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 rd1=김영욱(동명이인))] [include(틀:대전 하나 시티즌/로스터/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영욱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include(틀: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영욱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7ac;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4.2|{{{#ffffff '''2020 K리그2 도움왕'''}}}]]}}}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7ac; font-size: 0.9em" [[틀:2020 K리그2 베스트 11|{{{#ffffff '''2020 K리그2 베스트 11'''}}}]]}}}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전 김영욱 23시즌.png|width=100%]]}}} || ||<-2> '''{{{#ffffff 대전 하나 시티즌 No. 14}}}''' || ||<-2> '''{{{#ffe900 {{{+1 김영욱}}}[br]金泳旭 | Kim Young-Wook}}}''' || || '''출생''' ||[[1991년]] [[4월 29일]] ([age(1991-04-29)]세) [br][[전라북도]] [[김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77cm, 70kg || ||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라이트백]] || || '''등번호''' ||'''14번''' || || '''학력''' ||이리동초 - [[광양제철중학교|광양제철중]] - [[광양제철고등학교|광양제철고]] || || '''프로 입단''' ||[[2010년]] [[전남 드래곤즈]] || || '''소속 구단''' ||'''[[전남 드래곤즈]] (2010~2019)'''[br][[제주 유나이티드 FC]] (2020~2021)[br][[대전 하나 시티즌]] (2022~ ) || || '''국가대표''' ||12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11~2014)^^ || || '''병역'''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병역 특례]][*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ffa500 '''금메달'''}}}] || || '''가족''' ||[[아내]] 옥은아 || || '''서명''' ||[[파일:김영욱서명.png|height=8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전남 드래곤즈]] === 전남의 탄탄한 유소년 체계가 육성해 낸 여러 유망주 중 한 명으로 [[광양제철고]] 시절 [[지동원]], [[황도연]], [[이호석(축구선수)|이호석]] 등과 동기였다. 팀을 [[K리그 주니어|고교 클럽 챌린지 리그]] 준우승,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으로 이끈 주역으로 '''대회 최우수 선수'''에도 선정, 자연스럽게 졸업과 동시에 전남에 곧바로 입단했다. 그러나 동기인 [[지동원]]이 데뷔하자마자 주전 공격수로 급부상하며 신인왕 경쟁을 벌이는 동안 김영욱은 출전 기회를 잡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2010 시즌에는 4경기 교체 출장에 그친다. 2011 시즌에는 [[FC 서울]]과의 홈경기에서 왼발 대포알 중거리슛으로 성인 무대 데뷔골을 신고했다. 이후로도 점점 출전 기회를 늘리며 전남 중원의 핵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다가 2017년 9월 5억원 가량의 [[바이아웃]]으로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알 아흘리 클럽]]으로 이적하게 되었다는 기사가 났는데,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3152766&redirect=true|#]] 이후 알 아흘리 측에서 김영욱의 대체 선수로 [[시리아]]의 미드필더 아이아스 아오스만을 대신 영입하며 전남에 잔류하게 되었다.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556820|#]] 전남 입장에서는 김영욱을 팀의 장기적인 [[프랜차이즈 선수]]로 계속 키울 수 있고, 설령 또 이적하게 되더라도 그때까지 바이아웃을 조절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되니 오히려 이적이 불발된 것이 다행일지도. 그리고 전남과의 계약을 2020년까지 연장했다. [[http://naver.me/xB2dfpJX|#]] 그러나 전남이 2018년 [[K리그 2]]로 강등되면서 앞날이 다소 불투명해진 상황. 2018시즌 소속팀 전남은 기업구단 최초로 다이렉트 강등이라는 수모를 당하게 되고 이로 인해 K리그 모든 팬들은 김영욱의 행방에 시선이 쏠려있다. 2017년부터 그를 원했던 팀은 다름아닌 [[최순호]] 감독이 이끄는 [[포항 스틸러스]] 구단이다. 하지만 모기업간의 선수들 이동, 즉 내부거래가 발생한 계기로 결국 최순호 감독이 원하는 김영욱 영입은 물건너가버렸다. 그리고 시무식 사진에 최효진 옆 자리에 앉은 김영욱 선수가 있어 2019시즌에도 잔류하게 되었다. 하지만 [[허용준]] 선수는 안데르센 감독이 있는 인천으로 이적했다. 2019 시즌 3월 23일 이전의 김영욱의 기량보다는 살짝 못 미치는 활약을 보여주고 있고 2라운드 [[대전시티즌]]과의 경기에서 부상 당하며 3라운드 [[FC 안양]]과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김영욱이 빨리 이전 기량을 찾는것이 팀에게도 도움이 될 듯 === [[제주 유나이티드 FC]] === [[파일:0004269634_001_20200908121518451.jpg]] 2020년 1월 9일,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 [[https://www.jeju-utd.com/jjboard/board_view.asp?bgbn=N010&b_seq=7858|#]] 이 이적과 관련하여 김영욱 선수 본인은 전남에 남고 싶어 했으나 전남 구단 수뇌부에서 돈만 보고 이적시켰다는 루머가 매우 크게 일고 있는 상황이라 SNS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4라운드 부천과의 경기에서 주민규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다. 6라운드 수원 FC전에서 멋진 헤딩골을 터트렸다. 9라운드 안양전에서 홀로 수비라인에서 패널티라인까지 홀로 드리블하며 상대 수비진을 박살낸 이후 공민현에게 넘겨주며 어시스트를 하나 기록했다. 17라운드 안양전에서 완벽한 스루패스로 [[이동률]]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다. 18라운드 경남전에서 코너킥만으로 어시스트 두 개를 기록했다. 22라운드 안양전에서도 어시스트 두 개를 기록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23경기 1골 7도움. '''2020시즌 하나원큐 K리그2 최다도움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소속팀 제주는 리그 우승으로 1부리그 승격을 확정지었다. 