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남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영근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전 시티즌 20주년 레전드 베스트 11)]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e83827 40%, #050403 40%, #050403 50%, #e83827 50%, #e83827 50.5%, #050403 50.5%, #050403 51%, #e83827 51%, #e83827 51.5%, #050403 51.5%, #050403 52%, #e83827 52%, #e83827 52.5%, #050403 52.5%, #050403 53%, #e83827 53%, #e83827 53.5%, #050403 53.5%, #050403 54%, #e83827 54%, #e83827 54.5%, #050403 54.5%, #050403 55%, #e83827 55%, #e83827 55.5%, #050403 55.5%, #050403 56%, #e83827 56%, #e83827 56.5%, #050403 56.5%, #050403 57%, #e83827 57%, #e83827 57.5%, #050403 57.5%, #050403 58%, #e83827 58%, #e83827 58.5%, #050403 58.5%, #050403 59%, #e83827 59%, #e83827 59.5%, #050403 59.5%, #050403 60%, #e83827 60%)" {{{+1 [[경남 FC|{{{#ffffff '''경남 FC 전력강화실장'''}}}]]}}}}}} || ||<-3> {{{#f2c91f '''Gyeongnam FC'''}}}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F6Itx.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김영근'''}}}[br]'''{{{-2 Kim Young-Geun}}}''' || ||<-2> {{{#ffffff ''' 출생 ''' }}} ||[[1978년]] [[10월 12일]] ([age(1978-10-12)]세) [br][[경기도]] [[이천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직업 ''' }}} ||축구선수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코치]] || ||<-2> {{{#ffffff ''' 학력 ''' }}} ||[[이천초등학교|이천초]] - 이천중 - [[이천제일고등학교|이천실업고]] - [[경희대학교|경희대]] || ||<|3>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대전 시티즌]] (2001~2007)''' [br] → {{{-1 [[상주 상무|광주 상무 불사조]] (2006~2007 / 군 복무)}}} [br] [[경남 FC]] (2008) [br] BCC FC (2011) [br] 방콕 FC (2012) || || {{{#ffffff ''' 지도자 ''' }}} ||[[대전 시티즌]] (2014~2018 / ^^스카우트^^) [br] [[대전 시티즌]] (2015 / ^^2군 코치^^) [br] [[대전 시티즌]] (2018 / ^^유소년 총감독^^) [br][[대전 시티즌]] (2019 / ^^스카우트^^) || || {{{#ffffff ''' 프런트 ''' }}} ||[[경남 FC]] (2020~ / ^^전력강화실장^^) || ||<-2> {{{#ffffff ''' 국가대표 ''' }}} ||1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00)^^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FFF 정보 더 보기}}}'''[br]{{{#000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종교 ''' ||[[개신교]] ([[장로회]]) || || ''' 서명 ''' ||[[파일:김영근서명.png|height=8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현재 [[경남 FC]]의 전력강화실장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오랜 시간 [[대전 시티즌]]에서 활약했었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파일:6880434_1.jpg |width=500]] [[경희대학교]] 97학번이고, 4학년에 주장을 맡아 2000 험멜코리아배 전국춘계남녀대학축구연맹전에서 경희대의 10년 만에 우승을 이끌며 대회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하며 대학리그에서 제 2의 [[홍명보]]로 불리던 유망주였다. 경희대 졸업 후 [[K리그/드래프트/2001년|2001년 드래프트]]에서 [[대전 시티즌]]에 1순위로 지명되어 입단하였고,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팀을 떠난 [[서동원(1975)|서동원]]의 공백을 잘 메웠다. 2001년 부임한 [[이태호(축구)|이태호]] 감독 아래 리빌딩을 시도하던 대전 수비의 미래로 꼽혔고, 신인 시절부터 32경기에 출장해 1골을 기록하는 등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첫 '''FA컵 우승'''에 공헌하였으며, 이후에도 대전에서 뛰어난 헤딩과 대인방어 능력을 바탕으로 주전 수비수로 활약하며 감초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상대보다 머리가 밑에 있던 적이 거의 드물었다는 말이 있을만큼 공중볼 지배에 일가견이 있는 선수였다. 2003년을 앞두고 새로 부임한 [[최윤겸]] 감독 아래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지션을 변경했고, 수비의 최일선에서 상대 공격수들을 압박하며 [[강정훈]]과 함께 왕성한 활동량으로 대전의 에이스 [[이관우]]나 [[신진원]]의 수비부담을 줄여주며 짧은 패스 위주의 공격적인 전술을 구사하는데 기여했다. 