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회운동가, rd1=김용현(1953),other2=가수,rd2=김용현(1996),other3=코미디언,rd3=김용현(코미디언))] [include(틀:역대 대통령경호처장)] ---- || {{{#fff '''김용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수도방위사령관)] }}} || ---- ||<-2> '''[[대통령경호처장|{{{#fff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경호처장}}}]][br]{{{+1 김용현}}}[br]金龍顯 | Kim Yong-h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_김용현 대통령경호처장.jpg|width=100%]]}}} || ||<|2> '''출생''' ||[[1959년]] ([age(1959-01-01)]세)|| ||[[경상남도]] [[마산합포구|마산시]]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현직''' ||[[대통령경호처장]] || ||<#083388><|2> '''재임기간''' ||제19대 [[대통령경호처장]]|| ||[[2022년]] [[5월 10일]] ~ 현직||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충암고등학교]] {{{-2 (졸업 / 7회)}}} || || '''약력''' ||윤석열 예비후보 외교·안보 정책자문위원[br][[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청와대개혁TF 부팀장 || ||<-2> '''군사 경력''' || ||<|2> '''복무''' ||<(> [[대한민국 육군]]|| ||[[1982년]] ~ [[2017년]]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38기)}}}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주요 보직''' ||[[수도방위사령관]][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br][[제17보병사단]]장[br][[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비서실장[br][[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장성으로 최종 보직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다.[* [[신원식]] 중장(육사 37기) - [[엄기학]] 중장(육사 37기) - 김용현 중장(육사 38기) 순으로 합참 작전본부장 보직을 역임했으며 이중 엄기학 중장은 대장진급에 성공했다. 합참 작전 보직들인 합동작전과장(대령), 작전1처장(준장), 작전부장(소장), 작전본부장(중장)은 진급 가능성이 높은 [[요직]]이며 주로 육사 출신들이 보임한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대통령경호처장]]이다. == 생애 == [[1959년]] [[창원시|마산]] 출생으로 서울 [[충암고등학교]][* 7회 졸업생으로, 예비역 대장인 [[김영식(군인)|김영식]]장군의 고교-육사 1년 후배다. [[윤석열]] 대통령의 1년 선배이기도 하다.]를 거쳐 [[1978년]] [[육군사관학교]] 38기로 입교했고 [[1982년]]에 졸업과 동시에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육사 동기로는 [[임호영]], [[위승호]], [[조성직]], [[최병로]], [[조현천]]등이 있다. 졸업할 때 [[육군사관학교장]]상을 받았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4070023911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4-07&officeId=00023&pageNo=11&printNo=18770&publishType=00010|당시 기사]]] == 주요 직위 == * '''대령''' *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 '''준장'''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비서실장]] * [[제1야전군사령부]] 관리처장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참모|작전처장]] * '''소장''' * [[제17보병사단]]장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합참 작전부장(소장)과 합참 작전본부장(중장)보직을 모두 역임한 장군은 [[엄기학]](육사 37기) [[제3야전군사령관]], [[서욱]](육사 41기)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전동진(군인)|전동진]](육사 45기) 현 [[지상작전사령관]] 등이 있다.] * '''중장''' {{{-2 2013년 10월 1차 진급}}} * [[수도방위사령관]] {{{-2 (2013.10 ~ 2015.10)}}}[* 일반적으로 군단장급 지휘관의 임기는 1년 6개월이나, 전임 [[수도방위사령부|수도방위사령관]]인 [[신원식]] 중장이 임기를 채 1년도 채우지 않고 합참 작전본부장으로 이임하는 바람에 김용현 중장이 수방사령관을 2년간 역임하였다. 육사 38기 중 유일하게 1차로 중장 진급을 했는데, 통상적으로 한 기수에 2~3명이 1차로 중장 진급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박근혜 정부]] 시절 박지만의 동기생들인 육사 37기가 이례적으로 8명이나 중장으로 진급하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다음 진급기수인 38기가 불이익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육사 한기수당 중장 진급자는 적으면 5명, 많으면 7명 수준이다.]