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김영조}}}[br]金榮照'''}}} || || '''창씨개명''' ||가네다 유이치[br]金田榮一 || ||<|2> '''출생''' ||[[1923년]] [[8월 11일]] || ||[[경상남도]] [[울산군]][br](現 [[경상남도]] [[울주군]]) || || '''사망''' ||[[2004년]] [[5월 4일]] || || '''학력''' ||부산제2상업학교 {{{-2 (재학)}}} || || '''서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3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923년 5월 4일 [[경상남도]] [[울산군]]에서 태어났다. 1940년 11월 23일 부산제2상업학교 재학 중 전시동원 준비 체육행사인 경남학도전력증강 국방경기대회에서 부정심판으로 일본인 학교를 우승시킨 민족 차별적 행위를 일삼은 해당 대회의 심판장이자 경남지구 위수사령관였던 일본군 장교 노다이 겐지를 구타하고 관저를 파괴하다가 퇴학 처분 및 징역 8개월을 선고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3년 김영조와 그의 손녀 최경아 씨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울주군 출신 인물]][[분류:1923년 출생]][[분류:2004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