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e5e5e5 김용식의 수상 및 영예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L 역대 식스맨상)] ---- [include(틀:수원 kt 소닉붐/주장)] }}} || ||<-2>
[[파일:김용식.jpg]] || || '''이름''' || 김용식(金容植) || || '''생년월일''' || [[1973년]] [[6월 7일]] ([age(1973-06-07)]세) || || '''출신학교''' || [[동아고등학교]] - [[건국대학교]] || || '''포지션''' || [[슈팅 가드]] || || '''신체 사이즈''' || 187cm || || '''프로입단''' || 1996년 [[부산 kt 소닉붐|기업은행]] 입단 || || '''소속팀''' || [[부산 kt 소닉붐|기업은행]] (1996) [br] [[수원 kt 소닉붐|광주 나산-광주/여수 골드뱅크-여수/부산 코리아텐더-부산 KTF]] (1997~2004) || || '''지도자 생활''' || [[부산 kt 소닉붐|부산 KTF 매직윙스]] 코치 (2003~2009) [br] 중국 [[지린성]] 청소년대표팀 감독 (2012~2017) [br] 중국 [[CBA(농구)|CBA]] 지린 GBT 노스이스트 타이거즈 감독 (2017~현재) || || '''수상경력''' || KBL 우수후보선수상 1회 (1998) || [목차] == 개요 == 한국의 전 농구 선수이자 현 중국프로농구(CBA) 감독. == 선수 시절 == 부산동아고 3학년 때 [[허남영]](197cm, C, 중앙대 졸)과 콤비로 활약하며 추계연맹전 우승을 따냈다. [[건국대학교|건국대]] 진학 후 저학년 때엔 장신 자원이 드문 팀 사정상 나름 장신이었던 김용식이 골밑 수비까지 맡는 경우가 많았고, 94학번 후배 [[변청운]], [[황문용]]이 입학한 뒤 원 포지션으로 복귀, 90년대 중반 당시 당시 보기드문 장신 가드로서 활약하며 팀의 에이스 [[정진영(농구)|정진영]]과 함께 팀을 [[1994-95 농구대잔치|농구대잔치]]에 진출시킨다.[* 하지만 건국대는 14팀 중 최하위에 그친다.] 기업은행과 고난의 나골코 시절 군복무 기간을 제외하고 박상욱(200cm,C), 이병률(196cm,C)과 함께 묵묵히 팀을 지켜온, 클러치 상황에 강했던 장거리 슈터였다. 커리어 대부분 식스맨으로 뛰었으며 특히 1997-98 시즌에는 '''우수 후보선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군복무 복귀한 팀이 3년간 하위권에만 머물고(9위 → 8위 → 7위), 재정난으로 훈련장소도 없는 상황에서도 팀의 최고참으로서 후배 선수들을 이끌었고, 02-03 시즌엔 플레잉코치로 뛰며 "헝그리군단" 여수 코리아텐더의 플레이오프 4강 진출에 공헌한다. 2003-04 시즌 도중 팀이 KTF로 매각된 직후 은퇴했다. == 지도자 시절 == 은퇴 시즌부터 [[2009년]]까지 [[부산 kt 소닉붐|부산 KTF]] 코치로 [[추일승]] 감독을 보좌하였다. 이후 미국에 지도자 유학을 다녀온 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 [[지린성]] 청소년 대표팀 감독을 맡아, 팀이 중국 청소년 체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게 했고, 이를 바탕으로 2017년 7월, 중국 [[CBA(농구)|CBA]]의 지린 GBT 노스이스트 타이거즈의 감독에 부임했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73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동아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