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 (2015.10 ~ 2017.09)}}}[* 2015년 5월 수방사 예하 부대인 [[제52보병사단]] 백마연대에서 발생한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해 육사 38기 선두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대장 진급은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그 우려를 무릅쓰고 동년 10월 27일 후반기 장군 정기인사에서 대장 진급의 지름길로 손꼽히는 자리인 합참 작전본부장으로 임명되었다. 현역이 아닌 예비역이 저지른 사고라는 점을 감안했던 듯하다.] * '''전역''' {{{-2 2017년 9월}}} * [[대통령경호처장]] {{{-2 2022년 5월}}}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로 2013년 10월 육사 38기 중에선 단독으로 중장 1차 진급을 한 최고 선두주자에다 중장 보직도 수방사령관-합참 작전본부장이라는 최고 알짜 보직을 맡았기에 대장 진급 최유력 후보군으로 꼽혔다. 그러나 2016년 9월 19일 군 인사에서 중장 3차 진급자인 동기 [[임호영]]이 대장 진급과 함께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에 취임하여 대장 1차 진급은 물을 먹게 되었다.[* 물론 임호영 장군도 5군단장과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을 거쳤기에 커리어가 많이 밀리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 계급 1차 진급을 한 김용현 중장에 비하면 진급 시기가 한참 밀렸기 때문에 의외로 보일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합참 작전본부장은 수십년간 '''대장 진급 1순위''' 보직으로 당연시돠던 자리이기에 더더욱.]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군 장성 인사에서 종종 있던 특수한 일의 범위라[* 최초 해군출신 합참의장이나 3사 출신 합참의장이 모두 박근혜 정부에서 나왔다. 특히 [[최윤희(군인)|최윤희]] 해군 대장 후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인선에서 누구나 육사 출신에다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었던 [[박선우(군인)|박선우]] 육군 대장이 합동참모의장에 취임할 것이라 생각했으나, 정작 임명된 사람은 3사 출신이자 상대적으로 [[한직]]으로 평가받는 [[제2작전사령관]]을 맡고 있던 [[이순진]] 육군 대장이었다. 여담으로 17사단장시절에도 직속상관이었던 수도군단장이 이순진 중장이었다.] 다음 번 인사에서 대장 2차 진급으로 구제될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보였다.육사 38기에선 아직 1~2명 더 진급 가능성이 있었으므로.[* 통상 대장 2, 3차 보직인 합참의장과 참모총장, 이미 [[임호영]] 장군이 임명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보직을 제외하면 [[야전군사령관]] 3자리가 남는다. 이순진 합참의장과 장준규 참모총장이 1년 반 정도를 재임했으니 교체가 후속인사에서 예정된 만큼 김용현 중장의 진급 가능성이 보였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2017년 8월 8일 단행된 대장 인사에서 [[정경두]] 공군참모총장(공사 30기 = 육사 38기 = 82년 임관 기수)이 제40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에 내정[* 합참의장은 청문회 대상이다.]되었고, 한 기수 아래인 [[김용우(1961)|김용우]](육사 39기)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이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면서 합참 작전본부장을 끝으로 군복을 벗게 되었다. 그러나 후임자가 바로 정해지지 않았고, 또한 당시 북한 도발 등 대북 변수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보직에 그대로 남아 두 달 가량 작전 총괄 업무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2017년 9월 26일에서야 후임자[* 당시 1군단장을 맡고 있던 육사 41기의 [[서욱]] 중장으로 2019년 4월 대장 진급 및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다가 2020년 9월 전역 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으로 취임하였다.]가 정해지면서 물러났다. 당시 인사로 인해 육사 39기인 김용우 총장을 제외한 육사 37기 38기 39기등 무려 세 기수들이 한꺼번에 군복을 벗게 되었으며[* 다만 39기인 [[김완태(군인)|김완태]]와 [[제갈용준]]은 2차 보직을 임명받았다.], 육사 출신 중심의 군체계에 대한 대대적 수술과 함께 육군의 인사적체 해소에도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육사 38기는 39기와 함께 대장을 1명씩만 배출한 비운의 기수가 되었다. 전역 4년 후인 2021년 8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대선캠프인 국민캠프의 외교/안보 정책자문단에 [[김황록]] 전 [[국방정보본부장]] 등과 함께 영입되었다. 윤 총장과는 충암고 1년 선후배 관계다.