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1972 0%, #221972 20%, #221972 80%, #221972)" '''{{{#fff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fff {{{+1 김우식}}}[br]金禹植}}}'''}}}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yonhapnews_28576990.jpg|width=100%]]}}} || ||<|2> '''출생''' ||[[1888년]] [[2월 20일]] || ||[[경상도]] [[대구광역시|대구도호부]][br](現 [[대구광역시]]) || || '''사망''' ||[[1950년]] [[7월]] 이후 (향년 62세 이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 생애 == 1888년 2월 20일 [[경상도]] 대구도호부(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대구 사립협성학교]]를 졸업하였다.[[http://news.imaeil.com/Education/2016051222382945804|#]] 1919년 [[고종(대한제국)|고종황제]] [[인산]] 때 특별배종관(特別陪從官)으로서 참석하였다. 1920년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934&docId=2602865&categoryId=54412|유림단 의거]]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 [[8.15 광복]] 이후 대성회(大成會) 위원장, 유도회 경북본부 위원장 등 유림단체 활동을 지속하는 한편, 우익 정치인으로서 [[한국민주당]]에 입당하여 달성군지부 수석총무, 경상북도 본부 감찰위원장, 당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경상북도후생회 달성군지회장을 거쳐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도회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선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권오훈(1911)|권오훈]]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납북]]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1948년 6월 11일 제1회 8차 본회의 당시 여러 의원들과 함께 "[[제주 4.3사건|제주도소요사건선처를위한특별위원단설치에관한건]]"을 발의했다.[* 같이 발의한 인물로는 [[오용국]],[[장기영(1903)|장기영]],[[백남채]],[[서상일]],[[최태규]]가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달성군[* 제4선거구] || [include(틀:전도회)] || '''11,804표 (31.73%)'''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달성군[* 제6선거구] || [include(틀:조선민주당)] || 3,077표 (6.37%) || 낙선 (5위) || ||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888년 출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납북자]][[분류:실종된 인물]] [[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우식, version=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