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강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1번}}}''' || || 손용수[br](2005) || {{{+1 →}}} || '''{{{#fff 김용강[br](2006)}}}''' || {{{+1 →}}} || [[양성제]][br](2007~2009) || }}} || ||<-2> '''{{{+2 김용강}}}[br]金勇剛''' || || '''일본명''' ||[ruby(天野, ruby=あまの)] [ruby(勇剛, ruby=ゆうご)] (아마노 유우고) || || '''등록명''' ||[ruby(天野, ruby=あまの)] [ruby(勇剛, ruby=ゆうご)] (아마노 유우고, 1996~2001)[br]ユウゴー (유우고, 2002~2005)[br]김용강 (2006) || ||<|2> '''출생''' ||[[1977년]] [[12월 11일]] ([age(1977-12-11)]세) || ||[[일본]] 미야기 현 센다이 시 미야기노 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센타이쿠에고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1995년 드래프트 7라운드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 || || '''소속팀''' ||[[치바 롯데 마린즈]] (1996~2005)[br][[롯데 자이언츠]] (2006) || [목차] [Clearfix] [youtube(GvqedpluIPY)] == 개요 == [[재일 한국인]] 출신의 前 프로 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1994년 여름·1995년 봄·여름의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에 출전했고 2학년까지는 내야수(주로 유격수)로 활동해 왔으나 3학년부터 투수로 전향해서 활동한 적이 있었다. 1995년 드래프트 7위[* 그의 동기는 [[야부타 야스히코]]로 그는 드래프트 2위로 입단해서 롯데의 핵심 불펜으로 활약한 뒤 200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의 [[캔자스시티 로얄즈]]에서 2년을 뛴 후 다시 복귀하여 2013년에 은퇴했다.]로 치바 롯데에 입단했는데 처음에는 [[투수]]로서 입단했지만, 얼마 가지 않아 바로 [[내야수]]로 전향했다.[* 입단 이후에도 포지션이 자주 바뀌는 바람에 '''9개의 포지션을 모두 경험한 보기 드문 선수'''가 되기도 했다.] 팀 내에서는 호타준족형 파워타자로 기대했지만 1군에 데뷔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렸다.[* 그래도 2군에선 2년차부터 4번 타자를 하며 통산 50홈런을 넘기기도 했고 심지어 1999년 9월에 월간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2군에서의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1999년 9월 29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26차전에서 7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전해 드디어 1군 데뷔를 하게 됐는데 2회말 2사 주자 없이 [[마쓰자카 다이스케]]로부터 펜스에 맞은 우측 방면 2루타를 친 것을 시작으로 다음 날인 9월 30일 세이부 27차전의 8회말 2사 주자 3루에서 타니나카 신지에게 3루수를 뚫는 1타점 적시 2루타로 첫 타점을 얻더니 10월 2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27차전의 2회말 2사 주자 1루에서 라파엘 오렐라노로부터 우측으로 밀어쳐서 선제 투런 홈런을 날리는 등 '''단 세 경기만에''' 다음 시즌을 기대할 수 있는 활약을 했다. 그러나 그런 좋은 활약을 했음에도 다음 해인 2000년부터 10타수도 안 되는 출전으로 기회를 많이 받지 못했고 그마저도 매 해 2삼진만 기록하는 등 아무 것도 해보지 못한 채 시즌을 넘기기만 하다가 결국 2005년에 전력외 통고를 받아 롯데를 떠났다. 그러다가 2005년 12월 19일에 [[사직 야구장]]에서 이틀간 입단 테스트를 받으며 합격점을 받아 연봉 800만엔의 계약을 체결하고 [[롯데 자이언츠|한국 롯데]]에 입단했다.[* 일본에 있었을 땐 등번호를 66번만 달다가 한국에 와서 31번으로 바꿔 달았다.] 롯데는 김용강 이전에 [[홍문종(야구)|홍문종]]이 한국에서 성공을 한 적이 있어서 팀에서 내심 기대를 했지만 적응하는 데에 실패해 오히려 제2의 김행희[* 1966년생, 좌투좌타 외야수, 일본프로야구 경력은 없으며 1992년 한국프로야구에서 3경기 1타수 무안타라는 초라한 성적을 내고 일본으로 돌아갔다.]가 되어 1군 출장 없이 은퇴를 하고 말았다. == 은퇴 후 == 2007년에는 일본으로 귀국해 자신의 취미를 살려 종합 격투기 단체인 MARS[* 이 격투기 단체는 다른 단체에 비해 한국인 격투기 선수를 전문적으로 키우는 곳으로 송언식, [[배명호]], 김승수, 박원식도 이 단체에 속한 적이 있었다. 덧붙여 친형인 김용기(아마노 유우키, 天野勇気)도 이 곳에서 일하고 있었다. 동생인 김용강은 링 아나운서도 겸했다고.]의 대표로 취임한 적이 있었다. MARS의 활동 중단 이후 YG 프로모션의 프로듀서와 Sports Authority[* [[미국]] [[콜로라도 주]] 잉글우드에 본사가 있는 스포츠 용품매장.] 빈즈아카바네점의 어드바이저를 거쳐[* 이 때 어드바이저로 일하는 동안 무료 야구교실을 열어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기도 했다.[[https://twitter.com/yugoh6631/status/728021193484210176|당시의 광고지]]] 2018년에는 도쿄 가부키쵸에 가라오케&다트바를 개업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미야기노구 출신 인물]][[분류:1977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2006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재일교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치바 롯데 마린즈/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