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윤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008261847090031941_4.jpg|align=right&width=100%]]}}} || ||<|2> '''출생''' ||[[1988년]] [[1월 8일]] ([age(1988-01-08)]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갈월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신체''' ||177cm, 60kg|| ||<|2> '''가족''' ||부모[* 여행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남부럽지 않은 유복한 가정이라고 한다.], 2남 중 둘째|| ||배우자^^(2016년 11월 12일 결혼 ~ 현재)^^[* [[https://n.news.naver.com/sports/esports/article/442/0000047075|#]]], 딸|| || '''학력''' ||[[서울디지텍고등학교]]||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전역|만기전역]] {{{-2 ([[운전병]])}}}[br]{{{-2 (2013년 2월 5일 ~ 2014년 11월 4일)}}} || || '''주 종목''' ||[[스타크래프트]]|| || '''ID''' ||Hery|| || '''종족''' ||[[테란]]|| || '''데뷔''' ||[[2004년]]|| || '''소속'''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br](2004.가을 ~ 2009.03.25)[br][[SouL|STX SouL]][br](2009.03.25 ~ 2009)[br][[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3 [[테란]] 전담 [[코치]]}}}[br](2009.08 ~ 2013.02.05 / 2014.11.18 ~ 2016.10)[br][[OK저축은행 브리온]] {{{-3 직원}}}[br](? ~ 2023.08 or 09)[* [[https://m.fmkorea.com/6187787355|#]]] || || '''별명''' ||연습실 본좌, 테윤환||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프로게이머]] 및 [[코치]]. [[윤환아 드라군은 이레데잇에 안죽어]] 채팅으로 잘 알려진 선수이다. [[http://blog.naver.com/changhan1110/140203573542|더불어서 드라군에 걸지 말랬더니 저글링에 걸기도 한다]]. == 개인 경력 == * 2004년 제3회 커리지 매치 입상 * 2007년 [[곰TV MSL 시즌3]] 32강 == 전적 == ||<-4> '''{{{#ffffff 김윤환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2전 0승 2패 (0.0%) || 5전 2승 3패 (40.0%) || 7전 2승 5패 (28.6%) || || vs 저그 || 1전 0승 1패 (0.0%) || 8전 2승 6패 (25.0%) || 9전 2승 7패 (22.2%) || || vs 프로토스 || 1전 0승 1패 (0.0%) || 2전 1승 1패 (50.0%) || 3전 1승 2패 (33.3%) || || 총 전적 || 4전 0승 4패 (0.0%) || 15전 5승 10패 (33.3%) || 19전 5승 14패 (26.3%) || == 선수 시절 == 2006년과 2007년에 KTF의 주력 테란 카드로 활동하였지만, 의외로 데뷔가 빨라 2004년 데뷔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데뷔전은 2005년 1월 5일, 당시 한빛 스타즈(後 [[웅진 스타즈]]) 소속이었던 [[나도현]]과의 경기로, 승리하였다. 감독이나 여타 선수들의 말에 따르면 매우 실력이 있는 게이머였다고 하며, 실제로 [[연습실 본좌|연습 시합에서도 60% 이상의 성적을 내는 좋은 선수]]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프로리그나 개인리그 등에도 자주 출전했지만, '''정작 방송경기에서는 이긴 적이 거의 없다'''. 사람들의 눈 등 방송 경기만의 요소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도 방송경기만 나오면 온갖 말도 안 되는 [[실수]]를 양산해 댔으며, 가끔 좋은 플레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그걸 지속하지 못하고 패하곤 했다. 문제는 이 김윤환이 '''두터운 팬층을 보유한 KTF의 올드 테란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과 [[변길섭]]을 밀어내고 주전 자리를 차지한 주제에 이기지도 못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김윤환이 한창 출전할 당시에는 타팀 팬들에게보다도 KTF 팬들에게 더더욱 까이는 선수였다. 