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라남도지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d00 0%, #ffcd00 20%, #ffcd00 80%, #ffcd00)" '''[[전라남도지사|{{{#000000 제13대 전라남도지사}}}]][br]{{{#000000 {{{+1 김용관}}}[br]金容寬 | Kim Yong-kwa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용관.jpg|width=100%]]}}} || ||<|2> '''출생''' ||[[1926년]] [[1월 5일]] || ||[[전라남도]] [[장흥군]] || ||<|2> '''사망''' ||[[1971년]] [[4월 3일]] (향년 45세) || ||[[국군수도병원]] || ||<|2> '''재임기간''' ||제13대 전라남도지사 || ||[[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육군보병학교]] {{{-2 (졸업)}}} || || '''경력''' ||관선 전라남도지사[br]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br]38사단장[br]주월한국군사령부 부사령관 || || '''서훈''' ||[[보국훈장]] 국선장 추서[br][[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5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48년 ~ 1971년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2 (대한민국 육군)}}} || || '''참전''' ||[[6.25 전쟁]][br][[베트남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제13대 [[전라남도지사]].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 추서. == 생애 == 1926년 1월 5일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일본 유학길에 올라 학업을 하던 중, 1943년 산둥성으로 망명하여 해당 지역 조직책인 조동린과 접촉해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광복군 입대 후 중국 유격여단에 배속되어 유격전을 수행하였고, 1945년 6월 [[김영일(1925)|김영일]], [[이창도]]와 함께 OSS 훈련에 참가하였다. 해방 후 [[김국주]], [[김병학(1922)|김병학]], 김영일과 함께 광복군 방부지구특파단에 파견되어 교포들의 치안 도모 및 귀국을 주선하였고, 귀국 후 [[육군사관학교]] 5기로 임관하였다. [[6.25 전쟁]]에 대대장, 부연대장으로 참전하여 무공을 세웠고, [[5.16 군사정변]]에 참가하였다. [[1963년]] 1월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고, 동년 [[7월 23일]] 전라남도지사에 취임하였다. [[12월 13일]] 민정이양을 앞두고 원대 복귀하여 육군본부 참모부 편제처장에 임명되었고, [[1965년]]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제38보병사단|38사단장]]을 역임했다. [[1969년]] 육군 [[소장(계급)|소장]]에 진급했고, 군 특명검열단 부단장으로 [[1.21 사태]] 후 군 편제 현대화 및 향토예비군 창설에 기여하였고, [[1970년]] [[베트남 전쟁/한국군|주월한국군사령부]] 작전 부사령관에 임명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하지만 재직 도중 위암이 발견되어 [[1971년]] 1월 주월한국군 부사령관 직을 넘기고 귀국해 [[국군통합수도병원]]에서 치료 받던 중 동년 4월 3일 사망하였다. 사망 직후 [[보국훈장]] 국선장,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여담 == * 광복군 김문택 수기에 따르면 광복군 활동 당시 [[김문택]]이 김용관과 부양현 호수를 산책하던 중 한 여인이 같이 보트에 타자고 재촉하자 보트에 타기 위해 호수에 들어가려 했는데 김용관이 김문택을 붙잡자 보트와 여인은 사라지고 정신이 들었다고 한다. 다음 날 호수에 한 여인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이 일을 들어 실제로 귀신이 들렸는지 갑론을박이 있었다고 한다.[[https://m.blog.naver.com/msta8793/222386708184|#]] == 참고자료 == 독립유공자 공훈록 독립운동사 제6권 412, 507, 551쪽 [[https://m.cafe.daum.net/tamjinforum/2yHO/106|장흥의 별 김용관 장군]]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분류:한국광복군/군인]] [[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 [[분류:6.25 전쟁/군인]] [[분류:전라남도지사]] [[분류:베트남 전쟁/군인]] [[분류:1926년 출생]] [[분류:1971년 사망]] [[분류:위암으로 죽은 인물]] [[분류:건국훈장 애족장]] [[분류:장흥군 출신 인물]] [[분류:군인 출신 정치인]] [[분류:박정희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