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파일:김운태.jpg]] 金雲泰, Kim, Woon Tai [[1921년]] [[11월 17일]] ~ [[2005년]] [[12월 18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金海)[* 안경공파. 1990년부터 2005년까지 김해 김씨 안경공파 종회 이사 및 자문을 [[https://www.nas.go.kr/page/d363475b-e051-4e2f-a6aa-9ec0f3801491?mber_key=10000224&view=Y&view_url=/member/view/list&redirect_url=/page/d363475b-e051-4e2f-a6aa-9ec0f3801491%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20&lang_menu_key=ko&lang=ko|맡았다]].], 호는 정산(精山). [[동국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한국정치학회,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상세 == 1921년 11월 17일 [[경기도]] [[수원시|수원군]] 성호면(현 [[오산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경성경제전문학교]]를 거쳐, 해방 후 1946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에 편입하였다. [[1948년]]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부터 소장 정치학자로 활동을 시작했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연세대학교/학부|연희대학교 문학원]] [[정치외교학과]]에 [[강사]]로 출강했으며, 1951년 [[오산중학교(서울)|오산중학교]]·[[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고등학교]]가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시]]에 재건되자 [[교사]]로 부임해 1953년까지 지냈다. [[정전 협정(6.25 전쟁)|정전 협정]]이 체결된 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동국대학교/학부|동국대학교 법정대학]]에 강사로 출강했고,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서울대학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도 강사로 출강했다. 1954년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조교수]]로 승진해 [[부교수]]를 거쳐 [[교수]]로 승진했다.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57년 대한민국에 선진 [[사회과학]], [[의학]] 등을 도입하는 미네소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교|미네소타 주립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해 이듬해인 1958년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 취득 후 귀국해 [[1959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창설 멤버로 참여했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강사를 겸임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잠시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회 위원을 맡기도 했으며, 같은 해 [[행정안전부|내무부]] 지방행정 연구위원회 전문위원에 위촉되어 1972년 [[10월 유신]] 전까지 역임했다. 또 1961년부터 1975년까지 3급 공채시험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1962년에는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수립을 위한 헌법심의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1962년에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정식 교수로 부임해 1987년까지 재직했다. [[1966년]]에는 한국행정학회 회장에 취임해 1969년까지 역임했고, 196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53391|現代官僚組織의 專門化過程과 階層制의 役割에 關한 狀況的 考察]](현대관료조직의 전문화과정과 계층제의 역할에 관한 상황적 고찰).]를 취득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하고 1970년부터 1973년까지 행정개혁조사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역임했다.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정부시책평가위원을 역임했다.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동북아시아 국제행정학회 (EROPA) 이사회 부의장을 지냈고, 1972년부터 1975년까지는 세계행정학회(IIAS)제도 학교운영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1973년]]에는 한국정치학회 회장에 취임해 1975년까지 역임했다[* 양 학회 회장을 함께 역임한 사람은 그를 비롯해 [[정인흥]], [[박동서]] 등 세 명이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서울대학교 평위원회 위원, 1977년부터 2005년까지 교과과정위원회 국민윤리분과위원회 위원,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불온간행물관리 정책임자 등을 지냈다. 1980년 헌법개정 심의위원회 위원, 정부행정자문위원회 위원, [[경제개발 5개년 계획|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위원, 제4차년도사업 평가자문위원회 위원에 위촉되었고, 1981년에는 국무총리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에 위촉되었다. 1982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에 취임해 1983년까지 역임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초대회장을 지냈다. [[1987년]] [[2월 28일]] [[정년퇴임]]하여 [[명예교수]]가 되었다. 같은 해 [[경기대학교]]에 초빙교수에 위촉되어 1990년까지 지냈고, 1988년에는 [[단국대학교]]에 대우교수로 위촉되어 1995년까지 역임했다. 1988년 11월 8일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5분과 회원([[정치학]]·[[행정학]] 전공)에 선출되었다. 1990년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위원에 위촉되어 1994년까지 근무했고, 1995년에는 광복 50년사 편찬위원회 위원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운영위원 등에 취임해 활동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객원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매체개발연구소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는 등 전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정치사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 7월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회장에 취임해 2003년 8월까지 역임했다. 2005년 12월 1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김해 김씨 안경공파]][[분류:오산시 출신 인물]][[분류:1921년 출생]] [[분류:2005년 사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재직]][[분류:동국대학교 재직]][[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단국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