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통일민주당 13대 전국구)]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cfa547 해운대구·기장군 갑}}}]])'''}}} || || ''선거구 개편''[br]'''김운환''' || → || '''제15대[br]김운환''' || → || 제16대[br][[손태인]][*A 임기 중 사망] || ---- ||<-2> {{{#ffffff '''대한민국 제13·14·15대 국회의원[br]{{{+1 김운환}}}[br]金沄桓 | Kim Un-hw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528_0469_P4.jpg|width=100%]]}}} || ||<|2> '''출생''' ||[[1946년]] [[12월 13일]] ([age(1946-12-13)]세) || ||[[경상남도]] [[울산광역시|울산군]] 방어진읍 서부리 || || '''본관''' ||[[김해 김씨]] || || '''학력''' ||남목국민학교 {{{-2 (졸업)}}}[br]방어진중학교 {{{-2 (졸업)}}}[br][[울산공업고등학교]] {{{-2 (졸업)}}}[br][[동아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발전 정책 과정 {{{-2 (수료)}}}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4대 국회의원|14]], [[제15대 국회의원|15]]''' || || '''경력''' ||일송문화장학회장[br]김영삼 대통령후보 울주군 선거 대책위원장[br]국회건설•예결위원[br]통일민주당 울산시 중구지구 당위원장•부대변인[br]민주자유당 해운대구 지구당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46년 [[경상남도]] 울산군 방어진읍 서부리(현 [[울산광역시]] [[동구(울산)|동구]] 서부동)에서 태어났다. 울산남목초등학교, 울산방어진중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울산농업고등학교]](25회),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70년대 [[김명윤]]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의 비서를 지내는 한편 개인 회사를 경영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김영삼]] 후보 측의 울주군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합류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3년 한국민속[[씨름]]협회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94년 민주자유당 부산직할시 지부장 직무대행에 임명되었다. 1995년 민주자유당 조직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이기택]]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인제]] 등과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창당에 참여하여 이인제 캠프에 합류하며 이인제 대통령 만들기에 나섰다. 당시 김운환은 이인제의 당선을 확실하였고, 때문에 그는 [[이인제]]의 사퇴를 만류시켜 대선 때 [[이회창]]-[[이인제]]간의 단일화를 불발로 만들었던 장본인이기도 하다. 결국 이 단일화 불발은 [[김대중]] 정권을 창출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이후 1998년 국민신당이 [[새정치국민회의]]에 흡수되자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이 되었다. 이후로도 이인제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다. 1999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산광역시지부장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손태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국회의원 임기 만료 직후 2002년 부산의 한 제약회사로부터 세무조사 무마 청탁대가로 뇌물을 받은 혐의로 징역 1년에 추징금 1억 3000만원을 선고받기도 했고, 그 외에도 사기혐의로 무려 4번이나 기소당하기도 하는 등 큰 논란을 일으켰다. [[https://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8021|#]]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include(틀:통일민주당)] || '''4,680,175 (23.8%)''' || '''당선 (11번)''' || '''초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해운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61.013 (51.74%)''' ||<|2> '''당선 (1위)''' || '''재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2>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해운대·기장 갑]] || [include(틀:신한국당)] || '''56,903 (49.15%)''' || '''3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3,151 (21.45%) || 낙선 (2위) || [* 4번의 선거 중 첫 낙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분류:동구(울산) 출신 인물]][[분류:1946년 출생]][[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통일민주당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국민신당 국회의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분류:울산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김해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