18 || 45 || .287 || .265 || == 여담 == * 별명은 '''향숙이'''. 영화 [[살인의 추억]]에 나오는 백광호와 닮았기 때문이라고. 다만 본인은 싫어하는 별명이라고 한다.[* 여담이지만 살인의 추억에서 백광호 역할을 맡은 배우 [[박노식(1971)|박노식]]도 향숙이라는 별명을 매우 싫어한다.] * 공익 시절 근무지는 인천 주안6동 동사무소였다는 같은 지역 근무자들의 증언이 있다. * 통산 홈런이 4개에 불과하지만 이 중 2개를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군산에서 학창 시절을 보낸 덕분인지 어렸을 때는 [[쌍방울 레이더스]]의 팬이었다고 한다. 당시 좋아하던 선수는 쌍방울의 주전 2루수였던 [[최태원(야구)|최태원]]. *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초등학생 시절 군산에서 열린 쌍방울과 해태의 경기를 보러 갔는데, 이날 경기에서 맹활약한 [[이종범]]이 관중들에게 박수를 받는 걸 보고 자신도 이종범같은 멋진 선수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해 시작한 것이라고 밝혔다. * 아쉽게도 20대 후반부터 [[탈모]]가 진행 중이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21/2011012101056.html?outputType=amp|#]]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4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군산초등학교 출신]][[분류:군산상업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kt wiz/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