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건축가]][[분류:1943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 金洹 [[1943년]] [[3월 10일]]~ ([age(1943-03-10)]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 == 일생 == [[부산]] 출생으로 경기중학교 -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에서 1969년 동안 [[김수근]] 건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1976년 건축연구소 광장을 개소했다. 1985년 세계의 현대건축가 101인([[일본]], 가지마 출판사)에 선정되었다. 2003년 김수근 문화재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건축스타일은 자연에 그대로 녹아드는 우리 옛집의 건축철학을 되새겨 현대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걸 지론으로 삼았는데, 그래서 그의 건축물은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편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북한산]]에 위치한 통일연수원의 경우 경사진 산에 건물을 배치한 후 지형에 따라 옥외계단을 배치해 최대한 자연을 유지시켰다. [[세례명]]이 [[사도 안드레아스|안드레아]]인 [[가톨릭]] 신자이고, 자신이 다니는 세종로성당의 주임신부들을 통해 의뢰를 많이 받아서, 그가 설계한 성당 및 가톨릭 시설도 전국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 주요 건축물 == * [조선호텔계획](1967) * [1967 몬트리올 엑스포] 한국관 - 김수근 팀의 일원으로 참여. * [1970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 - 김수근 팀의 일원으로 참여. * [한국종합전시관(KOEX)](1979) - 정림건축과 합작. * [서울 한강성당](1979) * [독립기념관 - 마스터플랜],[독립기념관 독립봉](1983) * [국립국악원](1984) * [황새바위 순교성지 기념탑과 경당](1984) *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서울관구(1982) 및 대구관구(1986) 수녀원 * [영주 하망동성당](1987) * [서울 청량리성당](1987) * [통일교육원](1987) * [[다다익선(백남준)|다다익선]]- 골조 설계 담당(1988) * [공주 교동성당](1988) * [성가수녀회] 본원 (1989) * [예술의전당 마스터플랜](1989) * [광주가톨릭대학교](1993) - 캠퍼스 설계 총책임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증축설계](1996) * [대한민국 국회 50주년 기념 DNA탑 -백남준과 합작](1996) * [부산 몰운대성당(신축설계)](1996) * [청주 신봉동성당(신축설계 및 감리)](1996) * [미당서정수 문학관(마스터플랜 및 신축설계)](1998)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관, 국제기숙사,유아원(신축설계 및 감리)](2002) * [주한러시아대사관]](2002) * [나주 순교성지 기념경당(신축설계)](2003) * [소설 태백산맥문학전시관(신축설계)](2005) * [경기여고 100주년 기념관(신축설계 및 감리)](2007) * [신리성지 순교미술관(신축설계)](2011) * [박완서 문학관(신축설계)](2012) * [신영복 기념도서관(신축설계)](2018) * [서원주성당(신축설계)](2019) * [성 베네딕토 수녀회(신축설계)](2019) * [모란미술관 조각전시장(신축설계)](2019) * [성공회 대전주교좌성당](2020) * [향동 푸른도서관](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