[* 윤석열은 충암고 8회, 김용현은 충암고 7회 - 육사 38기이며 가까운 사이로 군사 관련 조언을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식 대장은 충암고 6회 - 육사 37기다.][* 윤석열 캠프에 합류한 장성급 인사로 [[김용우(1961)|김용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육사 39기), [[이왕근]] 前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공사 31기), [[최병혁]]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육사 41기), [[전진구]] 前 [[해병대사령관]](해사 39기)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한 인사다.] [[윤석열 정부]]의 가장 유력한 [[국방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대통령 경호처장 물망에 올라있다. 과거 17사단장 시절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건과 관련해 반드시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하는 국방장관 대신 경호처장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이야기가 국방부 주변에서 돌았고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정부]]의 첫 [[대통령경호처장]]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11월 [[김규현(외교관)|김규현]] [[국가정보원장|국정원장]]의 후임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6255|#]] == 논란 == === 17사단 육군 병장 익사 사건조작 무고 논란 === [[제17보병사단#s-7]] 2011년 8월 육군 병장 익사 사건 조작 의혹 사건 참고 === "청와대 역겹다" 발언 논란 === 2022년 3월 22일 집무실 이전에 대한 안보 공백을 우려한 청와대의 입장을 두고 '북한의 도발은 한번도 도발이라 못하고 NSC(국가안보보장회의)도 소집 안 하고서는 안보 운운하는 것이 역겹다'는 요지의 발언을 해서 논란이 일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726679|#]] 원문은 다음과 같다. >◆ 김용현> 네. 앞으로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것은 저도 충분히 공감이 되고요. 그동안 사실 수십 차례의 미사일 발사를 통해서, 도발을 통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부가 도발을 도발이라 말하지 않았지 않습니까? 어떠한 대응도 내놓지 않았습니다. 그런 어떤 안보 위기상황에서도 NSC를 연 적도 없는 그분들이 어느 날 갑자기 방사포 있지도 않은, 잘 확인도 안 되는 방사포 쐈다고 갑자기 NSC를 소집하고 안보 운운하는 이 자체가 굉장히 저는 역겹습니다. 좀. 이건 아닌 것 같아요. > >◇ 김현정> 지금 표현이… > >◆ 김용현> 안보 공백이 있다 그러면 분명히 어떤 안보 공백이 있는지를 얘기해야 되는 거 아닙니까? 아무런 얘기도 없이, 근거도 없이 안보 공백이 있다고 그러는데요. 국방부청사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하는 과정에서 군사 대비태세의 핵심부서가 합참입니다. 합참은 이전하지 않습니다. 그대로 그 위치에서 현재의 대비태세를 유지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안보 공백을 운운하면서 국민들께 불안감을 조성해서 호도하는 이 자체가 그들이 지금까지 해 왔던 그 행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 정부가 해야 될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임무가 뭡니까? 원활한 업무 인계 아니겠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있지도 않은 안보 공백을 운운하면서 이렇게 자꾸 새 정부 정책에 대해서, 출발에 대해서 이렇게 방해를 하는 그런 행위는 어떻게 보면 국민의 뜻을 좀 저버리는 건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 >◇ 김현정> 팀장님, 지금 NSC를 한 번도 열지 않았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부분은 NSC은 그동안 열었었죠, 문재인 정부에서. > >◆ 김용현> NSC를 열지 않았다는 게 아니고요. 그들이 도발을, 미사일을 발사 위협은 굉장히 우리 국민들에게 큰 위협이거든요. 그런데 그 전 세계적인 국제사회에서도 도발이라고 하는데 이 정부는 한 번도 도발이라는 표현을 안 했지 않습니까?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초반이자 남북정상회담 전인 2017년 7월 4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주재한 NSC에서 북한의 도발이란 표현을 사용한 바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ifM3_N_wL8|#]] 같은 해 9월 핵실험 때에도 그러했다. 그러다 남북정상회담 이후로는 자극을 피하기 위함이라는 명분으로 북한의 미사일이나 방사포 발사에 대해 도발이란 표현은 사용을 자제하고 미사일이나 방사포 발사를 '미상 발사체' 또는 '불상 발사체'(두 표현 모두 미사일 또는 방사포인지 알 수 없다는 뜻)라 칭하는 사례가 많아진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604435|#]] 문재인 정부의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국가안전보장회의)]] 소집 현황을 보면 일단 북한의 군사적 행동이나 우크라이나 사태 등 세계 정세에 따라 지속적으로 NSC를 소집했으며[[https://imnews.imbc.com/news/2022/politics/article/6343738_35666.html|#]][[http://news.imaeil.com/Politics/2019100209554872793|#]] 해당 발언을 하기 바로 이틀 전인 3월 20일에도 북한의 방사포 발사에 국가안보실 1차장 주재로 NSC를 소집했다.