2021년 5월 12일의 [[K리그1]] 15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전에서는 후반 34분에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했다. 11월 6일 리그 35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리매치에서는 후반 30분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의 두번째 골을 크로스로 어시스트했다. 2021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26경기 출전 3도움. 21시즌 종료 후 [[이창근]], 권한진 같이 [[대전 하나 시티즌]]으로 트레이드 된다고 보도되었다.[[http://naver.me/5FlEUs1G|#]] 사실 이번 트레이드는 김영욱에게 있어서는 사실상 불가피한 이적인데, 2022시즌을 앞두고 제주 허리진에 최영준과 윤빛가람이 가세하면서 팀내 입지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 [[대전 하나 시티즌]] === 2022년 1월 11일, [[이창근]], [[권한진]]과 함께 [[K리그2]]의 [[대전 하나 시티즌]]으로 이적했다. ==== [[대전 하나 시티즌/2022년|2022시즌]] ==== [[파일:Honeycam_2022-03-01_12-11-48.gif]] [[광주 FC]]와의 리그 첫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으나, 패널티 박스안에서 상대가 공격해오는 과정에서 볼을 확실하게 걷어내지 못한채 볼을 권한진에게 패스했고, 권한진은 김영욱의 패스를 예상치 못했을 것이고 이 과정에서 헤이스가 적극적으로 달라붙으며 권한진이 파울을 범해 결국 PK를 내주고 말았다. 두 선수가 작년 제주에서 동료였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아쉬운 조직력이었고, 결국 대전은 2:0으로 패했다. 애초에 중원에서 싸워주고 볼을 뿌려주는 박진섭의 공백을 메우고자 영입한 것이 김영욱이었는데, 박진섭은 원볼란치가 가능하여 이민성 축구의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영욱은 원래도 수비형 미드필더가 아닌 점도 감안해야 하고 이 선수가 혼자 포백을 보호하는 역할이 아니었기에 이러한 역할에는 적합해 보이지 않았다. 연이은 [[부산 아이파크]]전에서는 임덕근의 기용으로 김영욱의 수비 부담이 비교적 줄어들며 광주전보다는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부상으로 오랜 기간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다 5월 9일 [[김포 FC]]전에서 간만에 선발출장해 조유민의 골을 어시스트해내며 시즌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한편 이종현 외에 마땅한 라이트백 지원이 없자 킥능력이 좋은 김영욱이 라이트백으로도 기용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부상을 이유로 생각보다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고, 22시즌 정규리그에서 13경기 1도움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 [[대전 하나 시티즌/2023년|2023시즌]] ==== 2023시즌을 앞두고 태국 전지훈련 캠프에 합류하며 2023시즌에도 대전 소속으로 경기를 누비게 되었다. [[파일:2d6b153e6e37463db82bef261d6cff84_333053771_2457727207724464_9113042088076215409_n.jpg]] 2월 26일 [[강원 FC]]와의 홈 개막전에서 후반 막판 교체 출장, 리그 통산 3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R 인천 원정에서 부상 당한 [[이현식]]을 대신해 선발 출전했지만 인상적인 활약은 보여주지 못한채 58분에 아웃됐다. == 국가대표 경력 == [[파일:/image/413/2014/09/23/SK001_20140923_590801_99_20140923162906.jpg]] 2010년 [[이광종]] 감독이 이끄는 [[이광종호|청소년 대표팀]]에 소집되어 AFC U-19 선수권에 주전으로 출전하였고 [[FIFA U-20 월드컵]] 본선진출에 큰 기여를 한다. 특히 [[한일전]]으로 열린 8강전에서 공중볼을 경합하다 상대선수와 충돌로 머리에 열상을 입었는데, 응급조치로 머리에 붕대를 싸매고 다시 경기장으로 돌아오더니 갑자기 투지가 충만한 플레이로 혼자서 일본 중원을 휩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때의 활약에 깊은 인상을 받은 팬들은 김영욱에게 '''붕스체라노'''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 원래 김영욱은 공을 예쁘게 차는 플레이메이커형 선수로 많이 알려져 있던 터라 더 화제가 되었다. [[콜롬비아]]에서 열린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하여 전 경기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프랑스전에서는 30m 가량 되는 먼 거리에서 멋진 프리킥 골도 보여주었다. 이 골은 FIFA에 의해 대회 베스트 골 6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http://www.youtube.com/watch?v=cB92kiNbKzs|1분 33초쯤부터 나온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여기서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병역면제]]까지 얻었다. 그러나 성인 대표팀과는 아직 인연이 없다. == 플레이 스타일 == 미들지역에서 패스를 통한 전방으로의 연계능력이 준수하고 경기경험이 많기에 노련한 플레이를 통한 중원장악력이 뛰어나다. == 여담 == * [[2020년]] [[제주 유나이티드 FC]]에는 김영욱이란 이름의 선수가 두명이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김영욱(2000)|김영욱]]은 이후 김영욱의 전 소속팀인 전남으로 이적해버렸다. * 2022년 대전 구단 유튜브에 따르면 [[no:ze|노제]]를 최근까지 몰랐다고 한다. [[분류:1991년 출생]][[분류:김제시 출신 인물]][[분류:이리동초등학교 출신]][[분류:광양제철중학교 출신]][[분류:광양제철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라이트백]][[분류:전남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대전 하나 시티즌/현역]][[분류:K리그2 도움왕]][[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축구]][[분류:대한민국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1 FIFA U-20 월드컵 콜롬비아 참가 선수]][[분류:2014 AFC U-22 챔피언십 오만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