사실 데뷔 초창기에는 최소한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만큼은 웬만한 A급 테란들도 김윤환을 상대로는 승리를 장담키 어려워할 정도로 막강한 모습을 보였었고[* 대표적인 경기가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당시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과의 경기나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당시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과의 경기.], 앞서 언급되었던 김정민과 변길섭은 전성기가 한참 지나 개인전에서는 거의 이기지 못했을 정도로 경기력이 떨어진 상태였기 때문에 김윤환을 기용하는 건 나름 이유가 있는 선택이었다. 다만, [[저막]]+[[토막#s-3|토막]] 기질을 동시에 갖고 있어 개인리그 본선 진출도 1회에 불과했고, 프로리그에서도 상당히 제한적으로나 쓸만한 카드였다는 것이 문제. 그래도 [[김철(1973)|김철]] 감독 재직 시기까지는 김철의 [[양아들#s-2]]로 주목을 받으며 종종 승리하곤 하였지만, 김철이 짤리고 [[이지훈(e스포츠)|이지훈]]이 감독이 된 이후부터가 문제. 이지훈이 감독이 된 이후부터는 자주 나오지도 못한데다 주전자리에서도 [[이영호]]에 밀렸으며[* 프로리그 출전도 겨우 4번 뿐이었다. 그마저도 다 패배.], 후에는 [[안상원]]과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까지 차례차례 합류하면서 인해 팀 내에서도 푸대접까지 받고 있음과 동시에 [[존재감]]까지 없어지더니, 어느새 [[공기(은어)|공기]] 신세가 되고 말았다. 그러면서 사실상 퇴물 신세가 되었고, 그는 결국 [[위너스 리그]]를 끝으로 [[KTF 매직엔스]]를 떠나 [[STX SouL]]로 [[이적]]해 [[김윤환(1989)|저윤환]]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지만, 거기에서도 팀에 적응하지 못하고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한 채 [[김민제(프로게이머)|김민제]]와 함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08-09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고 말았다. 이로써 [[투명라인]] 탈퇴는 영영 불가능해지고 말았다. 그리고 [[이병민]],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등과 마찬가지로 [[투명라인|투명 프로게이머]]들 중 한 명. 그나마 [[윤환아 드라군에 이레디 걸어도 안죽어]]로 인해 그나마 존재감은 조금 있는 듯. 적어도 2007년까진 이 쪽이 막 포텐을 터뜨리기 전이었던 저윤환보다는 유명했고, 김윤환이라고 하면 보통 이 쪽을 일컫는 편이었다. '''그러나 저윤환이 차츰 포텐을 발휘해 SouL의 주전급으로 올라서고 개인리그 우승까지 차지하면서 인지도가 역전되었다'''. 그런데 웃긴 것은 저윤환도 [[투명라인]] 끼가 적지 않게 있다는 점이다. 저윤환의 양아버지라고 불리는 [[김은동]]은 테윤환의 이적 후 [[인터뷰]]에서 '''"양아들이 이제 쌍둥이가 됐다."'''라고 발언하였다. 근데 지금은 저윤환보다도 더 투명해졌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게 저윤환은 개인리그 우승자에 팀 원탑 에이스이며, 팀 역사에서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와 [[박성준(1986)|박성준]] 다음 가는 팀 내 최고의 스타 플레이어 중 1명이였다.] 게다가 이병민과 이재호는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가릴 것 없이 두 곳 모두 맹활약들이라도 했지 김윤환은... 그러나 그가 선수로 뛰던 시절의 [[막장]] 전설(…)들을 기억하는 이들은 아직도 많기 때문에 사람들의 기억에는 그나마 남을 듯 하다. 물론 그다지 좋은 의미로 기억에 남지는 않겠지만... == 코치 시절 == 08-09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고 [[kt 롤스터]]의 테란 전담 코치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지도자에 대한 평은 그다지 좋지 않은데, '''이영호 전담 코치'''라는 오명이 있다. 