[[https://imnews.imbc.com/news/2022/politics/article/6345362_35666.html|#]] 주재 현황을 보면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청와대가 북한 도발 등으로 긴급 NSC 및 관계장관회의를 연 것은 총 64번이며, 이 중 문 대통령은 17번의 회의를 주재했다(26.6%). 나머지는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했다.[[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20323/112480866/1|#]] === 국방부 인사 개입 논란 === 윤석열 대통령의 고교 1년선배이고 윤석열을 처음 만날 당시 충암고등학교 학도호국단장이었다고 한다. 육사 입학 후 연락이 끊겼다가 동문회 주소록을 통해 전화로 안부 정도 챙기던 사이였다고 한다. 군생활을 마치고 2017년 전역 후엔 가끔 만나서 술 마시는 사이가 되었고 2020년 윤석열이 검찰총장 시절에는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하여 여러 군 출신 유력인사를 소개받게 되었다. 그리고 윤석열이 대선후보가 되자 학연을 배제해야 한다고 거절하였으나 여러 번 권유받은 끝에 캠프 인사가 되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9074#home|관련기사]] 이런 인연 때문에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이후 청와대 이전 TF 부팀장과 경호처장으로 대통령의 측근이 되었는데 2022년 10월 본인과 가까운 사이이고 이종섭 국방부장관과 윤석열 후보 캠프의 국방정책자문단 8인으로 활동했던 예비역 준장 조모씨를 2022년 8월 공석이 된 국방부 인사기획관에 내정하려 했다는 의혹이 생겼다. 이때 국방정책자문단을 이끌던 인물이 김용현이었기 때문에 김용현 사단이라고 불리며 문제시되었다. 이종섭 장관은 10월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이 사안을 추궁하자 극구 부정하였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71153|관련기사]] 또한 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이종섭 국방부장관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국방부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후보자인 신원식에게 “신 후보자가 육군사관학교 후배인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의 추천으로 국방부장관 후보자가 됐다고 들었다”며 “과거 윤 대통령을 인정하지 않는 발언을 했는데도 장관후보자로 낙점된 것은 경호처장과 관계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신원 후보자는 “일부 호사가들이 그런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지만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https://m.sedaily.com/NewsViewAmp/29UUHV5DWL|관련기사]] == 경력 == * 1978.2. [[충암고등학교]] 졸업 (7회) * 1982.4. [[육군사관학교]] 졸업, [[군사학]] [[학사]] (38기) * 1982.4. [[대한민국 육군|육군]] [[보병]] [[소위]] 임관 * 1983.4. 육군 [[중위]] * 1985. 육군 [[대위]] * 육군 [[소령]] * 육군 [[중령]] *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대령]])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 ([[준장]]) * [[제1야전군사령부]] 관리처장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 2010.12. ~ 2012.11. 제37대 [[제17보병사단]]장 ([[소장(계급)|소장]]) * 2012.11. ~ 2013.10.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 2013.10. ~ 2015.10. 제31대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사령관]] ([[중장]]) * 2015.10. ~ 2017.9.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2021.8.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윤석열]] 경선후보 [[국민캠프]] 외교·안보 정책자문단 자문위원 * 2022.5 ~ [[대통령경호처장]] == 기타 == * [[유튜브]] 장군의 소리 채널에 출연했다. [[신원식]] [[국회의원]]이 댓글로 자신의 육사 1기수 후배이자 수도방위사령관 - 합참 작전본부장 후임자[* 신원식의 작전본부장 후임자는 육사 동기 [[엄기학]] 대장(당시 중장)이었으며 엄기학 중장이 대장 진급 및 야전군사령관으로 떠나면서 김용현 중장이 부임했다.]로 모든 면에서 본인보다 뛰어나다고 찬사를 올렸다. 아이러니하게도 둘 다 작전본부장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대장을 못 달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QiDLGp8BxHs|#]]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직속기관장)] [[분류:1959년 출생]][[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분류:충암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수도방위사령관]][[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분류:대통령경호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