그렇게 김영근-강정훈-이관우 트리오가 버티던 2003년 대전 중원은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인 리그 6위를 이끌며 김영근은 구단이 가장 빛나던 시기에 주역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2004년부터 부상에 시달리며 2년 간 29경기밖에 나서지 못했다. 대전에서 5시즌 동안 리그 110경기 3골 2도움을 기록했다. 결국 2006시즌을 앞두고 [[광주 상무 불사조]]에 입대해 군복무를 해결했다. 2007 시즌까지 광주에서 리그 52경기에 나서며 1골을 넣는 등 주전으로 활약했다. 전역 후 당시 대전의 감독이었던 [[김호]]가 대대적인 팀 리빌딩에 나서면서 재계약 협상에 난항을 겪었으며, 결국 2008 시즌을 앞두고 경남 FC로 이적하였다. 하지만 경남에서는 별 활약을 보이지 못한채 단 1경기만을 출전하고 1시즌 만에 은퇴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2000년 LG컵 4개국 친선대회에 참가하는 국가 대표팀에 선발되며 처음 국가대표로 승선하였고, [[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마케도니아]]와의 경기를 통해 A매치 데뷔전을 치렀지만, 이날 경기가 국가대표로서의 처음이자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 지도자 경력 == [[파일:894744_797658823581063_1810557565_o.jpg|width=600]] 이후 태국으로 건너가 배성재 감독과 선교사 활동을 하면서 지도자 생활을 병행하였고, 잠시 현역으로 복귀해 태국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도 하였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강정훈]]의 축구교실서 유소년지도를 맡기도 하였다. 2014년 대전 시티즌의 스카우트직에 취임하며 친정팀 대전에 복귀하였으며, 대전 시티즌의 리그 우승에 공헌하며 팀의 두번째 우승을 공헌, [[김은중]]과 함께 대전의 두번의 우승을 모두 경험해본 사람이 되었다.[* 다만 김은중은 두번의 우승을 모두 선수로 경험하였다.] 2015년 한 해 동안 잠시 대전의 2군 코치를 맡기도 하였다.[* 이 당시 R리그는 폐지된 상태여서 여기서 말하는 2군 선수는 사실상 전력외 비주전 선수들을 말한다.][* 애초에 또한 감독을 제외한 코칭스태프들은 모두 동일한 코치 신분으로 협회 및 연맹에 등록되어 있고, 2군 코치라는 보직은 사실상 선수 훈련 및 관리의 효율성 측면에서 구단이 임의로 구분한 것이라고 한다.] 이후 2016년부터는 다시 스카우트 활동에만 전념하였다. 하지만 2018시즌 중반 갑작스럽게 스카우트에서 유소년 총감독으로 보직을 변경하였는데, 이는 2018년 과거 감독으로서 자신을 방출시켰던 [[김호]]가 구단의 대표 이사로 새로 부임하면서 둘의 불편한 관계에 놓임에 따라 사실상 김영근 본인의 의지와는 거리가 먼 보직 변경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2018시즌을 끝으로 대전 구단을 떠났지만 반년뒤 [[김호]] 대표 이사와 [[고종수]] 감독이 구단을 떠난 후 새로 부임한 [[최용규(1962)|최용규]] 신임 대표 이사가 부임하면서 신설한 선수단운영위원회에 합류해 스카우트로 재부임하였다. == 프런트 경력 == === [[경남 FC]] 전력강화실장 === 2019시즌을 끝으로 대전이 하나금융그룹에 인수되어 재창단되면서 대대적인 선수단 리빌딩에 나섬에 따라 대전을 떠나 [[설기현]] 감독 체제로 새출발하는 [[경남 FC]]의 전력강화실장으로 부임하였다. == 여담 == [[파일:FB_IMG_1518167535892.jpg|width=400]] * 2003년 당시에는 흰색으로 머리를 염색하기도 하였다. * 태국에서 선수 생활을 할 당시 현지에서 선교사 활동을 했을 만큼 독실한 [[개신교]] 신자라고 한다. * [[경남 FC]]에 [[1997년]]생 선수 [[김영근(1997년)|김영근]]이 [[동명이인]]으로 있다. * 경남 전력강화실장으로 부임한 이후에도 [[대전 하나 시티즌]] 홈경기 때 자주 모습을 보인다. * 유년시절 축구가 너무 좋아서 축구부에 들어갔는데, 부모님이 반에서 10등 안에 들지 못하면 축구부를 못하게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축구부를 하면서도 공부도 열심히 하여 우수한 성적을 항상 유지해야했다. == 관련 문서 == * [[축구 해외파 선수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태완, version=218)]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1978년 출생]][[분류:이천시 출신 인물]][[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은퇴, 이적]][[분류:경남 FC/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