이는 우승자 출신이었던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는 [[kt 롤스터]]에 와서 [[스막]]이 되었고[* 이전 KT에 바로 왔을 때 무리한 스타일 개조 때문이기도 하지만, 10-11 시즌에 들어서 빌드마저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였었다가 결국 2라운드 말에 은퇴하였던 것을 보면 책임을 면키 어렵다.][* 그나마 09-10 시즌에 조금이나마 부활하기는 하였지만...], [[황병영]], [[남승현]], [[김영진(프로게이머)|김영진]] 등 유망주들은 통 클 기미가 안 보였기 때문. 그래도 황병영은 성장하여서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까지 있었지만, [[eSTRO]]에서 영입한 남승현은 통 아무런 성장도 없었다가[* 그 와중에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에 진출하기는 했다. 다만 [[이영한]]한테 패해 16강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결국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을 끝으로 은퇴해 버렸으며, 또한 김영진은 여전히 별다른 활약이 없다가 김윤환 [[본인]]이 코치로써 맞은 첫 시즌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2라운드 말에 [[웅진 스타즈]]로 [[이적]]하였다.[* 정작 김영진은 웅진에 가서도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다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중이던 [[2010년]] [[11월 10일]]에야 웅진 소속으로써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프로리그에 출전하였는데, 맞붙은 상대는 [[김대엽]]이었고, 패하였다. 참고로, 김영진은 이 경기를 치르기 3주 전이자 시즌 초이던 2010년 [[10월 20일]]에 [[은퇴]]를 선언한 상태였다(...). 은퇴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출전을 지시받은 거라고... 이후 김영진은 이듬해에 [[스타크래프트 2]]로 전향했다.] 그리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을 앞두고 해체된 [[위메이드 폭스]]에서 [[주성욱]]과 함께 영입한 [[박성균]]도 그저 그런 모습만 보였다가 황병영처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그 뒤 12-13 시즌 중이던 2013년 2월 5일, [[운전병]]으로 [[의정부시]]의 [[제306보충대대]]에 입소했다. 그리고 2014년 11월 4일 전역하고 KT 롤스터 코치로 재합류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김윤환-이지훈 폭로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윤환-이지훈 폭로전)] == 기타 == 실제 실력 평은 좋았는데 이상하게 방송 경기만 나오면 실력 발휘를 못하는 걸로 보아서는 일종의 무대 공포증이라도 있었던 듯. [[강민의 올드보이]]의 2편과 3편에서는 [[강민]]과 입담을 주고받았는데, [[우정호]]와 [[이영호]], 그리고 [[고강민]]이 모두 입을 모아 '''저희 테란 끝판왕'''이라고 말했다. 역시 방송만 아니면 [[이영호|최종병기]]도 능가한다? 10-11 시즌 도중 갑작스럽게 은퇴한 박지수빠들에게 공개 방송에서 "이영호는 하는데 넌 왜 못함??"이라고 농담 비스무리하게 한 이야기를 토대로 팀 내 불화설이 돌았다. 뭐 이제는 검증도 못하겠지만... [[전태양]]의 [[2016년]] [[11월 12일]]의 인터뷰에 의하면, 당일날 결혼하였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sports/esports/article/442/0000047075|#]] 2017년, [[강민]]이 BJ로 밀었던 컨텐츠인 ‘그때 그샏기들’에 [[박정석]]과 함께 나왔다. 2020년 3월 방송된 [[OGN]]에서 [[https://youtu.be/_-176YjjTLE?t=302|<스타로드>]]에서도 대략적인 경력이 언급되었는데, [[홍진호]]와 PD 모두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고 사진까지 정확하게 찾아놓았음에도 어째서인지 '[[김윤환(1989)|브레인 저그]]'라는 잘못된 자막이 붙었다. 당연히 댓글창은 저렇게 스타에 대한 기본 지식도 없는 사람을 편집자로 쓰면 어떡하냐고 대폭발. 덤으로 이 방송에 의하면 결혼도 했다고 한다. 물론 결혼 소식은 2016년에 전태양의 인터뷰로 먼저 알려졌었지만... [[분류:e스포츠 관련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88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용산구 출신 인물]][[분류:2009년 은퇴]][[분류:서울디지텍고등학교 출신]]